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 |
김해시 | · · · · | 사천시 | · | |
양산시 | · | 통영시 | · · | |
밀양시 | 거제시 | · | ||
창녕군 | 고성군 | · | ||
함안군 | 남해군 | |||
의령군 | · | 하동군 |
· 섬호관광
|
|
합천군 | · | 산청군 | · | |
거창군 | 함양군 |
정식명칭 | 밀양교통주식회사 |
대표자명 | 하원봉 |
설립일 | 1970년 8월 25일 |
업종명 | 운수업 |
상장유무 | 비상장 |
인가대수 | 37대 |
차고지 |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42 (가곡동) |
기업규모 | 소기업 |
공식홈 | 링크 |
1. 개요
천일여객의 계열사인 밀양시의 유일한 시내버스 운수 업체이며 1970년에 천일여객에서 분리한 기업이다.모기업인 천일여객[1]과 다르게 이곳은 대우빠로 유명했다. 한때 자일대우버스만 굴렸으며 대부분의 업체가 커민스 엔진이 언덕길 주행에 약하고 연비, 정비문제 등으로 두산 엔진으로 돌아선 것과 달리 울산공장 조업 중단 전까지 커민스 엔진만 계속 고집했다.[2] 최근 커민스 엔진이 달린 차량의 조기 대차, 휴차나 예비 격하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긴 그렇지 않다. 또한 경상남도는 2020년까지는 저상을 저상으로 대차 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았으며, 경남에서 유일하게 보조금 없이 저상을 저상으로 대차하는 곳이었다. 그리고 경남 공용도색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 중 하나이다.[3] 그리고 버스 앞면에 해맑은 상상 밀양이라고 슬로건이 있다.
과거에 기아가 아시아자동차일 때 시내버스를 생산하던 시절 골수 AM버스빠였다. 아시아자동차가 대우자동차, 현대자동차보다 프론트엔진 버스를 일찍 단종시킨 탓인지[4] 프론트엔진 버스 도입 중단 및 리어엔진 버스 도입이 빠른 편이었으며, 특히 AM928을 일반버스로 운행한 회사는 전국에서 밀양교통이 유일하다.[5] AM937도 많이 운행했는데 특이하게도 96년식 저전고형 차량은 2000년대 초에 21도색으로 재도색한 반면, 97년식 고전고형 차량은 대차될 때까지 경남 구도색을 그대로 유지했다.
차량 번호는 경남 71 자 73##, 74##대를 사용하고 있다.
실시간 버스 시간표는 밀양시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자일대우버스의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공장 문제가 계속 지속됨에 따라 정상적으로 차량 출고가 불가능해지자[6] 전기버스를 도입한다. 밀양에 에디슨모터스 임시 공장이 한때 존재해서 에디슨모터스의 NEW e-화이버드를 도입하며 2021년 8월 9일 전기버스 시승식을 열었다. 4대를 먼저 도입하고, 12월 30일에 재고분 2대를 추가 도입했다. 2022년 1월 10일에도 재고분 5대를 추가로 도입했다.
이외에도 2021년에 아리랑버스 26번, 27번, 27-1번, 27-2번, 28번에 들어갈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디젤을 1대 도입하면서 1995년식 에어로시티 520에 이어 26년만에 현대버스를 도입했다.
하지만 에디슨모터스마저도 쌍용자동차 인수 실패 후 불미스러운 사태가 터지자 법정관리에 들어가 차량 출고가 원활해지지 않으면서 2023년에 일렉시티를 도입했다. 에디슨모터스가 KGM커머셜이 된 이후에도 일렉시티를 계속 도입하고 있어 앞으로 일렉시티를 계속 도입할 지 스마트 110을 도입할 지 지켜봐야 할 일이다.
경상권에서 사천시와 더불어 BS110CN F/L 디젤 차량을 굴렸던 둘 뿐인 회사였지만 전기버스로 대차되면서 전멸했고 2022년 6월 말, 사천 삼포교통에 있던 2대마저 수리불가 판정으로 인해 폐차처리 되면서 전멸했다.
