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6:37:43

양평로(전진)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483D8B><colcolor=#fff> 삭방환후(朔方桓侯)
梁平老 | 양평로
시호 (桓)
작위 삭방후(朔方矦)
(梁)
평로(平老)
불명
생몰 ? ~ 372년 11월
출신 악양군(略陽郡) 임위현(臨渭縣)
아들 양성(梁成)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전진의 인물. 약양(略陽)의 저족.

2. 생애

재능과 식견이 있고, 명민하여 법령에 어긋나는 일을 하지 않았다. 일찍이 영웅호걸과 교류하길 좋아하던 동해왕 부견과 친분이 있었고, 부견은 양평로에게 왕을 보좌할만한 재주가 있다며 몸을 기울여 예를 다해 벗으로 대하였다.

수광 원년(355년) 6월, 경명제 부건이 붕어하고 부생이 그 뒤를 이어 황제로 즉위하자, 양평로는 특진(特進), 영 어사중승(領御史中丞)에 임명되었다.

수광 3년(357년) 6월, 황제 부생은 대단한 폭군의 기질을 가지고 있어 술에 취해 대신들을 죽이는 일이 많았기에, 많은 대신들은 하루가 10년처럼 느껴질 정도로 긴장하면서 살았다. 보다못한 양평로는 부견에게 나아가 말했다.
"주상께서 위로는 덕을 잃으셨고, 아래로는 사람들의 원망을 사고 있습니다. 이에 사람들은 각자 다른 뜻을 품고 있으며, 연나라 진나라는 서로 기회만을 엿보고 있으니, 재앙이 닥치면 집과 나라가 모두 무너지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이는 전하의 집안일이므로 의당 조속히 황위를 도모해야만 합니다."
부견은 마음 속으로는 양평로의 권유가 타당하다 여겼으나, 당장은 명분이 없어 실행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부견은 황제 부생이 부견의 서형인 청하왕 부법을 죽이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하면서 이를 명분으로 정변을 일으켰다. 양평로는 부견의 명을 받아 청하왕 부법, 광록대부 강왕(强汪)과 함께 정예병 수백 명을 대동하여 운룡문(雲龍門)을 통해 황궁으로 들이닥쳤고, 부견이 그 뒤를 이어 진입하였다. 궁중의 숙위병들이 모두 병장기를 버린 채 부견에게 앞다투어 투항하니, 부견 등은 큰 저항없이 부생의 침실로 들어가 그때까지도 술에 취해있던 부생을 폐위시켰다. 이윽고 황위를 찬탈해 대진천왕으로 즉위한 부견은 양평로를 상서우복야로 삼았다.[1]

감로 원년(359년) 12월, 사지절, 도독북수제군사(都督北藩諸軍事), 진북대장군에 임명되어 삭방군(朔方郡) 서부 지역을 진수하여 선비족이나 흉노족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에 개부의동삼사가 더해지고, 삭방후(朔方矦)에 봉해졌다. 양평로는 10년 넘도록 삭방을 지키면서 서북부 지역을 크게 안정시켰고, 선비나 흉노는 두려워 감히 침입하지 못했다고 한다.

건원 8년(372년) 11월,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환(桓)'. 아들로는 비수대전 직전에 유뢰지의 공격을 받고 전사한 양성(梁成)이 있다.


[1] 《십육국춘추》의 경우 상서좌복야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