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522f9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G8808 | |
좌석 | 700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
1. 노선 정보
부천시 일반버스 75번 | |||||
|
|||||
기점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고강공영차고지) | 종점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광명역)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2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7~10분 | 주말배차 | 12~15분 | ||
운수사명 | 소신여객 | 인가대수 | 29대 | ||
노선 | 고강공영차고지 - 고강사거리 - 원종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 - 부천역(북부) - 중동역 - 소림사 - 부천역(남부) - 소사삼거리 - 괴안사거리 - 역곡역.역곡남부시장 - 유한공고.성공회대학교 - 오류동역 - 개봉역 - 구일우성아파트 - (→ 롯데정보통신 → 영창실업 →/←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 ←)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세관 - 독산역 - 하안119안전센터 - 구름산.광명시보건소 - 소하성당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호봉골 → 광명역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광명역 방향 | 없음 |
고강동 방향 | 역곡역남부 05:00 |
2. 개요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8.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87년에 '춘의동 - 가리봉동' 노선으로 개통했다.
- 1994년경 '춘의동 - 중앙로 - 부천북부역 - 중동역 - 부천남부역 - 소사동 - 역곡역' 구간을 '춘의동 - 원미로 - 소사동 - 역곡역' 구간으로 불법 변경해서 운행하다 적발되었다.
- 2004년 4월 1일 광명역 개업에 맞추어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가던 노선을 독산역과 소하동을 거쳐 광명역까지로 연장하고, 동시에 23-3번과 통합되어 기점도 춘의동에서 작동으로 연장하여 원종동, 성곡동도 경유하게 되었다.
- 고강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2011년 11월 26일에 '서림아파트 - 부강아파트 - 코스모주유소 - 신작동사거리 - 작동종점' 구간이 '서림아파트 - 부강아파트 - 고강주유소 - 고강동 - 수주초교 - 고강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 2013년 5월 8일부터 6월 1일까지 가산디지털단지 일부 구간을 우회하였다. 관련 공지사항
- 광명역 환승센터 체계 개편으로 인하여 2018년 2월 21일에 광명역 회차 구간이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14-213) → 코스트코광명점(14-226) → KTX광명역(14-220) → 호봉골(14-182) → 기형도문학관.황용사'에서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호봉골(14-179) → KTX광명역(14-211)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14-378) → 기형도문학관.황용사'로 변경되었으며 운행사원 휴게시간 보장을 위해 이 날부터 광명역에서 10분 정도 쉬었다 가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부천시 시내버스 중 88번과 함께 가장 긴 노선이다. 기종점의 직선 거리도 상당한데, 일단 고강동에서부터 바로 가지 않고 중동역까지 서쪽으로 가서 경인선을 타고 넘은 다음 다시 동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노선이 길다. 거기에 심곡본동과 소사본동, 괴안동 구간은 경인로 직통이 아니라 동네 한바퀴를 거의 휘젓고 다녀서 굴곡노선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실제 운행거리는 더욱 길어진다.
- 이 때문에 고강동에서 광명역까지 첫차 시간대에도 1시간 30분 이상 소요되며, 보통은 편도로 2시간 30분, 왕복으로는 5시간 이상이 걸려 장거리 이동 시 이 노선을 쭉 타고 가는 건 좋지 않다. 아래를 참고하여 각 구간별 대체 수단을 이용하자.
- 고강동 ~ 오류동(역곡역 넘어) 구간 이용 시, 5번을 타고 역곡역에서 1호선이나 다른 버스로 환승.
- 고강동 ~ 광명시, 가산디지털단지 구간 이용 시, 5번을 타고 까치울역에 7호선을 타고 철산역이나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내려서 환승.
- 원종동 ~ 오류동(역곡역 넘어) 이후 구간 이용 시, 이 버스나 인근을 지나는 수많은 버스[1]를 이용하여 부천역, 소사역 등에서 1호선 및 다른 버스로 환승하거나 부천종합운동장역, 원종역 등지에서 지하철 이용.
- 부천역, 중동역 ~ 광명역 이용 시, 50번을 타고 송내역에서 G8808번 환승.
