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DIMIR KOZLOV |
[clearfix]
1. 프로필
본명 |
Олег Олександрович Прудіус 올레흐 올레크산드로비치 프루디우스 |
링네임 |
Vladmir Kozlov Oleg Prudius Alexander Kozlov |
별칭 |
The Moscow Mauler The Soviet War Machine The Soviet Cyborg |
생년월일 | 1979년 4월 27일 ([age(1979-04-27)]세) |
신장 | 203cm |
체중 | 137kg |
출생지 | 우크라이나 SSR 키이우 |
피니쉬 무브 | 아이언 커튼 |
테마곡 |
All for The Motherland[1] Pain[2] |
주요 커리어 |
OV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WWE 태그팀 챔피언 1회 |
2. 소개
우크라이나 키이우 태생의 프로레슬러. 프로레슬링 입문 전에는 미식축구, 킥복싱, 삼보를 비롯한 각종 무술을 배운 듯 하다. 참고 WWE에서는 각본상 러시아 모스크바 출신이라고 소개되었다.3. 프로레슬링 커리어
3.1. WWE
데뷔 초 ' 러시아 연방의 영웅' 기믹으로 활동했던 루세프와 유사한 저돌적이고 호전적인 반미주의 성향의 소련/ 러시아인 기믹[3]의 레슬러로 WWE에서 수년간 활동했다. WWE와 계약을 맺으며 제휴단체인 DSW, OVW에서 수련생으로 활동하며 사기적인 강력함을 어필하는 선수로 활동했고, 2006년경 관중석에 앉아 있다가 대뜸 "나는 트리플 H건 존 시나건 다 이길 수 있다"는 정체불명의 인터뷰를 하면서 모습을 드러냈다.[4]
그러다 2008년경 '소비에트 사이보그',(The Soviet Cyborg) '소비에트 워 머신',(The Soviet War Machine) ' 모스크바의 싸움꾼'(The Moscow Mauler)이란 비범한 이명을 달고 스맥다운에서 경기복장을 갖춘 채 본격적으로 등장했고, 한동안 지역 레슬러들을 학살하며 힘을 과시하였다. 경기는 거의 대부분이 1~2분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짧게 끝났고, 승리 직후 양 팔을 벌리고 "꿔어어어어어!!"라는 괴성을 지르며 포효하는 것이 포인트. 특이한 점은 입장씬이 암전이 된 상태에서 등장음악 하나 없이 조명만 덜렁 하나 비춰지고 묵묵히 걸어나오는 게 전부였는데, 나름 멋있으리라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막상 해보니까 상당히 썰렁해보였는지 금세 테마곡이 새로 붙여졌다.
데뷔 이후, 효도르에게서 영감을 받은 듯한 '냉혹한 동구권 출신 파이터 기믹으로 '포스트 브록 레스너' 격으로 낙점되어 무지막지한 급푸쉬를 받았었는데, 이게 어느정도였나면 초기에는 계속 무패행진을 이어나가고 당시 스맥다운에서 활동중이었던 모든 미드카더들은 그냥 초살시키는데다가,[5] 자버들을 상대로는 다대일로 붙어서 초살시켰고, 다른 수많은 메인이벤터들과도 팽팽하게 호각으로 승부를 펼쳤고 심지어 트리플 H를 클린 핀폴로 이기고[6][7], 언더테이커를 스쿱 파워슬램[8] 하나로 간단하게 잡아내는 등 갓 데뷔한 신인치고는 상상을 초월하는 초특급 푸쉬를 받았다.[9] 이 당시 그나마 제이미 노블이 코즐로프를 고전하게 만들긴 했는데, 그래봤자 그게 끝이었다. 물론 그 당시에 코즐로프를 고전하게 만든 점은 노블의 대단한 업적이었다. 그리고 나아가 이듬 해 노 웨이 아웃 단독 표지 모델을 하기도 했다.[10] 이때가 코즐로프의 처음이자 마지막 전성기인 셈.
