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역사상 사회주의 체제였던 국가의 목록. 공산주의 문서에 기재된 국가 상당수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간단히 말하면 사회주의의 하위 개념 중 하나로 공산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공산주의는 보통 사회주의에 전부 포함되지만 사회주의 국가라고 공산주의인 것은 아닌 셈. 현대에선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뜻을 똑같다 착각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은근히 착각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다.2. 공산주의
2.1. 현재
헌법에 공산주의가 명시된 국가헌법에 공산주의가 명시된 국가는 아니지만, 공산당 또는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 단독집권 중인 국가
공산당이 단독여당이 아닌 연립여당인 국가[2]
2.2. 과거
과거의 공산주의 정당이 민주사회주의 노선으로 전향하여 집권 중인 경우 ☆로 표시.[8]-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 독일민주공화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
- 몽골 인민공화국 ☆
- 베트남 민주공화국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 베냉 인민공화국
- 소말리아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 앙골라 인민공화국 ☆
-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민주 캄푸치아
- 콩고 인민공화국 ☆
- 폴란드 인민공화국
- 헝가리 인민공화국
3.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3.1. 현재
헌법상 사회주의를 명시한 국가.헌법에 사회주의가 명시된 국가는 아니지만, 공산당을 제외한 사회주의 정당이 집권 중인 국가[11][12][13]
- 스페인
- 콜롬비아
- 포르투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독일
- 노르웨이
- 칠레
- 나미비아
- 니카라과
- 에티오피아
- 에리트리아
- 덴마크
- 볼리비아
- 스웨덴
- 시리아[14]
- 핀란드
- 뉴질랜드
- 파나마
- 아이슬란드
- 알바니아
- 알제리
- 영국
- 몽골
- 가이아나[15]
- 베네수엘라
- 콩고 공화국
- 모잠비크
- 앙골라
3.2. 과거
4. 미승인국·제한적 승인국
4.1. 현재
4.2. 과거
- 파리 코뮌
-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나르겐 군인과 요새건축자 소비에트 공화국
- 오데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
-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 핀란드 민주 공화국
- 쿠반-흑해 소비에트 공화국
-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조선인민공화국[20]
-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 극동 공화국
-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21]
- 테레크 소비에트 공화국
- 리투아니아-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 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 크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베사라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슬로바키아 소비에트 공화국
- 페르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장시-푸젠 소비에트 공화국(후난 소비에트 공화국의 후신이다.)
- 북캅카스 소비에트 공화국
-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 투르키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스투리아스 사회주의 공화국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내몽골 인민공화국
-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 마하바드 공화국
-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 북그리스 임시정부
-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
- 고르스카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
- 화레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캄푸치아 구국인민동맹임시정부
- 후난-장시 소비에트 공화국
- 리머릭 소비에트
-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5. 사회주의 성향 단체가 점거한 지역
자신들을 국가라고 표방하지 않는 경우 이곳에 기재한다.5.1. 현재
5.2. 과거
[1]
헌법에는 공산주의가 없고
조선로동당의 규약인
조선로동당규약(2021년 1월 개정)에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명시되어 있다. 참고로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에는 사회주의만 명시되어 있다.
[2]
아래의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국가 목록에 있어도 추가함.
[3]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과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이 연립여당으로 참여. 그리고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은 야당이다.
[4]
스페인 공산당이 통합포데모스의 일원으로 연립여당으로 참여
[5]
칠레 공산당이 존엄성을 인정하라의 일원으로 연립여당으로 참여
[6]
코뮌(구
FARC)이 연립여당으로 참여
[7]
자유 페루가 연립여당으로 참여
[8]
독일처럼 사회주의 정당이 집권 또는 연립여당 상태라고 해도, 분단 시절 서독 정당이였던
독일 사회민주당과
동독의
사회주의통일당을 계승한
좌파당이 다른 세력이였던 것처럼 다른 사회주의 정당일 경우 등록하지 아니함.
[9]
별개로, 공산당이 연립여당으로 집권 중
[10]
정확히는 헌법 전문에 적혀 있다.
[11]
연립여당 포함
[12]
위의 공산주의 국가 목록에 서술된 경우라도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정당이 여당이나 연립여당으로 집권하고 있으면 서술하였다.
[13]
과거 공산주의 정당이 민주사회주의로 전향한 후 재집권한 경우 포함.
[14]
아랍권에서 국교도 없고 세속화된 국가인데다 사회주의 성향의 아사드 정권의 세습으로 집권하다보니 공산주의로 오해받고 있다.
[15]
이전 문서에서 위의 공산주의 목록에도 포함되었지만 가이아나의
인민진보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로 전향한 것으로 여겨짐.
[16]
다만 현재에도
나세르주의 성향의 군부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다.
[17]
여기는 사회주의 정권이 무너진 현재에도 기존 버마식 사회주의를 이끌던 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파벌과 좌우 세력이 갈린다.
[18]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자 무장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이끌고 있다.
[19]
엄밀히 말하자면 제한적 승인국이며,
파타가 있다
[20]
우파인
이승만이 주석이었지만 이는 건준에서 임의로 넣은 것으로, 이승만 본인은 주석직을 거절했다. 실제 성향은
민주사회주의에 가까웠다.
[21]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는 다르다.
[22]
좋은 정치 위원회(
사파티스타)
[23]
무정부주의 성향의
CNT가 장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