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0:52:48

서새봄/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새봄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bordercolor=#4ba0e1> 파일:서새봄_유튜브_프로필.jpg 서새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소개 서새봄 · · 여담 · 방송 기록 및 역사( ~2022년 · 2023년)
콘텐츠 주 콘텐츠 · 플레이한 게임
기타 팀 K/DA(2019년) · 팀 K/DA(2021년) · 논란 및 사건 사고
}}}}}}}}} ||

1. 개요2. 내용
2.1. 숫자2.2. ㄱ ~ ㄲ2.3. ㄴ2.4. ㄷ2.5. ㄹ2.6. ㅁ2.7. ㅂ ~ ㅃ2.8. ㅅ2.9. ㅇ2.10. ㅈ2.11. ㅌ2.12. ㅎ

[clearfix]

1. 개요

스트리머 서새봄이 사용하는 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2. 내용

숫자, 한글, 외국어 순 사전식 배열

2.1. 숫자

2.2. ㄱ ~ ㄲ

2.3.

2.4.

2.5.

2.6.

2.7. ㅂ ~ ㅃ

2.8.

2.9.

2.10.

2.11.

2.12.

이런 경향은 점차 심해지다가 '회크리트를 위한 곡'이라는 서새봄 팬영상을 필두로 절정에 달해 다른 스트리머 방에 도네 테러를 하는 등 사고를 치고 다녔다. 이는 게임의 엔딩을 보고 난 후에도 이어졌다. 일련의 일들로 서새봄이 방송에서 몇 차례 화를 내기도 했다. 현재는 상기 팬 영상은 서새봄의 요청으로 삭제된 상태. 해당 팬 영상에서 나온 회색도시 은제 하냐 그 때 올란다, 1회차 했으면 2회차, 2회차 했으면 3회차, 스트리머라면 5회차는 해야지 등의 멘션은 회크리트를 상징하는 유행어이자 밈이 되었으며, 트위치 내에서 서새봄의 높은 인지도와 회색도시의 낮은 인지도가 합쳐져 트위치에서의 회색도시의 인상은 이 회크리트 밈이 큰 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서새봄은 이런 회크리트 밈에 스트레스를 받아 유튜브에 올라가던 회색도시 플레이 영상은 에피소드4 중반인 32화를 끝으로 업로드가 멈추게 되었다.
다시보기용 유튜브 채널이 개설되면서 몇몇 청자들이 “지난번에 끊긴 회색도시 제발 올려주세요ㅠ”라는 도네가 많이 왔었으나 어그로가 많이 끌린다고 서새봄은 거절하였다. 또 같은 도네가 너무 많이 들어오자 “원 채널에 있던 회색도시도 내려버려야겠다.”는 극단 처방을 하기로 마음먹는다. 하지만 말과는 달리 18년 4월 29일, 본편과 이어지는 회색도시 33화가 다시보기용 유튜브에 올라왔고 완결까지 지속적으로 업로드 되었다.
19년도 5월 방송 토크 중 지나가듯 이야기 했지만 한창 회크리트들의 전성기 때는 많이 힘들었다고 한다. 막상 회색도시를 다시 가져오더라도 정작 시청자 반응은 시원치 않아서... 게임 선정기준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고 서새봄 본인이 직접 공언했다. 이후로는 플레이타임이 긴 스토리 위주의 게임의 시간배분을 적절히 하게 되었으며, 너무 늘어지는 경우 중단하기도 하는 등 회색도시 플레이 당시의 경험이 반면교사가 된 경우가 종종 보인다.
회크리트는 일반적인 겜크리트와는 다른 점들이 있다. 방송으로 인해 좋지 않은 인식이 퍼져나가 플레이한 방송인이 몇 없는 점도 있으나, 주로 서새봄의 방송에서만 회크리트 밈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시간이 지나 몇몇 방송인들이 회색도시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으나 서새봄 방송에서 나타난 회크리트 밈은 유의미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대표적인 유행어인 '1회차 했으면 2회차, 2회차 했으면 3회차, 스트리머라면 5회차는 해야지' 라는 말이 무색하게 회색도시2는 다회차 요소가 별로 없다.[24] 대개 전작이자 시퀄인 회색도시 1을 이어 플레이하게 되고, 그렇게 하기를 기대한다. 그런데도 의미없는 n회차 제창을 게임이 완결 나기도 전부터 유행어로써 남발하는 상황은 일반적인 겜크리트의 모습과 거리가 있다. 애초에 해당 유행어의 출처인 팬 영상도 타이틀 로고를 제외하면 회색도시의 요소는 거의 없는, 거의 순수한 서새봄에 대한 팬 영상이다. 정리하자면 회크리트 밈은 회색도시의 팬보다는 서새봄의 팬들로 주로 구성된, 서새봄 밈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초에 인지도가 낮았던 회색도시의 이미지는 회크리트로 인해 상당히 부정적으로 굳어졌으며, 타 스트리머 게시판에 회색도시 플레이를 추천하는 글이 올라오면 날이 서거나 부정적인 반응이 잇따랐다. 회색도시는 회크리트 밈으로써 악성 시청자들이 서새봄을 괴롭히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용되었지만 비난의 화살은 회색도시 자체가 고스란히 받게 된 것이다...

