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2:12:29

봉계동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6cb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돌산읍
남면 삼산면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광림동 광무동 오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국동 국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대교동 남산동 봉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동문동 관문동 종화동 동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둔덕동 둔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만덕동 덕충동 만흥동 오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묘도동 묘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문수동 문수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미평동 미평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삼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강동 서교동 봉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시전동 시전동 신기동 웅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쌍봉동 학용동 안산동 소호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서동 여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천동 선원동 여천동 화장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월호동 경호동 신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주삼동 주삼동 봉계동 해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중앙동 중앙동 고소동 교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충무동 충무동 군자동 연등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한려동 공화동 수정동 }}}}}}}}}

여수시 법정동
봉계동
鳳溪洞 | Bonggye-dong
<colbgcolor=#0f6cb1><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기초자치단체 여수시
행정표준코드 4613013900
관할 행정동 주삼동
면적 5.35㎢
1. 개요2. 연혁3. 지리4. 교통
4.1. 버스
5. 주요 시설
5.1. 공원5.2. 기관5.3. 주거
6. 교육7. 금융8. 현황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 면적은 5.35㎢로 구)여천시권역의 구)쌍봉면권역에서 가장 넓은 법정동이다.

2. 연혁

원래 여천군 쌍봉면(雙鳳面)에 속하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봉강리(鳳崗里)·월앙리(月仰里)·계원리(溪源里)·대곡리(大谷里)·월산리(月山里) 등의 각 일부가 통합되어 여천군 봉계리가 되었다. 1976년 9월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86년 1월 여천지구출장소가 여천시로 승격함에 따라 여천시 관할이 되었다. 1998년 여천군·여천시·여수시가 여수시로 통합됨에 따라 여수시 봉계동이 되었다. 이 동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주삼동(珠三洞) 관할하에 있다.

3. 지리

주삼동·월하동(月下洞)과 접해 있는 전봉산(戰鳳山:379m)과 계원·봉강·월앙·대곡·월산·큰골 등의 자연마을, 바위인 돌솥바위, 골짜기인 향교골 등이 있다. 월앙마을의 입향조는 동복오씨 오남(吳南)이며, 1528년에 처음 거주하였다.

4. 교통

여수시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일반열차
여천역, 여수엑스포역
도로 국도 17번 · 77번( 한려해저터널)
지방도 22번 · 863번
버스 시내버스 여수시 시내버스
순천 96, 순천 94, 순천 95, 순천 960
광양 270
버스 터미널 여수종합버스터미널, 여천시외버스정류장
항공 여수공항
항구 여수항, 거문도항, 국동항 외 189개
}}}}}}}}} ||
전라남도의 교통

여수국가산업단지와 시내권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여수국가산업단지와 여수시청, 여수항으로 도로가 갈라지는 사거리가 있다.

여수~순천 간 국도 17호선이 봉계동을 관통하고 있다.

4.1. 버스

5. 주요 시설

5.1. 공원

5.2. 기관

5.3. 주거

6. 교육

7. 금융

8. 현황

유적으로 대곡마을·월앙마을·봉강마을에 고인돌 여러 기가 있다. 둔덕고개 인근에는 여러곳의 아파트 단지가 위치한다.

여수시의 인구 감소가 너무 심해지자 지역구 시의원은 둔덕동 용수마을 인근 신규 택지 개발 추진하는 봉계.둔덕지구를 조성하자고 여수시에 제안해 주목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