다만, 문제는 선수 본인의 역량과 카리스마가 받는 푸쉬에 비해 한없이 부족해서, 이런 도저히 납득이 안가는 대책없는 푸쉬와 당시 빅맨지상주의의 폐해가 맞물려 팬들은 야유를 넘어 완전히 무관심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고, 이후 이런 여론을 의식했는지 서서히 위상이 낮아지더니 금방 보잘것없는 위치의 선수로 전락해버리고 만다. 여담으로 동구권 출신 레슬러란 기믹을 부각시키기 위해 의도했는진 몰라도 마이크웍을 할 때 영어권이 아닌 타국 사람들이 들어보기에도 딱딱하고 어눌한 발음 때문에 진지한 연출이 되려 웃겨 보이는(...) 난감한 상황이 조성되기도. 예를 들어 트리플 H를 '뜨리쁠 에잇쯰'라고 발음한다던가... 데뷔 전 스맥다운 관중석에서 한 인터뷰
경기 복장에도 혹평이 심했는데, 덜렁 흰색 트렁크 한장에 보호대만 장착하고 나오다보니 팬들은 ' 기저귀 같다'고 한 것은 물론 거기다 위 사진처럼 시종일관 뾰루퉁한 표정 때문에 '좀 모자라 보인다(...)'고 조롱하기도 . 나중에 검은색 트렁크로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반응은 냉담했다. 그래서인지 커리어 후반기엔 아예 붉은색 사각 팬츠와 띠를 두른 도복을 입혔다. 커리어 최후반기 선역 시절엔 파란색 도복도 입었다.
이래저래 말이 많았지만 이대로 버리긴 뭔가 아쉬웠는지 신인 양성소 역할을 하던 ECW로 이적시키고, 근엄한 분위기의 프로모가 수차례 나갔으며 이와 함께 붉은색 도복과 띠를 두른 새로운 경기복장을 선보이는가 하면, 또 군복을 입고 마이크웍을 하거나, 윌리엄 리갈과 이지키엘 잭슨으로 이루어진 다국적 연맹 팀을 그와 함께 결성하여 주축 멤버로 활동하는 등, 어떻게든 예전처럼 다시 키워볼려고 노력했으나 도저히 나아지지 않는 기량 때문에 흐지부지 된다.
이렇게 감당이 안되는 급푸쉬를 받다가 체하고 미드카더 미만 급으로 내려간 코즐로프는 계속 메인이벤터들의 힘자랑이나, 외부인사 접대용 매치를 도맡는 위상 과시용으로 쓰이며 점점 개그 캐릭터가 될 조짐을 보였다.
이런 행보를 보여주다가 산티노 마렐라와의 접전을 계기로 완전히 개그 캐릭터로 바뀌었는데, 이게 의외로 호응이 좋아서 결국 선역으로 전환하고 산티노 마렐라와 함께 붙어 다니게 된다.
이후 산티노 마렐라와 만담 콤비로 함께 활동하면서 재미있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고, 태그팀 챔피언도 차지하는 등 나름 감초 캐릭터로 활약한다. 캐릭터도 초창기의 저돌적인 반미주의 캐릭터에서 그저 곰처럼 묵묵하고 어딘가 모르게 귀여운 구석이 있는 그런 캐릭터[11]로 굳어졌다. 이런 거라든가...
하지만 산티노 마렐라의 부상으로 다시 싱글로 활동하게 되고, 그럭저럭 선역으로서의 커리어를 이어오다가 2011년경 큰 푸쉬를 받으며 강력한 메인이벤터로 부상하던 마크 헨리와 경기를 치르다가 다리 부상을 당하게 되고 얼마 안가 방출당한다.
여러모로 성실한 인성과는 별개로 선수로서의 능력이 받는 푸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면, 또 이를 무시하고 억지로 키우면 나중에 어떻게 되는지 급푸쉬의 부작용을 보여주는 반면교사 격의 인물이다.
