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6:47:10

발루치인

발루치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b0ee 5%, #fff 5%, #fff 6%, #00b0ee 6%, #00b0ee 75%,transparent 75%), linear-gradient(to bottom, #44c92e 50%,#e8112d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b0ee> 역사 <colcolor=#000,#fff> 듀랜드 라인 · 2024년 이란-파키스탄 분쟁 · 발루치스탄 연쇄 폭탄 테러
지리 발루치스탄 · 시스탄( 자헤단) · 이란고원 · 힌두쿠시 산맥 · 아라비아 해 · 힌골 국립공원
외교·정치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 발루치 실종자를 위한 목소리 · 발루치스탄 해방군
문화 요리 · 발루치어( 발루치 표준 문자) · 브라후이어 · 얄다 · 노루즈 · 카나트
인물 삼미 딘 발루치
민족 발루치인
관련 민족 브라후이인
기타 발루치인 디아스포라 · 발루치스탄흑곰 }}}}}}}}}
발루치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인도이란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이란인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페르시아인( 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 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 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 다르드인( 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 사라이키인) | 벵골인( 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 라지푸트) | 힌두스탄인( 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 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독립국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 인도이란어파
사상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중앙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카자흐인 키르기스인 우즈베크인 카라칼파크인 투르크멘인
타지크인 아이마크인 파슈툰인 파미르인 칼라쉬인
하자라인 모골인 슈그니족 사리콜인 와키인
발루치인 브라후이족 위구르인 부하라 유대인 누리스탄인
야그노비인 구자르인 러시아인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고려인 파샤이인 독일인 아프가니스탄인 쿠르드족
중앙아시아 아랍인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바시키르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남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스리랑카인 네팔인
티베트인 파슈툰인 펀자브인 타밀인 벵골인
로힝야 카슈미르인 브라후이족 발루치인 신드인
펀자브인 누리스탄인 자트인 싱할라인 파샤이인
구자르인 구자라트인 라지푸트 마라티인 몰디브인
사라이키인 아삼인 오디아인 인도 흑인 고안 가톨릭
콘칸인 파르시 셰르파 문파족 문다인
베다족 납파족 칼라쉬인 하자라인 아프가니스탄인
부탄인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인도 유대인 파미르인 와키인
텔루구인 툴루족 부루쇼인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아프간 키질바시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서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아랍인 페르시아인 튀르키예인 투르코만( 이라크 투르크멘, 시리아 투르크멘) 쿠르드인
이란인 자자인 길란인 발루치인 페르시아 유대인
루르인 사마리아인 카슈카이인 아시리아인 시리아인
베두인 걸프 아랍인 오만인 사우디인 레바논인
예멘인 요르단인 이라크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인
아랍 흑인 이란 흑인 야지디족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호라산 튀르크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방글라데시계 중동인 이스라엘 아랍인 하드라미인
아크담족 소코트라인 히자즈인 아르메니아계 중동인 미즈라힘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파일:external/pbs.twimg.com/CzaVUzgWIAEZcew.jpg
파일:d00b09c13d0edcde2c7980582dacee13.jpg

1. 개요2. 역사3. 거주지4. 현황
4.1. 무장 투쟁4.2. 비폭력 투쟁
5. 문화6. 인물7. 관련 문서

1. 개요

발루치(Baluch 혹은 Baloch)는 서남아시아 발루치스탄에 사는 이란계 소수민족이다.

발루치란 단어의 유래는 불명확하다.

2. 역사

발루치인들이 언제부터 발루치스탄에 거주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아랍 문헌 및 북인도의 비문에 의하면, 고대 후기 및 중세 초기인 8 또는 9세기에서 10세기부터 이들이 언급되고 있다. 원래 서북이란계 민족들 중 일부 지파가 카스피해 남부[1]에서 살다가 사산 제국 시대 후기부터 이란고원을 건넌 후 게드로시아(지금의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 일대에 거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다가 11세기 셀주크 제국 케르만 침공 이후 발루치인들은 셀주크의 침공을 피해 더 동쪽으로 이동했다.

