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0:08:13

법무

직무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bebeb,#000> 사무직
( 화이트칼라)
경영총괄 전략기획, 재무, 총무
조직 인사, 노무
고객 영업, 마케팅, 홍보, CS
물류 물류, 구매, 재고
시설 시설관리, 보안, 환경안전
생산관리
( 그레이칼라)
생산관리, 품질관리, 공정설계
생산직
( 블루칼라)
생산, 중공업, 물류, 농업, 수산업
서비스직
( 핑크칼라)
서비스업,( 교사, 비서, 요리사 등),
고부가가치
( 골드칼라/ 블랙칼라)
전문직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수의사, 변호사, 변리사, 공인노무사,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세무사, 관세사, 기술사, 건축사
기술
( 실리콘칼라)
정보기술, 정보보안, 연구개발
퍼플칼라 탄력근무자
그린칼라 친환경 직종 근무자
레드칼라 공무원,( 군인, 경찰관, 소방관, 교사, 검사, 판사) 공공기관,( 공기업),,, 임직원
오렌지칼라 건설 노동자
라이트블루칼라 계약직, 임시직 근무자
오픈칼라 재택근무자
브라운칼라 육체노동과 지식노동이 결합된 직업
}}}}}}}}} ||

1. 개요2. 주요 업무3. 사내 법무실
3.1. 변호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3.2. 법무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3.3. 변리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3.4. 회계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
4. 군사특기5. 기타 관련 문서

1. 개요


과 관련된 직무를 뜻한다.

2. 주요 업무

  1. 사규 제정이나 신규 사업을 벌일 때 위법 가능성을 검토하고, 법적 문제 대처방안에 대한 자문에 응한다.
  2. 회사의 경우 일이 터지면 보통 로펌 소송 등을 맡기지만, 기업과 공기업에서는 소속 법무실에서 변호사를 선임하여 직접 송무를 진행한다. 물론 정말로 큰 일은 외부 로펌에 의뢰해서 처리히기도 하는데, 이 때 법무실은 그 로펌과의 연락을 맡는다.
  3. 특허 관련 업무
    대기업에서는 변리사를 직접 고용하기도 한다.
  4. 복지의 일환으로 직원이 개인적인 문제로 소송이 걸렸을 때, 조직 내 법무실의 변호사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회사도 있다.
  5. 감사 관련 기관이 법무실 소속인 경우도 있다.

2002년 국민은행 법무실 직원 12명은 전원 법학 전공자였다. 2005년 KT 법무실 직원 17명은 전원 법학 전공자였다 (변호사 및 외국변호사 5명 포함). 일반적인 법학과 출신은 오히려 근로기준법을 다루는 인사 직무에서 선호도가 높은 편이며 법무팀에서 선호하지 않는다.
영문 계약서 작성시, 전치사 하나 차이로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영어가 원어민 중에서도 상급 수준의 언어 구사력을 갖춘 사람을 뽑아서 법률을 가르친다.
업무 내용에 따라서는 변호사 변리사와 협업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잘못된 법률 해석을 할 경우 기업의 손해배상에 대한 책임을 져야할 수 있기에 논리적인 서면을 쓰기 위해서는 사실관계를 꼼꼼하게 파악하고 관련된 판례를 잘 찾아서 근거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사내 법무실

3.1. 변호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

법무실에서는 변호사를 경력직으로 채용하기도 한다.

2012년 이후에 삼성그룹에서는 변호사 채용 루트를 이원화하여 기존의 법무팀 변호사 외에 일반직으로 근무할 변호사 자격 소지자를 선발한다. 법무팀 변호사로 채용하는 경우 직급 자체가 변호사이며 대략 차장급 연봉을 받는다. 이후 선임변호사, 수석변호사로 승진하게 되며 수석변호사는 준임원의 대우를 받는다. 삼성 그룹변호사의 경우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어 신입 기준 대략 8~10위 로펌과 비슷한 선호도이고, 경력직의 경우 최상위 로펌에서도 많이 이직한다. 일반직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대리 직급으로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변호사 수당이 있어 대리 말년차~과장 정도의 연봉을 받고 승진에 별도의 체계가 있어서 '대졸+5년 경력'과는 많은 차이가 난다. 유학 보장 조건으로 뽑은 경우도 있다.
SKT의 경우 대리 말년차로 채용해서 1년 후에 과장으로 승진시킨다. SKT 대리 말년차 대우는 연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다른 기업과는 수평적으로 비교하기 어려운 편이다.

3.2. 법무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

이들은 사내 등기업무 및 기업법무를 담당한다. 회사와 관련된 법인등기는 물론 총회 의사록 작성, M&A 컨설팅, 경영권 방어 등의 역할을 맡는다. 변호사는 등기법을 배우지 않기 때문에 사내 변호사와 별도로 사내 법무사를 두는 경우도 있다. 보통 경력직으로 채용하나 소송대리권이 없기 때문에 작은 회사의 경우 법무팀장급, 큰 회사의 경우 차장~과장급으로 채용되는 추세이다.
법무사를 채용할 여력이 없을 정도로 작은 회사에서는 일반 직원에게 등기를 맡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등기관이 법무사법 위반으로 형사처벌될 수 있다.

