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4:18:28

숙정문


한양도성의 성문 및 종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창의문
彰義門

북소문
숙정문
肅靖門

북대문
혜화문
惠化門

동소문


서대문

지문
之門

동대문
소의문
昭義門

서소문


남대문
광희문
光熙門

남소문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0호 한양도성
숙정문
肅靖門 | Sukjeongmun
<colbgcolor=#bf1400><colcolor=#fff>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산 25-22
건축시기 1396년 (창건)
1976년 (복원)
시설 1동
이칭 북대문(北大門)
숙청문(肅淸門)
파일:attachment/640px-Sukjeongmun.jpg
<colbgcolor=#bf1400> 숙정문

1. 개요2. 명칭3. 특징4.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한양도성의 4대문 중 북문. 일명 '북대문(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1396년(태조 5년) 9월에 도성 사대문과 사소문을 준공할 때 함께 세운 문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산 25-22에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문루(門樓)가 없었지만[1] 1976년에 복원할 때 세웠다.

2. 명칭

원래는 ' 지혜를 드러내지 않는다'는 뜻의 '숙청문(肅淸門)'이라고 했으나 이후 중종 때에 '청()'을 고요하고 안정되어 있다'는 '정()'자로 바꾸어 '숙정문'이 되었다. 1523년(중종 18년) 처음으로 '숙정문'이라는 표기가 쓰인 후 혼용되다가 '숙정문'으로 굳은 듯 하다.

한양도성 사대문의 이름에는 음양오행사상이 강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5대 덕목 '인의예지신'과 동서남북이 서로가 서로에게 대응하도록 작명했다. 인()의 경우 어질다는 의미에 걸맞게 사계절 중 온화한 ()에 대응하며, 이는 오행사상에 따라 목()에 해당하는 동()문의 이름 ( 흥인지문)으로 사용되었다. 반면 의()는 엄정해야 하기에 계절로서는 가을()에 대응하며, 오행 중 금()에 해당하는 서( 西)문의 이름( 돈의문)으로 사용되었다. 예()는 화려히 드러내는 것이라 하여 여름()에 대응했으며, 오행 중에서는 화()에 해당하는 남()문의 이름( 숭례문)이 되었다. 지()는 공자의 지자요수(知者樂水,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한다)의 고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행 중 수()에 대응하며, 계절로는 겨울()이 된다. 그래서 원래는 '지(智)'가 이름에 들어가야했지만 유독 여기만 규칙을 따르지 않았다. 확실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숙정문의 원래 이름인 '숙청문(肅淸門)'의 '청(淸)'에 이미 물(水)이 있어 '지(智)'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해석하는 의견과 원래 이름을 '숙청문'이 아니라 '소지문(昭智門)'으로 하려 했다는 의견이 있으나 증거는 부족해 뭐가 맞는지는 알 수 없다.
인의예지를 제외하면 신자가 남는데 사방이 아닌 중앙을 뜻하며 보신각의 이름에 사용되었다.

대신 숙종 때 서울 한양도성을 보완하기 위해 세운 탕춘대성의 성문 홍문(弘智門)에 지(智) 자를 써서 인의예지신을 완성했다.

3. 특징

일단 4대 성문 중 북문이지만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산 속에 지어진 탓에 실질적으로는 조선시대에도 성문의 기능은 하지 않았다. 대신 북소문인 창의문(자하문)과 숙종 대에 만든 홍지문이 북문으로 실제 '북쪽에서 한양으로 들어오는 입구'로서의 기능을 대신했다. 일례로 도성 각 대문의 바깥을 교()라고 해서 동교, 서교, 남교 등으로 불렀는데, 북교만은 창의문 바깥을 뜻했다.

이는 풍수지리적으로 북쪽이 음을 의미하기도 해 기피대상이었던 것이 이유였다. 북쪽 문을 열어두면 여자들의 음기가 세진다는 이유로 풍수지리에서는 북쪽에 문을 놓지 않거나 놓더라도 일부러 왜소하고 좁게 지어놓고 닫아두는 경우가 많았다. 숙정문이 산 속에 지어진 이유는 이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경복궁 신무문도 숙정문과 거의 비슷한 구조로 지어졌다. 즉 음기를 쫓기 위해 숙정문은 무늬만 북쪽의 대문 형태로 취해놓고 닫아둔 다음, 실질적인 입구의 역할은 다른 문들이 대신한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애초에 잘 열지도 않던 문인데, 1413년 풍수지리학자 최양선이 이 문이 지맥을 손상시킨다며 상소를 올려 그 뒤로 소나무로 길까지 막았다.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자리까지 옮겼다고 하는데, 실제로 옮겼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렇게 기피되는 문이다 보니 북대문(北大門)이라는 별칭도 당연히 붙지 않았다. 사실 "북대문" 자체가 최근에 와서야 붙은 별칭이다. 태조실록 1396년 9월 24일조를 보면 각 성문의 정식 명칭을 붙이면서 동대문, 남대문 등의 속칭을 일일이 붙여 주는데, 숙정문은 이때 아무 별칭도 안 붙은 쪽이었다.

일반 백성들은 출입은커녕 구경할 일조차 거의 없던 숙정문이지만 그렇다고 완벽하게 버려진 문은 또 아니었는데, 그건 바로 나라에 가뭄이 들었을 때. 양과 불의 기운을 가져오는 남쪽의 숭례문을 닫고 오히려 음과 물의 기운을 받아들이기 위해 숙정문을 활짝 열어 기우제를 지냈으며, 그러다가 비가 내리기 시작한 경우 또 너무 많이 온다 싶으면 홍수를 막고자 도로 숙정문을 닫았다.

현재의 현판은 1976년 문루 복원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쓴 것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은 한문 가로쓰기다.

4. 여담

파일:external/www.seongbuk.go.kr/contents277_1_cmyk.jpg }}} ||<width=490>
파일:창의문_지형.jpg
||
<colbgcolor=#bf1400> 숙정문으로 잘못 알려진 창의문 사진 <colbgcolor=#bf1400> 창의문 부근의 지형[2]
왼쪽 흑백 사진에 있는 문이 숙정문으로 알려지기도 했지만, # 사실은 창의문을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 사진의 지형과 흑백 사진의 지형을 비교해 보면 흑백 사진에 찍힌 것이 창의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숙정문은 산 위에 있기 때문에 근처에 초가집이 보일 수가 없다.

[1] 고지도에도 숙정문은 문루가 그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아예 문루가 없던 문이 아니었냐는 의견이 있다. [2] 사진 출처 - 국도교통부 V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