발루치스탄에 정착했지만 여전히 유량 목축 및 반유목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으며, 이들 중에서는 상인들을 대상으로 약탈도 하는 도적이 되기도 했기에 주변 민족들로부터 도적 취급을 받기도 했었다.

근대시대에는 브라후이족과 연합해서 칼라트 칸국을 세우기도 했었고, 1783년 신드로 이주한 발루치인 지파는 탈푸르 왕조를 세우기도 했다.

3. 거주지

전 세계적으로 약 1000만명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파키스탄 서남부의 발루치스탄 주에 약 820만 명, 이란 동남부의 시스탄에발루체스탄 주에 약 150만 명, 아프가니스탄에 3~40만 명 정도가 거주하며 투르크메니스탄에도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이들이 주로 사는 발루치스탄에는 마리, 부즈티, 잔드, 라이사이, 둠바키, 카시, 란주 등 17개의 대형 부족[2]들이 존재하며 각자 사르다르(Sardar)라는 부족장들이 다스리고 있다. 이외에도 400개의 소규모 부족들이 있으며 역시 각각 부족장이 존재한다. 주로 농업과 목축에 종사하는데[3] 도시에 나가서 일하는 사람들도 있다. 파키스탄의 발루치인들은 영국의 지배를 받던 시절 영국군에도 복무했었다. 또한 파키스탄의 발루치인들은 브라후이인으로 이뤄진 세밀한 집단에 의해 술라이마니(Sulaimani), 마크라니(Makrani)라는 두 집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 외 발루치인 디아스포라 바레인,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걸프 만 국가와 오만에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4. 현황

파일:발루치인 깃발.svg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인의 민족 상징기이자 발루치스탄 해방군(Baloch Liberation Army, BLA) 등 무장단체들이 쓰는 대체용 깃발(왼쪽)과 발루치스탄 해방군이 주로 많이 쓰는 깃발이자 발루치인들의 변형 버전 기(오른쪽).[4]

파일:발루치 이란.jpg
이란 발루치스탄의 밤푸르 성채 앞에서 양을 치는 발루치인 노인


발루치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시스탄-발루체스탄과 파키스탄 내 발루치스탄 주는 양국에서 가장 소외되고 낙후된 지역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천연가스, 우라늄, 구리가 풍부하기에 이란과 파키스탄에게서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반대로 여기 사는 발루치인들의 삶은 그야말로 열악하기 그지없다. 주민 대부분은 흙집에서 사는데다 빈곤과 실업이 심하다보니 마약 밀매와 몸값을 노린 납치 범죄, 밀수가 판을 치는 곳이다.[5] 특히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어 물부족까지 심해지고 있다.

하지만 부패한 막장국가인 이란과 파키스탄은 주민들의 삶을 개선할 생각이 조금도 없다. 게다가 발루치인들에 대한 이란과 파키스탄 군경의 인권탄압이 심각한 수준이다. 그러다보니 양국의 발루치인들은 이란과 파키스탄에 대한 증오가 크다. 그리고 파키스탄을 지원해주는 중국에 대한 증오심도 만만치 않아서 중국인들 대상으로 테러하는 편이다.

