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3:04:24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철도사고 요약도
파일:6402_10293_5855.jpg
발생일 <colbgcolor=#fff,#191919>1973년 8월 12일 04시 43분경
유형 탈선 및 화재
원인 졸음운전으로 인한 과속
발생 위치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884
경부선 영동역
탑승인원 기관사 1명
기관조사 1명
차장 1명
피해 인명 주민 사망 32명
중상 5명
경상 4명
차량 유조화차 23량 폭발 및 전소[1]
시설 역 주변 민가 25동 전소
운영기관 대한민국 철도청
사고열차 열차번호 제1042열차
편성 정보 벙커C유 12량
나프타유 1량
항공유 8량
AP유 3량
솔벤트 1량
휘발유 3량
경유 3량
설탕 2량
쌀 2량
석회가루 1량
기관차 1량
출발역 장생포선 장생포역
종착역 경원선 청량리역

1. 개요2. 사고 진행3. 사고 원인4. 사고 이후5. 참고 자료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73년 8월 12일 오전 4시 43분에 영동역에서 벌어진 유조열차 폭발 사고. '영동역 유조열차 탈선 사고'라고도 한다.

2. 사고 진행

새벽 4시 40분 청량리로 향하던 1042열차는 과속해 미륵역을 통과했고, 이를 목격한 미륵역 직원이 영동역에 급히 무전을 보내 화물열차의 과속 사실을 알렸고, 무전을 수신한 영동역의 박희범(당시 54세) 조역이 무전으로 다급하게 "과속이다. 속도를 줄여라."라고 지시하였으나 응답이 없었다.

또한 열차 후미에 탑승하고 있던 차장 구자인도 과속으로 미륵역을 통과하는 것을 목격하고 제동장치를 수 차례 당겼으나 열차는 영동역을 향해 70㎞/h의 속도로 과속하고 있었다.

한편 영동역 구내의 상행선 선로는 선로 다지기 공사가 한창이었고 이로 인해 임시로 하행선 선로로 운행해야만 했다. 문제는 당시 열차의 운행 속도가 영동역 구내 제한속도인 30㎞/h의 두 배인 80㎞/h로 영동역에 진입했던 것.

미륵역 통과 3분 후인 새벽 4시 43분,[2] 영동역 역무원 배석원(당시 40세)이 사고열차 수신호를 위해 역 승강장으로 나가고, 당시 조역이었던 박희범(당시 54세) 역무원이 모래주머니를 들고 나갈 때 쯤 승강장에서 50미터 떨어진 상행부본선으로 진입하던 중 기관차가 원심력으로 인해 기우뚱하더니 그대로 쓰러지며 유류탱크가 연쇄적으로 폭발하였다.

이후 불길을 뚫고 들어간 구조반에 의해 후미에 연결되어 있던 벙커C유 화차 8량은 불행 중 다행으로 사고 열차에서 분리되었다.

폭발로 인해 불기둥이 300m나 치솟았고, 이로 인해 철로 주변 민가 25채가 전소되었고 주민 40여명이 소사(燒死)하였다.

규모가 큰 화재여서 영동소방서의 소방관과 경찰, 예비군 인력과 대전, 청주, 옥천, 보은, 무주, 김천 등지에서 소방차 13대와 대전 주둔 미군 소방대와 공군 소방대를 총동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류화재 소화약품의 부족으로 불길은 사고 발생 13시간 만인 오후 6시가 되어서야 잡히기 시작했고 선로복구 작업도 12일 오후 6시에 완료, 시체 발굴은 13일 0시에 시작되었다.

3. 사고 원인

경찰조사에 따르면 기관사의 과로로 인한 졸음운전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결국 열악한 대우와 빡빡한 근무시간으로 인해 발생한 인재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사고 당시 열차의 기관사는 23년간 무사고 기록을 남겼던 베테랑이었다. 그러나 그 숙련된 베테랑도 과로로 인한 졸음 앞에선 무력했던 것.[6]

4. 사고 이후

이 사고로 45가구 231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고, 사망자들은 영동고등학교에 마련된 임시 안치소에 안치되었다.

철도청은 영동군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사고대책수습본부를 통해 희생자 한 명당 80만원씩(미성년자는 40만원), 가옥 가구당 실비보상을 지급하고 부상자 치료비를 전액 부담키로 했다.

