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6:57:32

바람의 나라(게임)/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바람의 나라(게임)

1. 개요2. 과거 특징
2.1. 세계 최초 MMORPG?
3. 역사
3.1. 구버전 시기(1990년대 중반)3.2. 과도기(1990년대 후반)3.3. 전성기
3.3.1. 무료화 이전(2000년대 초반)3.3.2. 무료화 직후(2000년대 중반)
3.4. 침체기 시작 시기(2000년대 후반)3.5. 침체기 가속화 시기(2010년대 초중반)3.6. 서버 통합 이후(2010년대 중후반)3.7. 7차 승급 패치3.8. 구버전 그래픽의 귀환(2020년대 초반)3.9. 8차 승급 패치

1. 개요

바람의 나라가 밟아온 길을 간략하게 되돌아보는 문서. 이 문서에서는 업데이트로 간간히 이루어지는 세밀한 것보다는 크게 변혁을 일으킨 부분만 다룬다.

2. 과거 특징

2.1. 세계 최초 MMORPG?

이 게임이 서비스되기 전인 1995년 12월 15일부터 '메리디안 59(Meridian 59)'라는 MMORPG라는 게임이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MMORPG의 역사는 통상적으로 메리디안 59부터 시작한다. 메리디안 59는 상당히 많은 양의 정보표현(전투, 이동, 아이템, NPC등)을 3D 그래픽+2D 그래픽으로 처리하며, GUI는 지금 봐도 플레이할 수 있을 정도로 체계가 잡혀 있다. 플레이영상 보러가기

또한 MMORPG 개념이 탄생하기도 한참 전인 1991년부터 (동명의 CRPG와 다른) 네버윈터 나이츠(NeverWinter Nights)라는 머드(Graphical MUD) 게임을 통신사업자를 통해 1997년까지 서비스하였다.

엄밀히 말하자면 'MMORPG'라는 단어 자체는 리처드 개리엇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울티마 온라인의 성공 전에는 MMORPG라는 개념이 거의 퍼져 있지 않아서 울티마 온라인 역시 종래의 그래픽 머드(Graphical MUD)라고 불리거나 '메리디안 59'는 MMPRPG(Massively Multi-Player Role-Playing Game)라고 자신의 장르를 정의할 만큼 MMORPG의 개념 자체가 빈약했다.

이런 상황에서 바람의 나라는 천리안 유니텔을 낀 머그(MUG, Graphical MUD의 콩글리시)게임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이런 식의 머그 게임이라면 이미 미국에서 1991년부터 다수의 게임이 존재했다. 바람의 나라가 은근슬쩍 MMORPG로 편입된 것은 MMORPG라는 개념이 울티마 온라인의 흥행으로 확립되고 바람의 나라가 천리안/유니텔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직접 서비스한 이후의 일이고 시작은 분명히 머그 게임(Graphical MUD)이었으며 머그 게임 혹은 그래픽 머드게임이라는 장르는 울티마 온라인으로 대표되는 MMORPG와는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머그 혹은 그래픽 머드(Graphical MUD)게임과 MMORPG의 차이점과 간략한 역사를 보려면 MMORPG 항목을 참조.

1991년에 처음으로 서비스된 최초의 그래픽 머드게임인 네버윈터 나이츠의 그래픽 수준이 빈약하고 텍스트성이 과다하게 많으므로 "별다른 텍스트의 설명 없이 직관적으로 판단을 할 수 있는 그래픽을 최초로 사용했다고 보는 게임은 바람의 나라로 볼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1992년부터 시에라 온라인(Sierra Online)에 의해 서비스되어 상당한 인기을 얻은 북미의 게임 '이서비우스의 그림자(The Shadow of Yserbius)'만 하더라도 상당히 직관적인 GUI를 가지고 있다. 바람의 나라보다 약간 앞서 서비스된 메리디안 59까지 가면 이동과 전투화면이 3D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등 더욱 그래픽성은 강화된다.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용화 자체는 메리디안 59(1996년 9월)보다 바람의 나라(1996년 4월)가 다소 빨랐으니 "(최초로) 실제로 상용화된 그래픽 기반의 MMORPG"라고 설명할 수는 있겠지만 본 문서의 다른 곳에서도 언급되듯이 바람의 나라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머그 혹은 그래픽 머드(Graphical MUD)로서 등장한 것이지, MMORPG가 아니며, 머그 혹은 그래픽 머드라는 장르로 국한한다면 바람의 나라보다 앞서 상용화된 게임은 존재한다. 위에서 언급한 네버윈터 나이츠(1991년)와 이서비우스의 그림자 시리즈(1992~1995년)가 대표적.

