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6cb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
돌산읍 | |||||||||||||||||||||||||||||||||||||||||||||||||||
면 | |||||||||||||||||||||||||||||||||||||||||||||||||||
남면 | 삼산면 | 소라면 | |||||||||||||||||||||||||||||||||||||||||||||||||
율촌면 | 화양면 | 화정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광림동 | 광무동 | 오림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국동 | 국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대교동 | 남산동 | 봉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동문동 | 관문동 | 종화동 | 동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둔덕동 | 둔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만덕동 | 덕충동 | 만흥동 | 오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묘도동 | 묘도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문수동 | 문수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미평동 | 미평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삼일동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강동 | 서교동 | 봉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시전동 | 시전동 | 신기동 | 웅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쌍봉동 | 학용동 | 안산동 | 소호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서동 | 여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천동 | 선원동 | 여천동 | 화장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월호동 | 경호동 | 신월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주삼동 | 주삼동 | 봉계동 | 해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중앙동 | 중앙동 | 고소동 | 교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충무동 | 충무동 | 군자동 | 연등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한려동 | 공화동 | 수정동 | }}}}}}}}} |
여수시의
면 삼산면 三山面 | Samsan-myeon |
|||
<colbgcolor=#0f6cb1><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여수시 | ||
행정표준코드 | 4810070 | ||
관할 법정리 | 6리 | ||
하위 행정구역 | 10행정리 80반 | ||
면적 | 27.55㎢ | ||
인구 | 1,965명[1] | ||
인구밀도 | 71.32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여수시 갑 | |
|
주철현 (재선) | ||
전라남도의원 | 제1선거구 | |||
|
이광일 (3선) | ||
여수시의원 | 가 선거구 | |||
|
김철민 (초선) | ||
|
박성미 (3선) | }}}}}}}}} | |
행정복지센터 | 거문길 28-10 | ||
삼산면사무소 |
[clearfix]
1. 개요
면소재지는 거문도에 있는 거문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여수 본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이다. 인구도 여수에서 가장 적고 2023년 12월 기준 1,987명으로 2천 명선이 무너졌다.2. 유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은 고도(古島)·동도(東島)·서도(西島)의 3개 섬이 바다에 떠있는 산(山)과 같아서 삼산(三山)이라 칭하였다는 설과, 거문도(巨文島)·초도(草島)·손죽도(巽竹島)를 3개의 산으로 상징하여 삼산이라 칭하였다는 설이 있다.3. 역사
조선시대 1396년(태조 5) 흥양현[현재 고흥]에 속해 삼도라 부르고, 현재 면장직과 같은 풍헌(風憲)을 두었다. 1885년(고종 22) 영국 해군의 불법 거문도 침입사건 발생 후에 거문진을 설치하고 경략사(經略使)와 도첨사를 두었으며, 1887년(고종 24) 삼도를 거문도라 개칭하였다.1908년(순종 1)에 전라남도 돌산군 소속으로 서도리에 삼산면 면사무소를 설치하였으며, 1914년 전라남도 여수군에 예속되었다가, 1949년에 전라남도 여천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98년 4월 1일 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에 따라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으로 변경되었다.
4. 섬지역
거문도권 : 거문도, 동도, 서도, 안노루섬, 밖노루섬, 소삼부도, 둥근섬, 대삼부소, 덜섬, 무구여, 문도, 흰여, 상백도, 나릇섬, 동암, 새퉁이밖여, 새퉁이안여, 높은날섬, 노적섬, 각시움통섬, 하백도, 흔덕여, 동퇴섬, 중앙진섬초도권 : 초도, 안목섬, 밖목섬, 취섬, 구멍섬, 진대섬, 둥글섬, 떨꺽여, 중결도, 말섬, 초리도, 용섬, 건너섬, 상섬, 보든아기섬
손죽도권 : 손죽도, 역만도, 나무여도, 반초도, 장거리도, 지마도, 소평도, 소평여도, 평도, 검등여, 갈퀴섬, 대두역서, 광도, 두래기여, 꺼먹두래기여, 농여, 작은검은여, 검은여
5. 교통
여수시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016aac> 철도 |
일반열차 |
전라선( 여천역, 여수엑스포역) |
도로 | 국도 | 17번 · 77번( 한려해저터널) | |
지방도 | 22번 · 863번 | ||
버스 | 시내버스 | 여수시 시내버스 | |
순천 96,
순천 94,
순천 95,
순천 960 광양 270 |
|||
시외 · 고속버스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여천시외버스정류장 |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항공 | 여수공항 | ||