- 그 외 부천시내 구간 이용 시 부천역 이전 구간은 그냥 이 버스를 이용하고, 부천역 이후 구간이 목적이면 부천역에서 환승하자. 그러나 부천역을 횡단하는 시간 및 환승 시간 및 편의성을 감안하면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 수요가 부천역, 가산디지털단지역을 기준으로 세 구간으로 쪼개지게 된다. 경인선 이북에서 이용할 경우 중동역을 크게 돌아 나가는 선형상 이걸 타고 서울, 광명 방향으로 가는 승객은 사실상 없다. 반면 경인선 이남에서는 남부순환로의 정체가 심하지 않을 경우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소요 시간이 30분이 채 안 되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 환승하여 가는 것보다 더 빠를 때가 많다.[2] 가산디지털단지역 이후 구간의 선형도 대단히 좋은 편이라 부천 시가지 지역에서 송내역과 부천종합터미널에서 출발하는 G8808번과 더불어 광명역으로 갈 때 택할 수 있는 하나의 선택지이며, 가산디지털단지역 내부에 75번 버스 이용을 권장하는 안내문을 개찰구 인근에 비치해놓았다. 광명 쪽에서는 독산역을 가려는 하안동, 소하동 주민들이 애용하는 노선.[3] 또한 광명 주민 입장에서는 광명에서 부천 주요 시가지까지 가는 사실상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4] 하지만 의외로 개봉역 가는 수요는 17번한테 살짝 밀리는 듯해 보인다.[5]
- 이 노선은 서울 버스가 하지 못하는 역할도 해주고 있다.[7] 우선 주거지구인 오류동/ 온수동과 업무지구인 가산디지털단지를 환승 없이 바로 이어주는 유일한 대중교통 노선이다. 또한 디지털 3단지를 남북으로 단번에 관통하는 유일한 노선[8]이기 때문에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 사이에 위치하는 많은 빌딩(대표적으로 LG전자 R&D 캠퍼스나 구로세관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노선 역할도 해준다. 가산디지털1로 수출의다리입구(STX V타워)와 교학사 사이는 분명히 서울시 관내인데 사실상 단독 구간이다. 광명 버스 27도 있으나 해당 버스는 구로세관에서 회차하여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갈 수 없기 때문. 또한 해당 구간은 광명 버스 27번과 본 75번 버스 단 2개 노선만 다니므로[9] 서울특별시 구간인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포함)가 다니지 않는다.
- 겨울철 폭설이 내릴 경우, '역곡남부역 - 소사역' 구간과 '부천남부역 - 신한일전기'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경인로 직통으로 통과했었다. 이유는 괴안동 구간과 심곡본동 구간의 경사가 매우 심하기 때문. 다만 현재는 폭설이 예보되면 바로 제설 작업을 해두기 때문에 우회하는 경우는 잘 없다.
- 부천역 등지에서 유일하게 원종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 중 자정 넘어서까지 운행하는 버스다. 대부분의 버스들이 부천역이나 상동을 기점으로 하기 때문에 서울 도심에서 부천 들어오는 버스는 막차시간이 늦어도 부천 중심가에서 원종동 등 북부 주거지역으로 가는 버스는 11시 30분 정도가 넘으면 끊긴다. 하지만 이 버스는 광명역 기준 막차가 자정에 출발하기 때문에 막차가 상당히 늦다. 막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을 지날 때 즈음에 00시 30분을 넘기고, 부천역에는 00시 55분 경에 도착한다.[10] 중동역을 경유한 뒤 다시 부천역 북부광장에 오면 01시 05분을 넘기는데, 이 시간에 부천역에서 원종동으로 가는 버스는 이 버스가 유일하다. BIS 상에는 가산디지털단지역을 00시 30분에 통과하는 것으로 나와 있지만 막차는 광명과 가산디지털단지 구간을 무서운 속도로 통과하는 등 퇴근 본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조금 빨리 나와야 한다.
- 부천시와 광명시를 이어주는 최초의 노선이라고 생각하기 쉽겠지만 의외로 이 노선이 두번째다. 과거 경원여객과 화영운수가 공동배차하던 37번이 부천역-신천리-광명경찰서 구간을 운행했기 때문. 하지만 부천역-신천리 구간이 단축되어 90년대에는 신천리-광명경찰서 구간만 운행하다가 폐선되었다.
- 폐선된 구 23번대의 역할을 75번이 그대로 흡수한 상태이다. 특히나 23번의 경우 부강아파트부터 역곡3동(역곡남부역)까지 같은 경로이며, 작동 종점 시절에는 작동부터 역곡3동까지의 노선이 100% 일치했다. 변경되기 이전 초기의 23-1번과 23-3번은 부천북부역부터, 23-2번은 춘의사거리부터 역곡3동까지 같은 경로로 다녔다.