MMORPG 개념이 생기기 전에 북미에서 이미 뿌리내린 장르인 머그게임(Graphical MUD)으로서 애초에 선보였다가 나중에 MMORPG로 편입된 게임이 '최초의 상용화 MMORPG'로 불릴 수 있을지 각자 자문해볼 일이다. 기네스북이 머그 시절 바람의 나라도 MMORPG로 인정한 것처럼, 머그 게임/그래픽 머드 게임도 MMORPG로 인정하면 네버윈터 나이츠와 이후에 북미에서 서비스된 머그게임/그래픽 머드게임이 최초의 상용화 MMORPG로 인정되지 못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즉, 요약하자면

참고로 대학에서 게임 시나리오 라이터 관련 강의나 게임 제작 강의에서 게임의 역사 부분에서 많은 교수들은 바람의 나라를 실제 상용화된 그래픽 기반의 MMORPG라고 설명을 하며 각종 국제 컨퍼런스에서 이러한 의견을 피력하여도 반론이 없다고 한다.[19]

때문에 바람의 나라가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는 말은 ' 가장 오랫동안 상용화 서비스중인 MMORPG(the longest-running commercial graphical MMORPG)'이지 최초로서 등재되었음은 아니다. 참고로 바람의 나라보다 일찍 서비스한 그래픽 머드게임이나 MMORPG들은 나중에 거의 서비스를 중단했고 일부는 추억팔이때문에 무료로 다시 서비스하고 있다.

때문에 그래픽 기반 온라인 게임의 출발점이라기 보다는 여명기를 밝힌 작품이라고 봐야 정확할 것이다. 당시에는 그래픽 기반 온라인 게임을 머그 게임이라고 했는데, 초기 홍보 단계에서 머그 게임이라는 말을 도저히 알아듣질 못해서 난항을 겪다가 울티마 온라인이 나온 이후로 '울티마 온라인 같은 게임입니다'라고 홍보했다.

3. 역사

3.1. 구버전 시기(1990년대 중반)

극초창기. 도스용 머드게임에 그래픽만 입힌 개념이었던 시절로 인터넷의 상용화도 거의 되지 않았던 때여서 경험해본 사람의 수가 손에 꼽는 시대이다. 일단 당대부터 플레이해 온 유저의 인터뷰[20]에 따르면 1만 명 정도는 거뜬한 "현재(2000년 경)"와 달리 서버에 100명 정도만 접속해도 끊김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우선 게임의 기본 구조부터가 현재와는 엄청나게 달랐는데 물가 자체가 지금보다 1000배 가량 비싸서 도토리를 모아 푸줏간에 팔면 100만전 정도를 얻을 수 있던 시기였고, 포목상이나 갑옷점, 대장간 등에서 파는 초보용 무기가 최소 1만전에 비싸면 수천만 전까지 나가기도 하는 물가를 자랑했다.[21] 또 승급 개념도 없었고 자호굴, 전갈굴, 해골굴 등의 바람하면 떠오르는 기본적인 사냥터도 거의 미비했던 시절이었다. 반면 기원이라든가 무한장, OX퀴즈, 감옥 등의 부가적인 요소들이 많았고 당시에는 꽤나 인기였던 콘텐츠였는데 이는 MMORPG로서의 온라인 게임이라는 틀이 덜 잡힌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요소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3.2. 과도기(1990년대 후반)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게임 인터페이스 자체에 대대적인 격변이 일어났던 시기. 많은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구버전(정확히는 1998년 이후의 그래픽) 그래픽이 이 때 정립되었고 게임 시스템 자체가 갈아엎어져 게임 내 아이템, 마법, 승급제, 각 성별 사냥터 등의 현재까지 이어져내려오는 게임의 기본적인 구조가 대부분 이 때 정립되었다. 유저들이 적었던 초창기에 적극적으로 유저들과 소통을 하고 온라인 게임으로서 필요한 것들을 운영진 측에서 적극 반영한 결과 대대적인 유저들의 유입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는 제1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현 게이머들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는데 규모가 크고 맵이 많은 MMORPG 게임이었음에도 BGM이 없었다. 약간의 효과음만 존재했다.