항구 | 여수항, 거문도항, 국동항 외 189개 |
전라남도의 교통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f6cb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wiki style="color:#0f6cb1;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 | 2 | 6 | 7 | 77 | 333 | |||||||||
555 | 555-1 | 666 | 666-1 | 777 | |||||||||||
999 | |||||||||||||||
화양 | 21 | 23 | 24 | 24-1 | 25 | ||||||||||
25-1 | 26 | 26-1 | 27 | 28 | |||||||||||
29 | |||||||||||||||
율촌 소라 |
31 | 32 | 33 | 34 | 35 | ||||||||||
36 | 37 | 38 | 330 | ||||||||||||
90 | 91 | 93 | 95 | ||||||||||||
삼일 | 61 | 68 | 73 | 76 | 610 | ||||||||||
여천 | 80 | 81 | 82 | 83 | 84 | ||||||||||
85 | 87 | 88 | 89 | ||||||||||||
1000 | 2000 | ||||||||||||||
돌산 | 100 | 102 | 103 | 105 | 106 | ||||||||||
109 | 111 | 111-1 | 112 | 115 | |||||||||||
116 | |||||||||||||||
마을버스 |
국동 200 |
화정면.고흥 220 |
묘도 600 |
고소동 1019 |
|||||||||||
금오도.안도 365-1 |
연도 365-2 |
개도 365-3 |
거문도 365-4 |
초도 365-5 |
|||||||||||
폐선 노선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 | 3 | 5 | 8 | 9 | ||||||||||
10 | 13 | 15 | 16 | 17 | |||||||||||
18 | 21-1 | 22 | 35-1 | 36-1 | |||||||||||
50 | 52 | 62 | 65 | 72 | |||||||||||
75 | (구)77 | (구)83 | 84-1 | (구)85 | |||||||||||
85-1 | 86 | (구)87 | 88-2 | 92 | |||||||||||
100-1 | 101 | 107 | 110 | (구)111-1 | |||||||||||
113 | 114 | 888 |
}}}}}}}}} ||
|
*삼산면지역 어항 보유현황
연안항 : 거문도항
국가어항 : 초도항
지방어항 : 서도항, 손죽항, 의성항
소규모어항 : 거문항, 경촌항, 광도항, 녹항, 변촌항, 소거문항, 예미항, 정강항, 쥐포항, 평도항
총 : 15개소
6. 교육
6.1. 초등학교
거문초등학교6.2. 중학교
거문중학교7. 현황
거문도와 상백도, 하백도를 끼고 있는 해안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무인도인 상백도, 하백도는 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일반인의 상륙이 금지되어 있다. 관할 부속도서로는 대삼부도, 소삼부도, 초도, 손죽도, 소거문도, 평도, 광도, 역만도 등이 있다. 면소재지인 거문도는 맞은 편 서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서도와 동도는 북쪽에 거문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면의 이름은 거문도의 옛 명칭 중 하나인 삼산도에서 왔다는 설과 거문도, 초도, 손죽도 세섬이 있어서 삼산이란 설이 있다. 또한, 여수항보다 고흥 녹동항과 더 가까운데, 실제로도 원래 고흥군의 전신인 흥양현 소속이었다. 여러 섬들이 돌산군으로 짜깁기되고 다시 여수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그대로 여수에 편입되어버렸기 때문. 실질적인 생활권도 여수시보다는 고흥군에 조금 더 가깝다. 한편 나로도 또한 똑같이 돌산군으로 짜깁기 되었었지만 거긴 여수로 편입되지 않고 고흥군으로 돌아갔다.
대부분 해발 200~300m 정도의 산지로 구성된 작은 섬들로 산지가 대부분이고 평지는 거의 없다. 주요 농산물은 보리· 고구마 정도이며, 대부분의 주민이 어업에 종사한다. 연안 해역은 멸치· 도미· 삼치 등이 주요 어장을 이루고 있으며, 주민들은 대부분 거문도· 초도· 손죽도 등에 거주하고 있다.
여수항에서 쾌속 여객선으로 2시간 거리에 있는 지역으로 중간에 손죽도와 초도를 경유하게 된다. 특히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인 거문도 동쪽 해역의 백도 지역은 무인도이나 빼어난 절경으로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1호인 「거문도 뱃노래」와 같은 다양한 민속의 무형문화재가 있으며, 손죽도와 초도를 비롯한 삼산면 지역에는 영국인 묘, 여수 손죽도이대원사당 등의 문화재 등이 산재해 있다.
서도에 거문도해수욕장과 서도해수욕장이, 손죽도에는 손죽해수욕장이 있다.
2014년부터 10여년간 불편을 겪었던 거문도-여수항간 항로가 초쾌속 ‘하멜호’ 취항으로 운항 시간은 대략 2시간 정도로 소요되어 섬 주민들의 정주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8. 관할 리
총 6개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8.1. 거문리
면소재지이다.8.2. 덕촌리
8.3. 동도리
8.4. 서도리
8.5. 손죽리
8.6. 초도리
9. 출신 인물
- 김권문(손죽도): 독립운동가
- 김성환(거문도): 제20~22대 국회의원, 전 기초자치단체장[5][6]
- 김충석(초도리): 前 여수시장
- 김현일(거문도): 제48대 해군참모차장
- 박옥규(덕촌리): 前 해군참모총장
- 원용규 : 前 여수시의원
- 이병현(초도): 독립운동가
[1]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
[2]
거문도지역 마을버스
[3]
초도지역 마을버스
[4]
완도군 금일읍과 청산면이 접해있다.
[5]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지역구도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이다.
[6]
노원구에 여수시 출신이 이분의 영향으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서울특별시에서 순천시 출신과 더불어 여수시 출신도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이
노원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