4.1. 무장 투쟁

파일:external/www.rojikurd.net/18155229_1710178892615881_1120364712_n.jpg

이란 발루치 무장단체인 '정의의 군대( 발루치어: جئیش الئدل, 영어: Jaish ul-Adl)'의 대원들

파일:발루치.jpg

파키스탄 발루치 무장단체 대원들

이란과 파키스탄은 종교 때문에 서로 관계가 좋지 않지만[6] 발루치인들의 독립을 막는데는 협력한다. 그러다보니 이란과 파키스탄의 발루치인들은 무장단체인 발루치해방전선(BLF)과 준달라를 결성하여 양국을 상대로한 테러를 벌이고 있다. 발루치 무장단체는 BLF와 준달라외에도 여러 개가 있다. 현재 이란과 파키스탄에선 발루치 무장단체들의 테러가 골치아픈 문제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발루치 무장단체들이 연합, 발루치스탄 해방군(BLA·Balochistan Liberation Army)을 창설해 투쟁에 나섰다. 현재 BLA의 대원은 약 6천명으로 추산된다. 다만 BLA의 게릴라전으로 인해 민간인까지 희생되는 사례가 많다보니 미국과 유럽에도 테러단체로 지정되어 제재를 받는다. 여담으로 인도는 카슈미르의 이슬람 무장단체들을 몰래 지원해주는 파키스탄에 맞불을 놓아 파키스탄의 적인 BLA에 몰래 지원해주고 있다. 그래서 발루치인들은 인도와 우호적이며 파키스탄은 인도 정부에 테러단체를 지원해준다며 비난하고 있다.

4.2. 비폭력 투쟁

한편, 비무장 및 비폭력 투쟁으로 파키스탄 정부, 이란 정부에 저항하는 발루치인 집단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삼미 딘 발루치를 중심으로 활동 중인 발루치 실종자를 위한 목소리, 발루치 약제티 위원회가 있다.

5. 문화

한편, 발루치라는 명칭이 발루치인들의 주요 성씨이기도 하다. 비슷하게 '알 발루시(Al-Balushi)'라는 성씨도 있다.

언어는 이란어군 중 서북이란계 언어인 발루치어를 사용한다. 종교는 대개 이슬람 수니파이지만 이란에는 시아파를 믿는 발루치족도 있다. 그 외에 수피즘이나 아흐마디야를 신봉하는 발루치족도 소수나마 존재하며 힌두교와 시크교도 있다고 한다. 다만 처음부터 이슬람교 신자였던 것은 아니며, 서기 7세기 인도를 방문한 중국 당나라의 승려인 현장법사가 남긴 기록에 의하면 발루치스탄 지역에는 수백 개의 불교 사찰들이 세워져 있었다는 내용으로 보아 원래는 불교 신자였다가 이슬람교를 내세운 이슬람 제국이 인도를 침략하던 서기 8세기 이후부터 점차 불교를 버리고 이슬람교로 개종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이 강한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사이에 있지만 발루치인들은 이슬람 근본주의가 그래도 상대적으로 약하며, 민족주의 성향이 더 세다. 발루치 공화당처럼 세속주의를 추구하는 발루치인 정당도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비하면 종교적 근본주의가 적을 뿐이지, 발루치인 내에서도 보수적인 사람들도 적지 않아서 독실하게 믿는 사람들도 있는 편이다.

금속 공예, 십자수(또는 바느질), 양탄자 등 수공예가 발달했다. 특히 발루치 자수 문화는 이란과 파키스탄에서 유명하다.

6. 인물

7. 관련 문서



[1] 여러 문헌들 조사와 관련된 글에 의하면 반호와 카스피 해 서남부 사이에 이르는 지역들 또는 카스피 해 동남부가 그들의 고향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 발루치어로는 '투만(Tuman)'이라고 불리고 있다. [3] 물론 발루치스탄 지역 자체가 척박하다보니 농업은 제한적으로만 하며 실제론 목축 또는 반유목이 주요 생업이다. [4] 디자인과 상징이 비슷하기에 같이 쓴다고 보면 되지만 굳이 보자면 2003년 이후에 나타난 오른쪽 버전이 더 많이 쓰인다. 깃발의 위와 아래의 배경색을 거꾸로 뒤집은 버전도 쓰일 때도 있다. [5] 그러다보니 자원이 풍부함에도 치안이 불안한 점 때문에 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고 있어 개발이 잘 안된다. [6] 이란은 시아파이고 파키스탄은 수니파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