이 시기에 정립된 인터페이스들은 수도 없이 많은데, 기본적으로 1차와 2차까지의 승급체계가 이때 만들어졌으며 그에 따른 사냥터 또한 생겨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또 부여 지역이 생겨나 국적 개념이 추가되었으며 물가가 리셋되었고, 마법들의 영어 명칭이 한국어식으로 변경되는 등[22] 구버전 하면 떠올리는 대부분의 체계가 이 시기에 완전히 정립된다.

3.3. 전성기

3.3.1. 무료화 이전(2000년대 초반)

바람의 나라 제1의 전성기라 불리는 시기이며 그 당시 인기이자 고가 아이템들을 구할 수 있었던 북방대초원, 일본(2000년), 용궁, 세시마을(2001년) 등과 중국 및 승급자들을 위한 사냥터인 선비족, 흉노족(2002년) 그리고 그 당시 최고의 노가다 장소 환상의 섬(2003년)이 이 시기에 생겼다. 다만 이 시기에 만들어진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기본적인 틀에 추가된 부가 콘텐츠에 가까운 것이 특징이며 한편으로 이런 콘텐츠들의 지나친 범람은 기존 성에 위치했던 사냥터나 그곳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의 가치를 하락시켜 후에 이들 지역이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는 원흉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반복되는 역사의 시작이었다.

이외에 2002년에 4차 승급이 생겨났고 3세대를 대표하는 소위 신버전이라고 불리는 그래픽 패치가 처음 선을 보였던 것도 2003년 9월으로 이 시기였다. 구버전에 대비되는 이 버전은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지는 않았으나, 이미 알다시피 넥슨은 결국 2년 뒤인 2005년 11월에 이를 밀어붙여서 구버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물론 이렇게 밀어붙였을 2005년 11월 시점에는 신버전이 2003년 9월에 처음 나왔을 때보다 훨씬 다듬어진 상태이기는 했고, 무엇보다 백두산 이후 컨텐츠가 구버전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생기고 있었는데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는 점에서 넥슨은 처음부터 신버전을 밀어붙일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신버전이 나오면서 함께 출시된 고용상인이 구버전에서는 고용은 물론 구매조차 불가능했다.

이 시기에는 인터넷의 상용화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지고 RPG의 개념도 정립되면서 경쟁 온라인 게임들이 많이 등장했던 시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래픽이나 인터페이스가 구시대적일 수밖에 없는 바람의 나라 운영진 입장에서는 유저들을 유지하고 끌어모으기 위한[23] 컨텐츠가 필요했던 것은 어쩔 수 없었으며, 앞서 언급된 부가 콘텐츠들 또한 이러한 이유에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일시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나 바람의 나라라는 게임이 원작과 동떨어지는 근본 원인이 되었으며 동시에 오늘날 바람이 비판을 받는, 초심에서 멀어진 운영진의 행태라는 원인의 출발점이 되었던 어두운 그늘이라고 볼 수도 있다.

3.3.2. 무료화 직후(2000년대 중반)

2005년 8월 무료화 직후 동접자수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제2의 전성기라고 불렸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2005년 8월~9월 신버전 구버전 투표 # 이후 2005년 11월 패치로 신버전만 남고 구버전이 완전히 사라지면서 # 짧은 제2의 전성기도 끝나버리고 만다.

이 시기에는 생산과 하우징 시스템이 추가되었는데, 하우징 시스템의 추가 이후 본격적인 경험치 인플레가 시작되었다. 하우징에 딸려있는 휴식경험치 시스템이 그 원인이다. 휴식경험치 도입 전까지는 그래도 풀경(42억 9,496만 7,295) 한번 채우는데 제법 오래 걸렸으나 이후 풀경 채우는건 순식간이다.

또한 유저들의 사냥 패턴도 변화하였다. 휴식경험치 도입 전에는 자기가 사냥하고 싶은 만큼 사냥을 했었는데, 도입 후에는 대부분 최대 2시간까지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부분유료화제로 바뀌었으므로 당연히 캐시 아이템 샵이 열렸는데, 필수품일 정도로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기능성 아이템이 출시되고 게임의 시대상인 고구려와 완전 동떨어진 치장 아이템이 출시되면서 역사를 다룬 특유의 분위기 또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를테면 인형탈, 교복, 메이드복 등....