간혹 (특히 밀양터미널 착발노선들) 밀양터미널에서 BIS에는 도로변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터미널 내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깔끔한 탑승을 위해서는 그 노선의 밀양터미널 다음 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이 좋다. 밀양역 착발 노선들은 이런 경우가 거의 없다.
하술하겠지만 환승 불편으로 인해 타지 사람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2. 요금 및 교통카드
2021년 1월자로 읍면지역을 포함해 전구간 단일요금으로 변경됐다.구분 | ||
현금 | 교통카드 | |
성인 | 1,500원 | 1,450원 |
청소년 | 1,000원 | 950원 |
어린이 | 750원 | 700원 |
하지만 여전히 타 시군에 비해 낙후된 버스행정을 보여주고 있다. 김제시, 정읍시 시내버스처럼 시 단위이면서도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지 않는 몇 안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경남 다른 지역은 김해시-양산시, 창원시-김해시, 창원시-함안군, 진주시-사천시, 거제시-통영시 간 광역환승제도를 실시함으로 밀양을 제외한 경남 모든 시가 광역환승을 실시하고 2023년 11월 중 거창군-합천군 간 광역환승을 실시할 예정인 것과 대비된다.[7]
또한 같은 행정구역내를 이동함에도 시내 동지역이 아니면 사실상 시외버스가 강제되는 경우가 많다. 표충사, 얼음골 등 같은 밀양 시내를 가는데도 시외버스가 주력으로 다니고 있으며, 하남읍 관내에서만 운행하는 수산 ↔ 은산 ↔ 남전, 전국 최단거리인 수산 ↔ 양동 시외버스도 다니고 있다. 심지어는 밀양역 기준으로 삼랑진역이나 상동역을 가는데도 조금 더 내고 무궁화호 타는 것이 시간, 비용에서도 유리한 반면 시내버스는 하루에 몇편 없을뿐더러 우회구간이 많아 시간이 오래걸린다. 예를 들어 얼음골에서 밀양까지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1시간은 잡아야 하는데 울산언양까지는 중간에 석남사에서 환승을 함에도 40여분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다. 심지어 단일요금제 시행전에는 버스 2번을 타야되는 언양과 버스 한번만 타면 가는 밀양시내 간 요금차이가 거의 없기도 했다. [8]
선불 교통카드는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이용이 가능하며, 후불 교통카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2.1. 과거 요금체계 (2020년 1월 10일 기준)
구분 |
1구간 (시가지, 10km까지) |
2구간 (10~18km까지) |
3구간 (18~26km까지) |
4구간 (26km이상) |
||||
현금 |
승차권 교통카드 |
현금 |
승차권 교통카드 |
현금 |
승차권 교통카드 |
현금 |
승차권 교통카드 |
|
성인 | 1,500원 | 1,450원 | 1,900원 | 1,800원 | 2,400원 | 2,300원 | 2,800원 | 2,700원 |
청소년 | 1,000원 | 950원 | 1,500원 | 1,200원 | 1,800원 | 1,500원 | 2,100원 | 1,800원 |
어린이 | 750원 | 700원 | 1,000원 | 900원 | 1,200원 | 1,100원 | 1,400원 | 1,300원 |
시가지 | 전역 | |||||||
삼랑진읍 | 임천, 용성 | 칠성, 화성, 거족, 미전 | 삼랑진 | |||||
하남읍 | 은산 | 해양, 명례, 신촌, 남전 | 백산, 수산 | |||||
부북면 | 전역 | |||||||
상동면 | 평능, 가곡 | 상동역, 유천, 고정 | 매화, 도곡, 오곡, 신지 | |||||
산외면 | 남기, 숲촌, 금천, 다죽, 죽남 | 금곡, 엄광, 활성, 희곡 | ||||||
산내면 | 용전, 임고, 발례, 송백, 가인 | 원서, 남명, 얼음골 | ||||||
