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이와테현 선거구 | 미야기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다키사와 모토메 | 요코사와 다카노리 | 이시가키 노리코 | ||
2028년 개선 | ||||
다나부 마사요 | 기도구치 에이지 | 사쿠라이 미쓰루 | ||
아키타현 선거구 | 야마가타현 선거구 | 후쿠시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테라다 시즈카 | 하가 미치야 | 모리 마사코 | ||
2028년 개선 | ||||
이시이 히로오 | 후나야마 야스에 | 호시 호쿠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 1구 | 아오모리 2구 | 아오모리 3구 | 이와테 1구 | 이와테 2구 |
쓰시마 준 | 간다 준이치 | 오카다 하나코 | 시나 다케시 | 스즈키 슌이치 | |
이와테 3구 | 미야기 1구 | 미야기 2구 | 미야기 3구 | 미야기 4구 | |
오자와 이치로 | 오카모토 아키코 | 가마타 사유리 | 야나기사와 쓰요시 | 아즈미 준 | |
미야기 5구 | 아키타 1구 | 아키타 2구 | 아키타 3구 | 야마가타 1구 | |
오노데라 이쓰노리 | 도가시 히로유키 | 미도리카와 다카시 | 무라오카 도시히데 | 엔도 도시아키 | |
야마가타 2구 | 야마가타 3구 | 후쿠시마 1구 | 후쿠시마 2구 | 후쿠시마 3구 | |
스즈키 노리카즈 | 가토 아유코 | 가네코 에미 | 겐바 고이치로 | 오구마 신지 | |
후쿠시마 4구 | |||||
사카모토 류타로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에토 아키노리 | 바바 유키 | 모리시타 치사토 | 데라다 마나부 | 기쿠치 다이지로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후쿠하라 준지 | 쇼지 겐이치 | 마스타 세키오 |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 사와라 와카코 | |
비례 11 | 비례 12 | ||||
사이토 유키 | 네모토 다쿠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일본의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
야마가타현 제1구
山形県第1区 |
}}} | |||
|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300,510명 (2023) | |||||
상위 도도부현 | 야마가타현 | |||||
하위 행정구역 | ||||||
국회의원 |
|
엔도 도시아키 |
[clearfix]
1. 개요
야마가타현의 남동부 지역인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엔도 도시아키.
2. 상세
자민당의 엔도 도시아키와 민주당의 카노 미치히코가 경합을 벌였던 지역구다. 재미있는 점은 카노 미치히코는 자민당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이후 탈당해 민주당 의원이 되었고, 엔도 도시아키는 무소속으로 첫 당선되어 일본신당을 거쳐 나중에 자민당 의원이 되었다. 둘 다 각료을 역임했고[1], 카노 미치히코는 두 번이나 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적이 있다.그러다가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로는 3승 3패 무소속이라는 최종 전적을 남긴 채 더이상의 라이벌 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엔도 도시아키가 압승하고 있다. 카노는 2013년 제23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낙선한 이후로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2021년 10월 21일에 7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역대 국회의원
야마가타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카노 미치히코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엔도 도시아키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카노 미치히코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엔도 도시아키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4년 |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카노 미치히코 | 81,047표 | 1위 | |
|
48.31% | 당선 | |
엔도 도시아키 | 60,748표 | 2위 | |
|
36.21% | 비례당선 | |
야마자키 신고 | 15,002표 | 3위 | |
|
8.94% | 낙선 | |
이노우에 다쓰오 | 10,955표 | 4위 | |
6.5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67,752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카노 vs 엔도 1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제1차 가이후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총무청 장관을 지냈으나, 이후 정치개혁을 내걸고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신당 미래, 자유개혁연합을 거쳐 신진당 창당에 합류한다. 엔도 도시아키 의원은 일본신당 추천을 받아 무소속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다른 일본신당 의원처럼 신진당에 합류하지 않고 자민당에 입당, 같은 야마가타현 유력 정치인인 가토 고이치의 최측근이 된다.