3.4. 침체기 시작 시기(2000년대 후반)

2009년에는 기술연마가 처음 도입되었고[24] 4차 승급이 추가된 지 7년만에 5차승급이 추가되었다.

바람의 나라는 5차 승급 업데이트 전과 후로 나뉜다고 할 정도로 이때부터 서서히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대련 제도, 기술연마 등으로 어색해진 인터페이스, 과도하게 난립하는 캐시 치장 등에 기존 유저들마저 '이건 내가 알던 게임이 아니야'라는 인식이 가속화되면서 접는 유저가 많아졌다.

3.5. 침체기 가속화 시기(2010년대 초중반)

전체적으로 MMORPG가 스마트폰 시대와 맞물려 쇠퇴기를 맞이하게 됐는데 바람의 나라도 이 기류를 피할 수 없었다. 그런데 여기에 잇따른 괴상한 시도와 업뎃 등 운영진의 망짓으로 침체기가 더 극심화되었다.

2010년 12월에 '격풍'이라 불리는 대형 패치를 통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고 신규서버인 '비류'가 추가되었다. 특히 기존에 NPC에게 제물을 바치고 마법을 배우는 방식에서 전원 기술연마를 통해서만 마법을 배울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이 시기에 각인과 황금돋보기가 도입되었고, 이는 2017년 현재까지도 게임의 진입장벽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이는 아래에 설명한 게임의 난이도를 줄이겠다는 제작진의 의도와 완벽한 모순이다.

특히 게임의 난이도를 줄이겠다는 제작진의 의도에 따라, 몬스터 난이도와 경험치가 전면적으로 개편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이 조치 이후로 한빙지옥과 풍도지옥을 비롯한 거의 모든 승급자용 던전이 망하고 백제의 마한산적굴/와산성 인던만 흥하게 되었다.[25] 지옥 던전은 매크로 던전이 되어버렸다.

더불어 고전 아이템(해골무기, 깹무기류, 산신옷, 이가닌자의검, 등대빛의검, 용궁산 아이템, 천부연아이템 등)의 능력치 상향 조치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찬밥 취급받던 이가검과 등빛검의 수요가 초보자들 사이에서 급등하여 시세의 격변을 보여주었다. 33, 66, 99직업무기를 퀘스트 없이 공짜로 주게 되어, 괴력선창과 같이 시세가 폭락해버린 비운의 아이템도 존재.

2011년 12월엔 룰렛이벤트로 인해 여신의 방패와 양첨목봉의 시세가 똥값 내지 바닥에 버리는 쓰레기템이 됐으며 2012년 2월 9일 발렌타인 이벤트가 시작되면서 초콜릿 귀걸이들의 능력치가 기존 방어구보다 상상을 초월한 것도 모자라 리붓 초반엔 확률도 그럭저럭 잘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고급초콜릿 귀걸이 물량이 대량으로 풀려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현재 전 서버상황이 헬게이트가 열렸으며 기존 방어구었던 보무의 목걸이, 수정의 귀걸이, 해골 목걸이, 금편의 목걸이, 몇년 동안 희귀아이템이자 30만원이나 넘는 고가템이었던 승리의 증표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똥값으로 몰락하면서 던전 앤 파이터의 키리의 약속과 믿음 이벤트나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드햇나로크 메이플스토리 언리미티드 패치의 헤파이스토스에 도전하라 이벤트 당시 놀장강과는 다른 병맛 쩌는 이벤트를 하면서 유저 30%이상이 접게 되었다. 지못미. 특히 승리의 증표는 이벤트로 인해 현금 3만원으로 10배 이상 폭락해버려서 승리의 증표를 가진 사람들은 장례식을 치를뻔 했으나, 다행히도 이후 승리의 증표 능력치 상향으로 다시 올라가게 되었다.