단장면 | 단장, 태룡, 사촌, 이촌, 인법, 동화 | 동화, 범도, 삼거리, 무릉, 국전, 법흥, 감물리 | 표충사, 평리, 고례 | |||||
상남면 | 예림, 북실, 금동,대흥동 | 평촌, 세천, 마산, 인산, 외산, 조음, 평리, 남산, 무름 | 오산 | |||||
무안면 | 마흘, 지정, 정곡 | 신법, 무안, 삼태, 죽월, 화봉, 영신, 중산, 관동 | 양효, 내진, 동산, 장재기, 서가정, 가례, 융동, 고나리 | |||||
초동면 | 봉황(무안 경유) | 초동 | ||||||
청도면 | 구기, 인산, 근기,평전 | 두곡, 홈실, 조천, 소태, 대촌 |
지방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시 단위 시계내 구간요금을 징수하는 곳[9]으로, 군 단위와 달리 시계내 상한요금제를 실시했다.[10]
본래 삼원FA 1세대 단말기를 썼지만 2017년 2월부터 삼원FA 신형단말기로 교체되면서 경상도에서는 삼원FA 1세대 단말기가 전멸했다.
3.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8c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ff8c00;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8c00> 시내 | 1-2 | 2 | 3-1 | 4 | 4-1, 4-2 |
5 | 6상동, 엄광, 활성 | 7-1 | 9 | 10 | ||
대흥동1, 2 | 가곡 | |||||
상동 | 도곡1~2, 4 | 신곡1, 3~7 | 옥산1~2 | |||
산외 산내 |
발례1, 2 | 얼음골1~3 | 엄광1, 2 | |||
산외 단장 |
감물리1~5 | 고례1~3 | 국전1~4 | 표충사1~3 | ||
삼랑진 | 부산대(남포) | 용성 | 칠성 | 삼랑롯데 | 삼랑진 | |
상남 하남 |
남산1, 2 | 수산1 | 수산2 | 오산, 상촌 | 해동1 | |
무안, 상남, 초동 | 초동2 | 초동3 | 초동공단 | 초동면소 | ||
무안, 부북, 청도 | 서가정1~6 | |||||
구기1, 3 | 대촌1, 2 | 두곡 | 소태 | 조천1~2 | ||
마을 | 용활1~5 | 한성1~5 | 영남1 | 삼남1~10 | 삼랑진1,2 | |
아리랑버스 | 21, 22, 23, 24 | 아리랑버스5 | 26, 27-1, 27-2, 28 |
모든 노선이 밀양시 관내 지역만 운행한다. 시계외노선이 전무하다. 대신 청도버스의 5번이 밀양시 상동면에 진입한다.
3.1. 시내지역 노선
밀양의 대부분의 시내버스는 밀양역으로 통한다.번호 | 기점 | 종점 | 경유지 | 배차(회) |
1 | 밀양역 | 밀양역 |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등학교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평일 61회 주말, 공휴일 59회 |
1-2 |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현대아파트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일 13회 | ||
2 |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산복도로 - 밀성고 - 내이동 우체국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평일 77회 주말, 공휴일 63회 | ||
3 |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 평일 3회 | ||
3-1 |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밀양역
|
평일 3회 | ||
4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밀양역 - 가곡삼거리 - 한전 - 예림 - 제일훼미리 - 맥도날드 - 시외버스터미널 | 평일 15회 주말, 공휴일 14회 | |
4-1 | 밀양역 | 밀양역 - 예림 - 제일훼미리 - 미리벌초 - (롯데아파트[A]) - 터미널 - 현대아파트 - 시청 - 밀성고 - 내이우체국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평일 12회 주말, 공휴일 5회 | |