3.3. 변리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

사내 특허 출원 및 관리를 담당한다. 출원뿐 아니라 연구맵핑을 할때도 선행기술 조사 등 변리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보통 사무소나 특허법인에서 하는 업무는 국소적인 경우가 많고 커리어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인하우스 법무실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경력직을 뽑는다. 현대자동차에서 2018년에 5년차 변리사를 책임연구원급(부장~과장)으로 채용하였다.

3.4. 회계사가 법무실에 올 경우

이들은 주로 회계감사를 담당한다. 그리고 금융분야 감사에도 이들이 필수적이다.

4. 군사특기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투명.png 대한민국 육군 병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병과휘장_보병.png 파일:병과휘장_기갑.png 파일:병과휘장_포병.png 파일:병과휘장_방공.png 파일:병과휘장_정보.png
보병 기갑 포병 방공 정보
파일:병과휘장_공병.png 파일:병과휘장_정보통신.png 파일:병과휘장_항공.png 파일:병과휘장_화생방.png 파일:병과휘장_군수.png
공병 정보통신 항공 화생방 군수
파일:병과휘장_병기.png 파일:병과휘장_병참.png 파일:병과휘장_수송.png 파일:병과휘장_인사.png 파일:병과휘장_군사경찰.png
병기 병참 수송 인사 군사경찰
파일:병과휘장_재정.png 파일:병과휘장_공보정훈.png 파일:병과휘장_군악.png
재정 정훈 군악*
특수병과
파일:병과휘장_의무.png 파일:병과휘장_간호.png 파일:병과휘장_법무.png 파일:병과휘장_군종.png
의무 간호* 법무 군종
첨자 *: 군악은 정훈 하위병과, 간호는 의무 하위병과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 병과 · 특기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특기_조종.png 파일:특기_항공통제.png 파일:특기_방공포병.png 파일:특기_정보.png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병 정보
운항관제 항공통제
파일:특기_군수.png 파일:특기_항공안전.png 파일:특기_정보통신.png 파일:특기_기상.png
군수 정보통신 기상
항공무기정비 보급 수송 항공안전
파일:특기_공병.png 파일:특기_재정.png 파일:특기_정훈.png 파일:특기_군악.png 파일:특기_의장1.png
공병 재정 정훈
정훈 군악 의장
파일:특기_군사경찰.png 파일:특기_인사교육.png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수병과
파일:특기_의무.png 파일:특기_항공구조.png 파일:특기_법무.png
의무 법무 군종
항공의무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대한민국 국군
형사사법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f2023> 제1심 재판 파일:군사법원 휘장.png
중앙· 제1·2·3·4지역군사법원
군판사
공소제기 및 유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파일:육군검찰단.png 파일:해군검찰단.png 파일:공군검찰단2.png
[[국방부 검찰단|{{{#fff 국방부 검찰단}}}]] [[육군검찰단|{{{#fff 육군검찰단}}}]] [[해군검찰단|{{{#fff 해군검찰단}}}]] [[공군검찰단|{{{#fff 공군검찰단}}}]]
군검사
수사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파일:육군수사단3.png 파일:해군 군사경찰 병과 휘장.png 파일:공군수사단_발퀄.png
<rowcolor=#fff> [[국방부 조사본부|{{{#fff 국방부 조사본부}}}]] [[육군수사단|{{{#fff 육군수사단}}}]] [[해군수사단|{{{#fff 해군수사단}}}]] · [[해병대수사단|{{{#fff 해병대수사단}}}]] [[공군수사단|{{{#fff 공군수사단}}}]]
군사경찰 | 국군교도소
군법무관 | 국군방첩사령부
둘러보기
경찰청 · 해양경찰청 · 법원 · 검찰청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
파일:병과휘장_법무.png 파일:특기_법무.png
육군 법무 병과장 공군 법무 병과장
군대에서 법과 관련된 업무을 담당하는 군사특기이다.

대한민국 육군에는 법무 장교와 준사관, 부사관, 병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장교와 부사관만 해당 병과를 가질 수 있고, 병의 경우는 군사경찰이나 인사교육 특기를 가진 병사를 선발한다. 해군의 경우도 장교와 부사관에만 법무 병과가 있다.
법무 특기 준・부사관의 경우 보직에 따라 사회의 법률사무원 검찰수사관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병사는 이들을 보조하는 업무를 하게 된다.

법무 특기를 가진 장교는 군법무관이라고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법무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관련 문서



[1] 물론 변호사를 개인 재산으로 대량 고용할 수 있는 오너가문/전무 이상급 임원이 아닌 이상은 변호사가 작정하고 조지려고하면 개박살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선은 지킨다. [2] 물론 삼성같은 거대기업은 법무팀의 절대적 규모 자체는 김앤장 등 공룡급 로펌과 맞먹는다. 하지만 삼성그룹 내에서 법무팀의 입지는 연구개발팀보다 높을 수 없다. 만약 높아져 버리면 그 자체로 이미 법무법인이다 [이건] 불법적인 것이 아니고 당연히 해야 할 업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