2011년 이후부터 던전의 몬스터들이 저마다 독특한 패턴을 갖게 되었다. 위례성, 지옥, 시간의 문 몬스터들이 전부 그래픽만 다르고 판박이같은 행동 패턴을 보여주던것과 달리 한성, 관미성, 미륵사, 흉수계, 봉래산(바람의 나라) 등의 지역에 등장하는 모든 몬스터들은 패턴이 중복되는 몬스터가 하나도 없다. 심지어 2015년 추가된 흉수계 지역은 맵마다 몬스터나 유저와 상호작용하는 오브젝트까지 도입됐다.

2012년 12월엔 16년만에 만렙이 풀렸다. 1차승급시 100레벨부터 시작하여 특정 체마량에 도달할 때마다 레벨이 오르고, 199레벨을 넘어가면 2차승급을 해 200레벨부터 시작하는 시스템이 되었다. 현 만렙은 7차 승급 750.

3.6. 서버 통합 이후(2010년대 중후반)

2014년 2월, 부족한 유저 수 때문에 13개의 서버들이 5개로 통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을 제외한 다른 서버는 사람이 없어서 참담한 상황. 무휼 서버는 연 서버에 이어 인구수 2위였으나 어떤 서버와도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구수 부족이 가장 심각한 서버가 되었다. 서버통합 결과 통합되지 않은 연과 무휼 이외에 신규 통합서버로 유리, 하자, 호동 서버가 남게 되었다. 유리 서버는 (구)유리, 낙랑, 비류, 주작 서버를 흡수했고 하자 서버는 (구)하자, 봉황, 배극 서버를 흡수했으며 호동 서버는 (구)호동, 주몽, 세류, 해명 서버를 흡수했다.

2014년 6월, 기술연마 패치로 전위력이 사라지고 랩제에 따라 스킬을 배울수있게되었는데 애초에 승급기준으로 기연을 올리던 천인직업이 큰 타격을 입게되어 마력을 굳이 올려두지 않은 레벨 400이 안 된 낮천위(천인 4차)들이 모조리 예리함1성으로 사냥을 해야하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외에 기연을 초기화 시켜주지않은데다가, 마법슬롯칸의 제한을 넘기면 더이상 마법을 배울수가 없어서 전위력 제한 풀렸다고 마구 찍어대던 도사/주술사 계열도 모두 병크...기술연마 초기화 캐쉬템이 그 후 대량으로 팔렸으니 [26] 그러나 전위력이 사라져 전위력 신경쓰지 않으면서 다채롭게 기술을 올릴 수 있게된 점은 호평을 받았다. 이전에는 스킬을 고르느라 머리가 아팠다면 이제는 스킬을 어디다 배치하느냐로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2015년 8월, 결국 6차승급 업데이트 되었다. 뭐 5차승급이 2009년에 업데이트 됐으니 시기상으로는 적절하겠지만 중요한건 레벨제한만 올리면 뭘 하냐는 점이다. 그런대 공개된 승급명이 어감이 좀 미묘해서 팬사이트에서 명칭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바람의 나라(게임)/비판 항목 참조.

2016년 1월에는 지난 20년동안 시스템상 한계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최대경험치 보유량이 대폭 늘어났다.[27] 이 때 그룹사냥 경험치 공식도 바뀌어서 2009년 기술연마 도입 이후 부터 쭉 이어졌던 1:1 위주의 사냥[28]이 다인팟[29]으로 바뀌었다.

3.7. 7차 승급 패치

2017년 12월 28일 7차승급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2018년 상반기 현재, 흉수계 봉래산, 신규지역인 혈망봉으로 제한적이나마 메인 사냥터의 분산이 이루어졌으며 그 난이도와 경험치 역시 조금씩 다르다. 다만 오토핫키를 기반으로 한 비인가 프로그램이 난무하고 있으며 고레벨 유저들이 핫키를 사용하여 자동사냥을 하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모두의 불편한 비밀이 되어버렸고 바람 운영진 역시 보여주기식으로 찔끔찔끔 제재를 가하고는 있으나 사실상 이 문제에 대해 눈을 감은 형국이다. 치장 캐시템은 과거 출시됐던 제품들의 디자인을 우려먹고 있으며 사행성 캐시템을 대놓고 밀어주는 문제 역시 여전하다. 2017년 봄 감스트의 바람의나라 컨텐츠 때문에 바람을 시작했던 신규유저도 거의 떨어져 나가고 게임 내에는 이제 정말 고인물들만 남아있다.