- 과거에 노선 불법 변경으로 적발된 사례가 있었음에도 23-3번과 통합하기 직전 무렵, 춘의차고 방면 한정 또 다시 '부천남부역 - 중동역 - 부천북부역 - 중앙로'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그 좁디 좁은 소명지하차도를 타고 바로 원미로로 올라가서 춘의차고로 향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되면 불법으로 노선을 변경해서 운행한 것은 물론이고, 소명지하도의 차폭 제한과 무게 제한을 어기고 운행한 셈이다.[11]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5. 사건사고
2024년 10월 2일 오전 6시 17분경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도로에서 30대 운전기사가 변압기와 전봇대, 가로수를 들이받는 사고가 일어났다
6.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중동역, 부천역, 소사역[A], 역곡역, 온수역, 오류동역, 개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광명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온수역, 가산디지털단지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원종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A]
- 일반 철도역: 광명역(KTX)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0054a6>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서편 |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서울역 방향) | 동편 |
ㆍㆍ
G8808[A]
|
1번 |5번
|
ㆍ
8507[A] ㆍ
G8808[A]
|
|
3[A] ㆍ
|
2번 |6번
|
ㆍㆍ
✈6004[B] ㆍㆍ
|
|
1-1[A] ㆍ
1-3[A] ㆍㆍ
5627[A] ㆍ
5633[A] ㆍ
8507[A]
|
3번 |7번
|
1-1[A] ㆍ
1-3[A] ㆍ
3[A] ㆍㆍㆍ
|
|
4번 |8번
|
ㆍㆍㆍㆍㆍ
5627[A] ㆍ
5633[A]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8px" |
부천 - 광명간 버스 |
[1]
23번,
50-1번,
59-1번,
70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아무거나 타면 됨
[2]
지하철을 탈 경우 7호선은 한 번에 갈 수 있으나 1호선은
구로역을 찍고 돌아서 가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3]
하안동 지역을 운행하는 대부분의 광명/서울 버스들은 하안동 구간을 ㄹ자 모양으로 이리저리 휘젓고 다니면서 시간을 허비하는 데 비해, 75번만큼은 우체국사거리에서만 한 번 꺾고 독산역과 광명역 사이를 ㄱ자로 바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럼에도
27번 또한 성업중이니 어지간히 수요가 많긴 많다.
[4]
부천 마을버스 021번은 광명시계 코앞까지만 들어가고 광명시계 내에는 안 들어간다. 역시 후에 연장된
광명 2번도 부천
옥길지구만 경유한다. 이후에 연장한 노선인
56-1번과 신규 개통한
56-2번은 광명시 구간은
옥길동만 스치듯 지나가며
G8808번은
제2경인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송내역으로 바로 가는데 광명시 구간에서는
광명역만 정차한다.
[5]
광명시청~개봉중앙시장 구간에서 굴곡이 있긴 하지만, 우체국사거리에서 꺾지 않고 곧장 개봉역으로 질러버리는 17번과 달리, 75번은 독산역을 경유해 가산동을 살짝 훑고 개봉역으로 가기 때문이다. 개봉역은 75번이 17번보다 소하3단지 탑승 기준 교통 체증이 없으면 5분에서 10분 정도 빠르다. 이상할 것도 없는 게 17번 경로가 좁아터진 사성로와 광복로를 경유하는 데다가 이 구간에는 과속방지턱까지 있기 때문에 당연히 길 안 밀리는 전제 하에 75번이 빠를 수밖에 없다.
[6]
과거엔 70-2번과 88번처럼 배차된 차량이 많아 배차간격이 짧기 때문에 자주 붙곤 했다. 다만 지금은 차량이 많이 빠진 상태인데, 그럼에도 차량이 몰리는 이유는 상습 혼잡 구간인 금천교, 남부순환로를 경유하고 골목길이 많다는 노선 특성상 첨두시 정체가 심각하기 때문에 뒤차가 앞차를 따라붙어서 그렇다.
[7]
80년대 노선이 개설되었을 당시 소신여객의 다른 아웃 부천 노선에 가까웠던 71, 72, 72-1, 73번이 서울 노선버스 정류장이 아닌 시외버스 정류장에 정차했던 것에 반해, 75번과
화영운수 소속이었던 3번(현재의
3번과 다른 매화동-옥길동-천왕동-오류동-개봉동-화영운수차고 간을 운행하던 노선. 매화동~개봉동 구간은
39번이 계승하여 운행중이다.)은 일반 정류장에 정차했었다.
[8]
과거
금천10 마을버스가
독산역~구로세관~
가산디지털단지역~디지털3단지운동장 구간을 운행하였지만
금천05 마을버스와 중복으로 폐선되었다.
[9]
102번도 독산역 방향 한정으로 가산디지털1로의 해당 구간을 이용하나 정류장이 없다.
[10]
잘만 이용하면 부천역에서 83번과 88번 막차와 연결될수 있다.
[11]
소명지하도의 차폭 제한은 2.2m, 무게는 4.5t이다.
[A]
소사삼거리.세종병원.서울신학대학 하차 후 도보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