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23:51:10

아모리 가르시아

아모리 가르시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한화 이글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 (3) (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 (3) (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 (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 (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 (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 (3)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 (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 (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 (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 (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 (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 (3) (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 (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 (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 (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 (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 (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 (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 (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 (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 (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 (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바리아 (3) 파일:파나마 국기.svg
와이스 (5)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일시 대체 영입 후 정식 계약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아모리 가르시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45번
러스 모맨
(1995~1996)
<colcolor=#ffffff> 아모리 가르시아
(1999)
척 스미스
(2000~2001)
한화 이글스 등번호 36번
김재현
(2000~2001)
가르시아
(2002)
신민기
(2003~2005)
}}} ||
}}} ||
아모리 가르시아
Amaury Garcia
본명 아모리 미겔 가르시아
Amaury Miguel Garcia
출생 1975년 5월 20일 ([age(1975-05-20)]세)
산토도밍고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8cm, 72kg
포지션 유격수, 2루수 [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FLA)
소속팀 플로리다 말린스 (1999)
한화 이글스 (2002)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전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002년 한화 이글스에 계약금 2만달러, 연봉 14만 5천달러의 조건으로 영입되었다.

데뷔전을 4타수 3안타로 마무리하고, 4월 11일 SK전에선 채병용에게, 5월 1일 롯데전에선 박지철에게 홈런을 뽑아내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2할 중반 ~ 중후반대의 타율을 계속 유지하다가 MLB 시절 2루수만 봐왔던 그를 구단에선 유격수로 굴렸고, 이로 인해 발목 부상을 당하게 되었는데, 그걸 구단이 알고도 계속 출전시키며 심해진 부상을 안고 KBO 생활을 청산하게 된다. [2]

이후에 그는 마이너 리그와 중국 리그, 이탈리아 리그 등에서 활동하다 2008년 은퇴했다.

3. 여담

그가 떠나고 플로리다 말린스의 등번호 45번은 척 스미스에게로 갔는데, 이 선수도 훗날 두산 베어스에 영입되며 KBO를 경험한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999 FLA 10 24 6 0 1 2 2 2 0 3 11 .250 .333 .583 .916
MLB 통산
(1시즌)
10 24 6 0 1 2 2 2 0 3 11 .250 .333 .583 .916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사구 삼진 장타율 출루율 OPS
2002 한화 24 77 .260 19 3 1 2 8 7 5 4 20 .299 .411 .710
KBO 통산
(1시즌)
24 77 .260 19 3 1 2 8 7 5 4 20 .299 .411 .710

5. 관련 문서


[1] MLB 시절엔 2루수를, 한화 시절엔 유격수를 자주 보았는데, 이게 화근이 되어 한화에서 부상을 입고 방출당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2] 유격수는 내야 포지션 중 강한 어깨와 스피드를 요구하여 가장 어려운 포지션 중 하나로 꼽히는데 그걸 2루수만 보던 선수가 갑작스럽게 하게 되니 적응이 되지 않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