2018년 7월 5일 22주년을 맞이해 2년 만에 신규 직업 2종을 추가하는 '이런 이런(2Run 2Run)' 업데이트를 소개했는데 이때 홍진호가 홍보모델로 참여했다.

2018년 12월에 만렙이 799렙으로 확장 되었으며 신규 사냥터인 황산벌과 대야 전투가 추가되었다.

3.8. 구버전 그래픽의 귀환(2020년대 초반)

2020년 7월 23일부터 구버전 그래픽(1996 ~ 2003년 버전의 그래픽) 업데이트를 시행할 예정이다. 본 서버로는 7월 23일 목요일에 업데이트하였다. 다만 아직 초벌 단계이므로 구버전이 완벽하게 구현되지는 않았으며[30], 이후 어느 정도까지 구현이 될 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3.9. 8차 승급 패치

2021년 7월 22일에 8차 승급이 업데이트 되었다. 신규 사냥터인 인도 대륙이 추가되었다.

2021년 12월 16일에 신규직업 살수가 등장했으며 2022년 2월, 환상의 섬이 추가로 업데이트되었다. 가릉빈가에 얽힌 지역임무, 장비 형상변환권과 npc 호감도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2022년 7~8월에는 전사와 도적이 리마스터 되었고, 12월에는 궁사가 리마스터되었다.

2023년 4월20일에는 여섯번째 직업 천인이 리마스터 하였고 2023년 8월 17일 에는 도사 리마스터가 예고되어 있다.

2024년 12월 5일에는 환골탈태2가 업데이트되었다. 2025년에는 8차 신규 사냥터를 추가한다고 예고되어 있다.