3.2. 임팩트 레슬링
한동안 배우로써의 커리어를 늘려가고 있다가 임팩트 레슬링에서 러시아쪽 해설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다가 2023년에 임팩트 레슬링에 모습을 비추면서 산티노 마렐라의 호출로 잠깐동안만 모습을 보인다.10월 12일에 방영된 임팩트 레슬링에 재등장해서는 5인 경기에 난입해 에릭 영, 샴페인 싱, 제이크 섬띵을 각각 공격하며 더티 당고의 승리를 도와 더티 당고와 연합한다. 선수로 복귀하면서 WWE 시절쓰던 링네임이 아닌 본명인 올렉 프루디우스로 활동하며 11월 9일에 더티 당고와 팀을 이뤄 오랜만에 경기를 가져 경기복도 군복으로 입고 등장하며 자버로 등장한 닉 다이아몬드 & 스톰 그레이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하드 투 킬 2024에서 벌어진 PCO VS 더티 당고 경기가 더티 당고 일당의 난입으로 인한 DQ로 끝나자 PCO를 도와주러 나온 라이노 & 제이크 섬띵이 PCO와 합세하면서 곧바로 태그팀 경기로 이어지며 경기는 더티 당고 & 올렉 프루디우스 & 알파 브라보가 패한다.
이후로도 TNA에서 선수로 활동하며 더티 당고와 같이 데미안 드레이크 & 단테 킹을 상대로 경기를 가지며 올렉 프루디우스 혼자서 인디레슬러 2명( 대미안 드레이크 & 단테 킹)을 상대로 쓸어버리자 더티 당고는 멀리서 여유있게 지켜보며 전화하다가 올렉 덕에 마무리까지하며 승리를 거둔다.
3월 14일에 알파 브라보와 같이 조쉬 알렉산더 앞에 등장하면서 조쉬 알렉산더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더티 당고가 모습을 감추면서 자연스럽게 활용대상에서 제외된 올렉은 TNA에서의 활동이 끝나 러시아쪽 해설로도 활동을 안하게 된다.
4. 사용 기술
초창기의 주력 피니쉬 무브는 아르젠틴 백브래이커 드랍[12]를 1회성으로 쓰다가, 상대방을 정수리와 양 손바닥으로 냅다 때려받는 '배터링 램(battering-ram)'[13]을 사용했는데, 그의 무식하고 저돌적인 캐릭터성과 잘 어울렸고 당시에는 나름 신선한 무브였지만, 부상의 위험 때문이었는지 가면 갈수록 상대방을 두 손으로 밀어 올리는 시전을 하는 등 좀 볼품없게 시전해서인지 준 피니쉬격으로 내려갔다.
그리고 상대방을 들어올려 앞쪽으로 뒤집은 뒤, 카메라를 한참 동안 응시하다가 괴성을 지르며 내리꽂는 인버티드 DDT[14]를 새로운 피니쉬 무브로 장착했는데, 참고 어딘가 어색하고 덩치에 비해 너무 평범해보인다는 평을 들어서인지 이것도 금세 버려졌다. 이에 본인도 뭔가 느끼는 게 있었는지 최대한 위력적으로 보이게끔 시전하곤 했다.(...)
그러다가 최종적으로 장착한 기술이 쵸크리프트 스파인 버스터로, '아이언 커튼'이라는 별도의 기술명을 붙여 사용했다. 상대방의 목을 움켜잡고 들어올림과 동시에 한쪽 무릎을 꿇으며 바닥에 쳐박는 기술이었는데 그간 사용했던 피니쉬 무브 중에서 그나마 설득력이 있어서 성공적으로 장착되었고 방출 이전까지 쭉 쓰였다.
슬램류 기술이 다 그렇듯 이 기술도 작렬하는 순간 카메라를 확 클로즈업 하는 연출을 보여주곤 했는데, 사실 들어올리는 높이가 그다지 높질 않아서 이런 카메라 보정이 없으면 영 썰렁한 느낌이 드는 게 흠이었다.
