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0:33:04

영풍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상북도의 옛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영풍군(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cb61, #f2cb61 20%, #f2cb61 80%, #f2cb61);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兩雲劍
도총부 도총관 성승 · 증 병조판서 박정
기타
형조판서 박중림 · 지평 하박 ·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 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영풍군 | 永豊君
출생 1434년 9월 28일[1]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456년 7월 31일[2] (향년 22세)
묘소 경기도 고양시 대자동
재위기간 조선 영풍군
1441년 2월 2일 ~ 1456년 7월 3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전(瑔)
부모 부왕 세종
모친 민정혜빈
형제자매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16남
모친 기준 3남 중 3남
배우자 군부인 순천 박씨[3]
(郡夫人 順天 朴氏)
자녀
친자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이갓박(李㖙朴)
양자 1남 [ 펼치기 · 접기 ]
양자 - 취성군 이빈(鷲城君 李頻)[4]
군호 영풍군(永豊君)[5]
시호 정렬공(貞烈公)
}}}}}}}}} ||
1. 개요2. 생애3. 사후4. 봉사손 및 후손과 관련한 문제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의 8번째 서자(庶子)로 태조 이성계의 증서손(曾庶孫)이자 3대 임금 태종의 서손(庶孫)이다.

2. 생애

세종과 후궁 혜빈 양씨의 소생으로 사육신 중 한 사람인 박팽년의 딸이 부인이다.

1441년 영풍군에 봉해졌고, 계유정난을 계기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나 장인인 박팽년 사육신 사건에 개입하게 되면서 전라북도 임실로 유배를 갔다. 1457년 이복형 금성대군, 한남군 등과 함께 단종 복위를 진행하던 것이 세조에 의해 발각되면서 세조가 보낸 부하들에 의해 피살되었다.

3. 사후

1712년 노산군으로 강등되었던 단종과 함께 명예회복을 하게 되었으며 1791년 단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4. 봉사손 및 후손과 관련한 문제

1872년 고종의 특명으로 영풍군의 이복형인 계양군의 10대손인 이정화(李正華)를 봉사손으로 지명했다. 그런데 전주이씨 경기대관[6]을 보면 후손이 잠적하여 제사를 받을 후손이 사라졌다는 말이 나오지만(617페이지), 여기에 대해 반박할 자료가 있으니 1900년에 편찬한 선원속보 영풍군 편을 보면 나와있다. # 선원속보를 보면 봉사손 이정화의 5대손까지 나와있다. 하지만 1921년 6군파 세보나 1994년 계양군파 세보에서는 이정화의 아들인 이재천(李在天) 밑으로는 삭제되어 있다. 이정화의 후손들은 양주 신혈면(지금의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파발 또는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에 산 것으로 추정된다.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왜 삭제되었는지에 대해서 아무런 설명이 없는 대신에 봉사손 이정화의 아버지인 이최영(李最英)이 신임옥사(辛壬獄事)에 연루되어 추궁받았다고만 나와있다.

후손 부분도 보면,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정조 재위 시기인 1791년에 영풍군에게 정렬(貞烈)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리면서 사후 양자로 양녕대군의 손자인 취성군 이빈(鷲城君 李頻)[7]을 지명하고, 취성군의 외아들인 계림군 이탄(鷄林君 李坦), 계림군의 둘째 아들인 하계군 이진(河溪君 李瑱)[8]으로 지명했다. 여기서 의문점이 나타나는데, 양녕대군파 족보 기준으로 하계군의 아들은 3자(이효립, 이원석, 이몽실)가 있는데 비해, 1985년에 편찬한 영풍군파 가승보를 보면 하계군 밑으로 이덕령(李德齡)이라는 아들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덕령은 양녕대군파 족보에서는 이름이 나타나지 않고 엉뚱하게도 완풍대군의 둘째아들인 양도공 이천우의 7대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영풍군파 가승보와 양도공파 족보를 대조해보면, 이덕령의 아들인 이장길(李長吉)이 있다는 점에서 일치하고 이장길의 맏아들인 이운정(李雲挺)은 본가인 월산군(月山君)[9]의 종가(宗家)로 이어지고 둘째아들인 이천정(李天挺)을 영풍군의 사후 후손으로 잇게 한다는 내용이 있다. #[10] 즉, 양녕대군파 족보에 있는 하계군의 3자와 영풍군파 가승보에 있는 이덕령 간의 관계는 어떤 관계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종합해서 보면, 첫째 1900년판 선원속보와 영풍군파 가승보 사이에 구멍이 있다는 의미인데, 영풍군의 봉사손인 이정화가 영풍군파 가승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이유와 이정화 후손이 있다면 이후에 나온 계양군파 족보에서 삭제된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둘째 영풍군의 양자인 취성군과 계림군-하계군으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하계군의 3자와 영풍군 간의 관계도 어떻게 정립하느냐는 문제가 있다. 셋째 이정화와 사후에 입계된 이덕령 간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하느냐도 문제가 있다.


[1] 음력 세종 16년 8월 17일 [2] 음력 세조 2년 6월 20일 [3] 박팽년의 딸이다. [4] 양녕대군의 손자이자 양녕대군의 3자인 서산군의 둘째아들 [5] 봉호는 경북 안동시의 옛 지명인 영가(永嘉)에서 따왔다. [6]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긴 하지만, 이 책이 디지털 자료로 되어 있어서 열람하려면 국립중앙도서관을 방문하거나 협약된 공공도서관을 방문해야 한다. [7] 양녕대군파 족보나 영풍군파 가승보에서는 이경(李熲)이라고 부름. [8] 하계군이라는 봉호는 양녕대군파 족보에서는 안 나오고, 1900년판 선원보략 수정의궤에서 나온다. # [9] 이천우의 손자이자 이천우의 맏아들인 여양군 이굉(驪陽君 李宏)의 셋째아들로 이름은 이경인(李敬仁) [10] 영풍군의 사후 후손으로 입계한 시점은 1942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