[1] 물론 야간(23~8→22~9시)/할인시간(21~8→20~9시 공휴일은 24시간, 12~13시)요금제나 ADSL에 가입하면 요금폭탄을 회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야간/할인시간정액제는 1997년 4월 1일부터 서비스를 했지만 홍보 부족으로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2000년대 초반에 PSTN/ISDN 종일정엑제가 있었지만 전국적으로 ADSL이 깔리고 있던 시점이라 다이얼업은 사장되던 시절이었다. 물론 ADSL이 안 깔리는 도서산간지역은 어쩔 수가 없었다. [2] 쿠폰 제외 [3] 초창기엔 레벨 10까지의 무료 체험판 기간이 존재했고 2001년 후반 20까지 연장되었다. [4] 다만 '괴유'라는 테스트 서버에서만 무료로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당연히 접속자가 미어터져 접속이 되지 않거나 접속해도 끊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플레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또 초창기에는 이 서버만 전면적으로 PK가 허용되었기 때문에 높은 인구밀도+PK의 시너지로 웬만해선 생존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운 인외마경이었다. [5] 이 때문에 이 시기에는 공개아이디라는 것이 있었는데, 유료결제가 된 상태에, 비밀번호까지 넷상에 공개되어 있는 캐릭터로, 무료로 고렙 캐릭터를 플레이해볼 수 있다는 생각에 허구헌날 사람들이 접속해 실제로는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한 계정이나 다름없었다. 플레이 중에 다른 사람이 접속하면 자동으로 접속이 끊어지기 때문이다. [6] 조랑이의 바람일기에서도 언급되었다. [7] 초기부터 1998년까지. [8] 2세대와 비교해서 즉, 흔히 아는 구버전 그래픽과 비교했을 때 캐릭터 외형은 거의 비슷하지만 이외에 인터페이스, 기술이펙트, 건물, 배경지형 등의 그래픽은 물론 시스템적인 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었다. mud 기반에 그래픽만 입힌 게임이기에 마우스가 존재하지 안았고 오로지 채팅과 명령어, 방향키에만 의존해 게임을 하였다. (ex. '동동주 줘' 같은 명령어) [9] 정액제 가격도 49,500원으로 그 당시 물가를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가격이었다. [10] 1998년부터 2003년까지. [11] 1998년 12월 8일, 가장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 가장 큰 변화는 마우스 사용 가능, 새로운 직업(도사) 추가, 승급시스템, 인터페이스, 지역, 신수 마법이펙트(청룡(번개), 주작(불), 백호(땅), 현무(얼음)), 몬스터 등 거의 대부분의 요소가 대대적으로 변화하였고, 현재까지 바람의 나라 대부분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뼈대가 되었다. 1999년 5월 10일, 같은 2세대라 하더라도 그래픽과 인터페이스, 마우스커서 모양이 한번 바뀌었다. 그 외 시스템 자체는 크게 바뀐 점이 없다.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보급화되기 시작하며, 흔히 구버전 바람의 나라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2세대 그래픽이다. [12]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정액제 가격도 초창기에 49,500원에서 29,500원, 9,900원, 이런 식으로 차차 내려가다가 2005년에 부분유료화로 바뀌었다. [13] 2003년부터 2004년까지. [14] 2003년 9월 13일, 기존의 해상도가 낮은 그래픽에서 높은 해상도와 인터페이스가 리뉴얼된 그래픽이 봉황서버와 함께 추가되었고, 3세대를 기준으로 구버전, 신버전이 나뉘어졌다. 2004년 5월부터 현재의 인터페이스로 개선되었다. [15] 새로 리뉴얼된 그래픽은 초기에 봉황 서버에서만 시범적으로 사용되었다가, 2003년 12월 9일 백두산이 업데이트되면서 전 서버로 기존/신규 그래픽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되었지만, 2005년 11월 2일 신규 그래픽으로 단일화되어 기존의 2세대 그래픽은 추억 속으로 영원히 사라지게 되었다. [16] 서버의 시각을 예전으로 되돌리는 것 [17] 당연하지만 인터넷은 고사하고 컴퓨터 자체의 보급률도 그리 높지 않았던 96년보단 2000년 이후가 본격적인 바람의 리즈 시절일 수밖에 없고, 그 때를 그리워하는 사람이 훨씬 많을 수밖에 없다. 뭐, 지금 보기에는 두 시기 다 옛날이다. [18] 직업과 현재의 육성방법에 따라 오차가 있으나, 대략 x00레벨 단위 당 승급 차수가 x차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면, 500레벨인 경우 5차 승급인 셈이다. [19] 다만 이 때문인진 모르겠으나 국내의 상당수의 게임은 온라인게임으로만 제작되었고 이러한 컨퍼런스에서 우리나라는 온라인 게임 이외에 패키지나 콘솔 게임에서는 상당 부분 취약성을 안게 되었다. [20] 당시 유명 인사였던 "호떡"이라는 유저가 2000년도에 한 인터뷰이다. [21] 사실 그냥 액수단위가 오늘날과는 달랐다고 보는게 맞다. 물가가 높은 만큼 벌기도 쉬웠던 시절이니. [22] 유일한 예외로 주술사 99레벨 마법인 헬파이어가 있었다. 이는 나중에 지옥겁화로 이름이 변경된다. [23] 아이러니하게도 유저가 더 이탈하게 되는 원인이 되지만 [24] 이때는 기존처럼 npc를 통해서 마법을 배우는 것도 가능하였다. [25] 한때 5차 승급자들의 유일한 희망이던 구양성은 보무상태 타당 데미지 20~30만의 살벌한 곳으로 바뀌었다. 그래도 구양성만큼의 경험치를 주는 곳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가는 곳이었으나 한성 패치 이후 다 미륵사로 몰려가서 파리만 날리게 되었다. [26] 2015년 8월 6일 업데이트로 마법슬롯이 100칸으로 늘어나서 이런 걱정은 덜어졌다. 6차승급마법이 새로 생기긴했지만말이다. [27] 기존 42억 9,496만 7,295에서 레벨 630기준 대략 2,800억정도 [28] 도사 1명+격수 1명으로 이루어진 파티사냥 [29] 보통 10명 꽉 채워서 가는 편이다. [30] 대표적으로 구버전 캐릭터로 죽어서 귀신이 되었을 때 머리 부분 그래픽이 이상하다. 원래는 머리까지 흑백으로 되어있어야 한다. 또 구버전 컨텐츠로는 무한장 무달 NPC한테 할 수 있는 무한 복장이 있다. 예전 무한 복장으로 할 수 있었던 염색들은 흑색, 적색, 흰색, 청색이었다. 참고로 흰색으로 염색하고 남타라옷을 입고 활을 끼면 활의 색이 흰색으로 변하면서 이가닌자의 활(...)이 됐었다. 지금은 무달NPC의 무한 복장으로 저 염색들을 할 수 없다. 또 신수 마법 중 자무주, 뢰진주, 백열주 계열들도 미구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