[1] 하지만 서새봄 본인은 그 도네가 나올 때마다 얼른 스킵해버리는 편.. 그래서 시청자들은 서새봄이 자리를 비울 때마다 음성도네를 보내곤 한다. [2] 최근에는 사실상 포기해 스킵하지 않는 편인데, 자기 팬들은 자기가 하지 말라고 하면 웬만해서는 안 하는 편인데 가시나는 너무 자주 나온다고.... [3] 이제 웬만하면 하지 말자. 잘 모르긴 했지만 본인이 밝힌 바로는 가시나로 인해 쌓인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한다. 다만 최근 들어서 겸허히 받아들이며 해탈한 태도를 보였다. [4] 대신 고양이 소리가 상당히 리얼하다. [5] 사실은 캔콜라 [6] 설명에 앞서 서새봄의 노래실력은 정확히 말해서 음치는 아니다. 노래할 때 대부분 생목과 비음을 쓰는데 이 음의 톤이 높고 날카로워서 청각적 자극이 강한 것이다. 실력 자체는 일반인 평균에 수렴한다. 다만 아프리카 시절부터 일부 팬들에게서 음치 기믹이 전해져 오고 있었고 반대로 새봄의 노래를 좋다고 하는 인원도 6:4 정도의 비율로 존재했다. 트위치로 새봄이 이적한 이후 아프리카 시절의 팬들 이상으로 음치 기믹을 좋아하고 재미있어하는 팬들과 유입 트수들이 함께 음치 캐릭터를 키워낸 것이다. 이 과정 중에서 생겨난 무수한 음치 기믹 관련 도네들 사이에서 고정 도네 컨셉으로 새봄의 노래를 방어한다는 개념의 노래방어모듈이라는 이름의 도네빌런이 몇 가지 고정 패턴 도네로 새봄의 노래를 방해하며 트수들의 청각을 보호하는 히어로 포지션을 잡곤 했었다. [7] 은돌이, 디발라, 젠지에게 하는 것. 패드립을 말하는 게 아니다. [8] 다만 후술할 몬데그린 대사와 관련돼 백정봉으로 불린다. [9] 당시에도 현재 금액 기준과 동일한 만원인 별풍선 100개 이상으로 정해져 있었다. [10] 구독티콘 중 heart2Bye 이모티콘 [11] 영어를 잘 읽지 못하기 때문에 영어 아이디를 사용하고 있다면 못 읽어줄 수 있다. 불러주길 원한다면 한글 아이디를 사용하도록 하자. 이제는 어느 정도 영어 아이디도 잘 읽어주는 듯 보인다. [12] 본래 캠을 계속 켜뒀지만 이제는 검은화면 바탕에 팬아트를 올려놓는 방식으로 바꾼다고 한다. [13] 당시 준비한 6부 콘텐츠 중에서 제대로 한 것은 1~2개 정도 뿐.. [14] 물론 가뭄에 콩 나듯 몇 분 만에 해결하기도 하는데, 이럴 때마다 시청자들은 능지(=지능) 상승 드립을 친다. [15] 원래 스트리머 마리와 비교질로 쓰이던 비하 용어 였지만 서새봄이 받아들였다. # [16]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중반 스파르타 집정관 라고스를 죽임으로서 민중에 대한 식량 공급이 끊길 위기에 놓이자 친 것. [17] 이 역시 오디세이 중 교단원으로 판명된 스파르타 왕을 길거리에서 대놓고 쳐 죽이자 생긴 드립. [18] 해당 내용을 서술한 나이는 만 나이가 아닌, 한국 나이다. [19] 위 방송 클립의 상황은 이례적으로 월요일에 휴방을 하게 된 서새봄의 반응이다. 원래 휴방일은 수요일. [20] 게다가 형상이 도라지를 닮았다고 도라지로 불리기도 하고, 저금통 돈 투입구니 돈을 넣어달라는 드립도 쳐졌는데, 서새봄 본인은 이를 쓰다듬으며 복받은 정수리라며 이를 통해 많은 도네를 받았음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21] 비슷한 사례로 모근단, 칼찌단, 쑥쑥단, 레꼬단 등이 있다. 다만 만나보쇼 이후로 와퍼단이라 불리는 경우도 많아졌다. [22] 블리자드 게임 중 하지 않은 게임은 스타크래프트 뿐이다. [23] 돌크리트, 롤크리트 등. [24] 유의미한 엔딩은 1회차부터 볼 수 있는 최후의 선택지에서 갈라지는 노말, 트루 엔딩이 전부이며, 캐릭터 수집요소를 모으면 히든 엔딩이 개방되나 쿠키영상같은 짧은 영상이 전부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63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6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