5. 참고 자료

6. 둘러보기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24년 12월 29일
179
2024년 6월 24일
23
2022년 10월 29일
159 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韓 25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51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7년 3월 31일
22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
2014년 12월 1일
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12월 13일
22 제1인성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 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 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 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9월 11일
2,996 韓 28 9.11 테러
2001년 7월 24일
20 진주 관광버스 추락 사고
2000년 10월 27일
22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99년 10월 30일
56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 6월 30일
23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8년 10월 29일
27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1998년 7월 31일~8월 1일
103
1997년 9월 3일 65 韓 21 베트남항공 815편 추락 사고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6년 7월 26일
20 철원 군부대 산사태
1996년 4월 4일
21 양평 버스 추락 사고
1995년 8월 21일
37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 6월 29일
502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4월 28일
101
1994년 10월 24일
29 충주 제5호 화재사고
1994년 10월 21일
3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3년 10월 10일
292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7월 26일
68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6월 10일
20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1993년 4월 19일
34 논산 정신병원 화재
1993년 3월 28일
78
1993년 1월 7일
28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2년 10월 22일
28 대양하니호 침몰 사고
1991년 11월 3일
22 인제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11월 4일
21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9월 1일
25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8년 3월 25일
22 안양 봉제공장 화재
1987년 11월 29일
115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 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3월 24일
29 영덕 시루봉 CH-53 추락 사고
1984년 1월 14일
38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 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
53 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 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
53 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 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 경산 열차 추돌사고
1981년 2월 28일
24 대림호 침몰 사고
1980년 6월 5일
23 광주 지하살롱 화재 사고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 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 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 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 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 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6월 28일
28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년 2월 22일
159 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 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4일
30 파크로버호 침몰 사고
1972년 12월 2일
53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 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191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월 7일
31 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 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69년 9월 17일
37 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 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0월 30일
48 산청 버스 추락 사고
1968년 1월 8일
41 함양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10월 16일
42 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 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9일
39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년 1월 14일
93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 서문시장 화재
1966년 1월 18일
22 중구 남산동 판자 아파트 화재
1964년 7월 29일
95+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 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 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 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 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 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7년 2월 22일
21 한강 미 공군 C-124A 추락 사고
1956년 1월 12일
66 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 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 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 행운환 침몰 사고
1953년 1월 9일
330 창경호 침몰 사고
1952년 11월 16일
25 강릉 공항 미 공군 C-46D 추락 사고
1952년 10월 16일
44 양평 미 공군 C-119C 추락 사고
1951년 7월 11일
94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6월 10일
30+ 제13호 침몰 사고
1950년 6월 30일
23 부산 미 공군 C-54G 추락 사고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 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8년 6월 8일
150 미군 독도 오폭 사건
1947년 8월 19일
23 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6년 10월 22일
59 어청도 기뢰 폭발 사고
1945년 9월 29일
73 대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000+
우키시마호 사건
}}} ||


[1] 벙커C유 4량, 나프타유 1량, 항공유 8량, AP유 3량, 솔벤트 1량, 휘발유 3량, 경유 3량. [2] 당시 영동역과 미륵역 간 거리는 약 7㎞였다고 한다. [3] 하루 평균 7시간. [4] 당시 숙련기관사의 대부분이 보일러면허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하니 당시 철도 기관사의 대우가 얼마나 열악한 지 알 수 있는 대목. [5] 당시 철도청에서는 기관사가 사전에 서행구간을 홛인하고 서명을 받는가 하면, 승무원들이 전방의 장애물이나 신호를 확인하는 복창을 필히 하도록 안전수칙을 갖추고 있었으나, 기관사가 졸 경우에 대한 졸음방지 내부규정에 따르면 야간열차에 기관사/기관조사가 조는지 감시하는 지도원을 동승시키거나, 기관사나 기관조사 중 한 명이 졸면 물을 끼얹거나, 통과역에서 직원이 나와 모래주머니를 던지는 것이 전부였다. [6] 11일 오전 6시 40분 동대구역에 도착하여 같은 날 23시 24분에 제1042열차에 탑승하여 동대구역을 출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