이 밖에도 각종 삼보 수플렉스와 야쿠자 킥을 주력 기술로 썼으며, 상대방의 양쪽 팔 안쪽으로 자신의 팔을 넣어서 고정시킨 뒤, 머리로 가슴팍을 수 차례 들이받는 독특한 기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5. 여담
레슬러로 활동하기 이전엔 영화배우로도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고, 존 윅과 분노의 질주에 단역으로 나오는 등 영화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
2016년 9월경 WWE에서 근황을 공개했다.
랜스 스톰과 닮았다.
5.1. 둘러보기
레슬링 옵저버 선정 가장 과대평가된 선수 | ||||
그레이트 칼리 (2007) |
→ |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2008) |
→ |
트리플 H (2009) |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 최악의 경기 | ||
2008년 |
11월 23일 서바이버 시리즈 |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경기 트리플 H(C) vs 에지 vs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
[1]
동구권 레슬러 기믹으로 활동했던 니콜라이 볼코프의 테마곡을 좀 더 웅장하게 바꾸었다.하지만 임팩트가 Pain만큼 강렬하지가 않아서 금방 바뀌었다.
[2]
WWE 활동기간 동안 쭉 사용한 테마곡. 딱 들어도 뭔가 강렬하고 웅장한데다, 시종일관 둥둥거리는게 문자 그대로
소련스러운(...) 느낌이 잘 살아나서 그의 캐릭터와 어울리긴 했다.
[3]
실제로
우크라이나 민족 구성 중 17.3%가
러시아인이기 때문에 여기서 따온 기믹으로 추정된다.
[4]
또 이 때 당시에
WWE 아마겟돈(2006)의 다크 매치에서 올레그 프루디우스라는 이름으로 스맥다운 소속의
스카티 투 하티를 꺾기도 했다.
[5]
언더테이커도 고전한 상대인
페스터스를 5분 남짓한 시간에 잡아버리기도 했다.
[6]
기습적인
스파인 버스터로 승리를 했는데, 기술 자체가 워낙 볼품없게 들어간데다 순식간에 벌어진 건 둘째치고라도, 평소 본인의 위상 관리에 편집증적으로(.....) 신경을 쓰는 것으로 유명한 천하의
트리플 H가 지나가는 기술 쯤으로 보였던 허접한 기술에 그대로 패배하는 것을 보고 그 모습을 지켜보던 팬들은 굉장히 황당해 했다. 물론 기술을 시전하기 전에
빅 쇼가 트리플 H 뒤통수에
WMD을 날린 것이 한몫도 했다. 그도 그럴것이 말이 스파인 버스터지 그냥 살짝 들어올려서 바닥에 넘어뜨리는
테이크다운에 가까웠다.
[7]
다만 빅 쇼와 팀을 이뤄 핸디캡 매치로 트리플 H를 잡았다.
[8]
그것도 단독 사용이 아닌 올드 스쿨을 반격하면서 우연히 터진 기술이었는데, 그걸로 그냥 쓰리 카운트를 얻어냈다. 팬들도 '어? 뭐야?' 하는 반응을 보일 정도였다.
[9]
이때 스맥다운에서 제프 하디가 팬들의 엄청난 지지를 받으며 메인 챔피언십 전선에 뛰어들때 코즐로프도 같이 끼어있었다.
[10]
이런 유례없는 초대형 푸쉬에 본인도 크게 기뻐했으며, 빈스는 그의 위압감 있는 덩치와 보기와는 달리 굉장히 친절하고 성실한 성격을 마음에 들어했다고.
[11]
특히 그의 영어 발음이 어눌해서 이런 허술한 캐릭터성이 더 부각되었다.
[12]
크렘린 크런치.
[13]
공성전에서 성문돌파용으로 주로 쓰이는 커다란 원통형의 통나무.
[14]
스팅의 스콜피온 데스 드랍과 동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