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8:48

박정일(종교인)

박정일 미카엘에서 넘어옴
박정일 미카엘 주교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파일:jkTo56y.jpg
천주교 제주교구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지목구장)
현 하롤드 헨리 주교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6)
2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1982)
3대
김창렬 바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2002)
4대
강우일 베드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20)
5대
문창우 비오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 ||

파일:전주교구 최근 워드마크.png
천주교 전주교구장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김양홍 스테파노 신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37~1941)
2대
주재용 바오로 몬시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1~1946)
3대
김현배 바르톨로메오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7~1960)
4대
한공렬 베드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1~1971)
5대
김재덕 아우구스티노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3~1981)
6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8)
7대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2017)
8대
김선태 사도요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
}}}}}}}}} ||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로고.svg
천주교 마산교구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김수환 스테파노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6~1968)
2대
장병화 요셉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1988)
3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2002)
4대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16)
5대
배기현 콘스탄틴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22)
교구장서리
신은근 바오로 신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로고.svg
천주교 마산교구 주교단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교구장 서리 신부
신은근 바오로
신부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심볼.svg 천주교 마산교구 교구장 서리
은퇴 주교
파일:안명옥 주교님 문장 투명버전.png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
파일:배기현 주교님 문장 투명버전.png
배기현 콘스탄틴
주교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심볼.svg 천주교 마산교구 원로사목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심볼.svg 천주교 마산교구 원로사목
파일:천주교 마산교구 심볼.svg 학교법인 성지학원 이사장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 학교법인 대건학당 이사
※ 위 목록은 각 주교들 및 신부의 직책들 중 일부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이 틀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가 누락되거나, 직책이 잘못 기재된 것을 발견하면 편집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CI.sv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노기남 바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1973)
2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3~1975)
3대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5~1981)
4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1987)
5대
김남수 안젤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93)
6대
이문희 바울로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6)
7대
정진석 니콜라오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9)
8대
박정일 미카엘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2)
9대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5)
10대
정명조 아우구스티노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11대
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8)
12대
강우일 베드로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4)
13대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20)
14대
이용훈 마티아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 ||


제2대 천주교 제주교구
제6대 천주교 전주교구
제3대 천주교 마산교구
박정일 미카엘
朴正一 | Michael Pak Jeong-il
파일:박정일 미카엘 교구장 주교.jpg
출생 1926년 12월 18일
평안남도 평원군
사망 2024년 8월 28일 (향년 97세)
재임기간 제주교구 1977년 5월 31일 ~ 1982년 6월 23일
전주교구 1982년 6월 24일 ~ 1988년 12월 27일
마산교구 1988년 12월 28일 ~ 2002년 11월 11일
파일:external/cathms.kr/e42a505c1ecfa4402bfc102b20878abb.gif
충성과 온유
(In Fide Et lenitate)
( 마산교구장 취임 이후의 문장)[1]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 가톨릭교회의 제6대 전주교구장 및 제3대 마산교구장, 제2대 제주교구장. 그리고 전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1999~2002). 세례명은 ' 미카엘'이다. 역대 한국 가톨릭 교구장 주교들 중 유일하게 온전한 3개 교구의 교구장을 역임하였다.[2]

2. 생애

1926년 12월 18일, 평안남도 평원군 동송면 청룡리에서 4남 3녀 중 셋째로 출생했다. 무종교인 집안에서 자라 20대 초반에 보통학교 교사로 잠깐 일하다가 1945년 덕원신학교에 입학했다.[3] 하지만 덕원신학교에 입학한 지 얼마 안 되어 원산 베네딕토회 수도원과 덕원신학교가 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어 평양교구로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평양교구장 홍용호 주교까지 인민군에 끌려갔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월남해 서울과 대구를 거쳐 부산까지 갔다. 그 과정에서 부모님과 세 여동생도 월남에 성공했지만 나머지 가족들은 이북에 남아 생사를 영영 알 수 없게 되었다고.

1950년 부산으로 임시 이전한 서울 대신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학장 신부가 박 주교와 동기들에게 로마 유학을 명했고, 1952년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로 유학하여 철학과 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4]

1958년 로마에서 평양교구 소속으로 사제품을 받고 1962년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종교사회학 석사를 취득했다. 박사과정까지 마치고 싶었지만 부산교구 최재선 주교가 "교구에 사제가 부족하니 와서 도와달라."고 귀국을 명하여 초량성당 보좌신부로 사목생활을 시작하였다. 문산성당 주임신부로 사목하던 1966년에 마산교구가 부산교구에서 분리되자 마산교구 소속이 되었다.

파일:박정일 주교님 문장(제주교구).jpg 파일:박정일 주교님 문장(전주교구).jpg
제주교구 교구장 시절의 문장(왼쪽)과 전주교구 교구장 시절의 문장(오른쪽)은 각각 위와 같다.

대건신학대학(현 광주가톨릭대학교)에서 교수신부로 봉직하던 1977년 4월 15일 제주지목구의 교구 승격에 따라 제2대 제주교구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5월 31일 주교 서품식 및 교구장 착좌식을 했다.

1982년 6월 24일 제6대 전주교구장으로 임명된 뒤 한국 교회 최초로 교구 소속 해외선교 사제 3명을 라틴아메리카에 파견했고, 1988년 12월 28일부터 제3대 마산교구장으로 재임하다가 2002년 11월 11일 은퇴하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을 지냈다. 2001년 주교회의 산하에 '한국 천주교 신앙 선조들의 시복시성 통합 추진을 위한 주교특별위원회'를 설립하였고 2012년까지 초대 위원장을 맡아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 최양업 토마스의 시복추진 대상자 선정과 시복 예비심사를 주도했다.[5]

2021년 기준 만 94세의 고령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1년 3월 14일 선종한 이문희 바오로 대주교를 위한 미사에서는 직접 강론을 담당하였다.

2024년 8월 28일, 향년 97세로 선종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집회서 45장 4절. 박 주교는 교구를 옮길 때마다 새로 문장을 만들었고, 3개의 문장은 모두 서울대 교수를 역임한 강찬균 공예가가 그렸다. 현재의 3번째 문장은 제주교구장 시절(돛단배)과 전주교구장 시절(태극문양 합죽선)에 쓰던 문장을 합쳐서 만들었다. [2] 자세한 내용은 주교 문서의 한국 주교들의 여러 기록 항목 참고. [3] 신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무신론자였던 어머니와 무려 3년을 싸웠다고 한다. [4] 이때 부모님이 부산에서 세례성사를 받으셨다는 소식과 여동생이 편지로 전해주는 소식들을 위안 삼으며 버텨냈다고 한다. [5] 전자는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시복되었으나 후자는 가경자까지만 되고 시복은 아직 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