아무래도 카노 의원의 정치적 중량감이 높기에 손쉽게 당선된다. 엔도 의원은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카노 미치히코 | 90,349표 | 1위 | |
|
52.03% | 당선 | |
엔도 도시아키 | 70,290표 | 2위 | |
|
40.48% | 낙선 | |
사토 아키코 | 12,996표 | 3위 | |
7.48%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73,635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카노 vs 엔도 2차전 - 이번에도 카노 의원이 큰 차이로 승리했다. 엔도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 부활도 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100,764표 | 1위 | |
|
49.89% | 당선 | |
카노 미치히코 | 81,580표 | 2위 | |
|
40.39% | 비례당선 | |
사이토 쇼스케 | 12,266표 | 3위 | |
|
6.07% | 낙선 | |
이시카와 쇼 | 7,356표 | 4위 | |
3.6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01,966표 |
투표율 67.2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카노 vs 엔도 3차전 - 카노 의원은 민주당 부대표를 지내던 도중, 비서가 이권에 개입하고 뇌물을 받는 바람에 2002년 2월 6일 민주당을 탈당했다. 카노 의원의 친족이 경영하는 기업의 사원들이 의원실의 비서로 등록되어 부당하게 급여를 수령받았다는 의혹도 있었다.[2] 약 1년 6개월 동안 무소속으로 있다가 선거 직전 오카다 가쓰야 간사장의 복당 요청을 받고 2003년 9월 23일에 민주당에 복당하나, 이미지가 나빠져서 거꾸로 자민당 엔도 전 의원에게 10% 가까운 격차로 패배한다. 그래도 민주당이 이 선거에서 상당한 선전을 하면서 석패율제 구제를 받아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125,774표 | 1위 | |
|
56.38% | 당선 | |
카노 미치히코 | 86,755표 | 2위 | |
|
38.89% | 낙선 | |
이시카와 쇼 | 10,536표 | 3위 | |
4.7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23,065표 |
투표율 73.8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5,878인 |
카노 vs 엔도 4차전 -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한 선거라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엔도 의원이 압승했고, 카노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도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한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카노 미치히코 | 106,202표 | 1위 | |
|
46.23% | 당선 | |
엔도 도시아키 | 104,911표 | 2위 | |
|
45.67% | 비례당선 | |
無 | 이토 카오리 | 11,419표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97% | 낙선 | |
사토 마사유키 | 6,021표 | 4위 | |
2.62% | 낙선 | ||
모리 다이고로 | 1,149표 | 5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0.50%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29,702표 |
투표율 75.7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6,052인 |
카노 vs 엔도 5차전 -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압승하는 덕분에 이번에는 카노 미치히코 후보가 당선된다. 4년만의 중의원 복귀이다. 다만 민주당이 압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구에서 1%도 안되는 격차로 승리하는 바람에, 확실히 예전보다 정치적으로 많이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엔도 의원도 선거구에서는 근소하게 밀렸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생환한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102,169표 | 1위 | |
[공] |
54.63% | 당선 | |
카노 미치히코 | 70,411표 | 2위 | |
[4] |
37.65% | 낙선 | |
이시카와 쇼 | 14,447표 | 3위 | |
7.7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87,027표 |
투표율 63.0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5,571인 |
카노 vs 엔도 6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4년만에 중의원에 복귀해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 간 내각에서 중의원 예산위원장을 지냈고, 간 제1차 개조내각부터 노다 제1차 개조내각까지 농림수산대신을 꽤 오래 지내는등 다시 주목받으나, 민주당과 노다 제3차 개조내각에 대한 낮은 지지를 극복하지 못하고 다시 낙선한다. 이후 카노 미치히코는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낙선하자 정계를 은퇴한다. 따라서 카노와 엔도의 대결은 이번 선거가 마지막이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98,508표 | 1위 | |
[공] |
61.14% | 당선 | |
하라다 마사히로 | 46,029표 | 2위 | |
|
28.57% | 낙선 | |
이시카와 쇼 | 16,577표 | 3위 | |
10.2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61,114표 |
투표율 54.2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4,983인 |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104,227표 | 1위 | |
[공] |
57.27% | 당선 | |
아라이 간 | 62,407표 | 2위 | |
|
34.29% | 낙선 | |
이시카와 쇼 | 15,354표 | 3위 | |
8.4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81,988표 |
투표율 59.8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9,496인 |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 110,688표 | 1위 | |
[공] |
59.97% | 당선 | |
하라다 마사히로 | 73,872표 | 2위 | |
|
40.0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84,560표 |
투표율 61.59%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03,982인 |
국회의원 선거 (야마가타 1구)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엔도 도시아키 | 하라다 마사히로 | ||
득표수 (득표율) |
110,688 (59.97%) |
73,872 (40.03%) |
+36,816 (△19.94) |
303,982 (61.59%) |
야마가타시 | 57.84% | 42.16% | △15.69 | 60.49 |
카미노야마시 | 62.35% | 37.65% | △24.70 | 65.59 |
텐도시 | 65.74% | 34.26% | △31.47 | 62.04 |
히가시무라야마군 | 62.79% | 37.21% | △25.58 | 66.34 |
현역 자민당 엔도 도시아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은 하라다 마사히로 야마가타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공산당에서도 지난 중의원 선거에 출마한 이시카와 쇼 후보를 공천했으나, 9월 19일 이를 철회하고 각 야당의 지방조직이 입헌의 하라다 후보를 통일후보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엔도 후보와 입헌민주당 하라다 후보의 1대1 대결이 이뤄졌다.
카노 미치히코 전 농림수산대신의 정계 은퇴이후 자민당 초강세지역이 되었는데, 야당이 지난 참의원 선거에서 야마가타현의 현역 자민당 의원을 꺾은 기세를 몰아 이 지역구를 다시 경합지역으로 만들지 주목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엔도 후보가 20% 차이로 비교적 여유있는 승리를 거두었다. 비록 다선 의원에 대한 심판 열풍이 있었지만, 엔도는 기시다 후미오의 최측근으로 분류되고 최근에 당 4역 중 하나인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되었기에 심판 열풍을 어느정도 피해갔다. 물론 아마리 아키라 간사장처럼 지역구에서 패한 거물도 있지만, 엔도는 딱히 물의를 일으킨 것이 없기에 큰 표차로 지역구를 수성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야마가타현 제1구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엔도 도시아키 (遠藤利明) |
92,238표 | 1위 | |
[공] |
55.48% | 당선 | |
하라다 마사히로 (原田和広) |
64,717표 | 2위 | |
|
38.93% | 낙선 | |
미이데라 오사무 (三井寺修) |
9,293표 | 3위 | |
|
5.5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66,248표 |
투표율 57.6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95,741인 |
국회의원 선거 (야마가타 1구)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엔도 도시아키 | 하라다 마사히로 | 미이데라 오사무 | ||
득표수 (득표율) |
92,238 (55.48%) |
64,717 (38.93%) |
9,293 (5.59%) |
+27,521 (△16.55) |
295,741 (57.62%) |
야마가타시 | 53.29% | 40.81% | 5.90% | △12.49 | 56.68 |
카미노야마시 | 60.24% | 34.79% | 4.97% | △25.44 | 62.22 |
텐도시 | 60.19% | 34.61% | 5.19% | △25.58 | 57.46 |
히가시무라야마군 | 58.47% | 37.02% | 4.51% | △21.45 | 61.77 |
자민당에서는 엔도 도시아키 의원의 10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하라다 마사히로 전 현의회 의원이 현역 지부장이며, 차기 총선에 재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공산당에서는 야마가타현련 위원인 미이데라 오사무가 새로이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자민당 엔도 후보가 과반을 넘는 득표율로 여유있게 10선에 성공하였다.
[1]
카노는 농림수산대신, 총무청 장관[9]을, 엔도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경기대회 담당 국무대신을 역임했다.
[2]
이에 관련된 내용은
일본어 위키백과의
업제연 사건(業際研事件) 문서를 참조할 것.
[공]
추천
[4]
추천
[공]
추천
[공]
추천
[공]
추천
[공]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