4-2 | 밀양역 - 가곡시장 - 보건소 - 미리벌초 - 밀양고등학교 - 내이동 우체국 - 밀성고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양고 - 미리벌초 - 보건소 - 가곡시장 - 밀양역 | 일 4회 | ||
5 |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밀성고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경찰서 - 대동아파트 - 이연 - 금동 - 이연 - 대동아파트 - 경찰서 - 밀양역 | 일 18회 | ||
6 |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 평일 19회 주말, 공휴일 16회 | ||
7 |
밀양역 - 가곡삼거리 - 청구아파트 - 시민약국 맞은편 - 시청 - 현대아파트 - 춘기 - 부북농협 - 법원 - 푸르지오 - 미리벌초 - 제일훼미리
- 예림 - 가곡삼거리 - 밀양역
|
평일 13회 주말, 공휴일 8회 | ||
7-1 | 밀양역 - 삼문동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시청 - 현대아파트 - 한솔병원 - 부북면 - 한솔병원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제일훼미리 - 예림 - 경찰서 - 대동아파트 - 경찰서 - 밀양역 | 평일 13회 주말, 공휴일 10회 | ||
9 | 밀양역 - 예림 - 제일훼미리 - (롯데아파트[A]) -밀양고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양고 - 제일훼미리 - 예림 - 밀양역 | 평일 2회 주말, 공휴일 1회 | ||
10 | 롯데인벤스 | 밀양역 ↔ 청구아파트 ↔ 영남루 ↔내이동우체국 ↔ 밀양고→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일 2회 |
3.2. 농어촌지역 노선
대부분의 버스가 밀양시외버스터미널로 통한다.번호 | 기점 | 종점 | 경유지 | 배차(회) |
삼랑진 1번 | 밀양역 | 삼랑진 | 밀양역 -평촌 - 거족 - 삼랑진 | 평일 1회 |
삼랑진 2번 | 터미널 | 삼랑진 | 터미널 - 25번 국도 - 임천 - 칠성 - 삼랑진 | 일 4회 |
삼랑진 3번 | 용성 | 터미널 - 시내 - 밀양역 - 용성 | 평일 5회, 휴일 3회 | |
삼랑진 4번 | 칠성 | 시내 - 밀양역 - 용성 | 일 5회 | |
삼랑진 5번 | 밀양역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 밀양역 - 임천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 평일 26회 휴일 5회 |
하남 1번 | 터미널 | 수산 | 터미널 - 25번 국도 - 평촌 - 오산 - 수산 | 일 4회 |
하남 2번 | 수산 | 터미널 - 시내 - 세종고 - 평촌 - 오산 - 수산 | 일 3회 | |
하남 3번 | 밀양역 | 해양 | 밀양역 - 예림 - 평촌 - 오산 | 평일 1회 |
하남 4번 | 수산 | 오산 | 수산 - 백산 - 명례 - 오산 | 일 1회 |
하남 5번 | 명례 | 수산 - 백산 - 명례 | 일 2회 | |
부북 1번[13] | 터미널 | 터미널 | 터미널 – 용제 – 오례 - 덕곡 - 터미널 | 일 3회 |
부북 2번[14] | 터미널 ↔ 가산 ↔ 대항 | 일 2회 | ||
부북 3번[15] | 터미널 – 월산 - 퇴로 - 위양 - 청운 -터미널 | 일 1회 | ||
부북 4번[16] |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위양 - 청운 - 터미널 | 일 1회 | ||
부북 5번[17] | 터미널 – 월산 - 위양 - 퇴로 - 대항 - 가산 - 터미널 | 일 1회 | ||
부북 6번[18] | 터미널 - 지동 – 용포 – 화산 – 무연 – 위양 – 퇴로 – 월산 | 일 1회 | ||
터미널 – 청운 – 월산 – 퇴로 – 위양 – 무연 – 화산 – 용포 – 지동 | 일 1회 | |||
부북 7번[19] | 터미널 – 위양 – 퇴로 – 대항 – 월산 – 청운 – 터미널 | 일 2회 | ||
터미널 – 지동 – 용포 – 화산 – 무연 – 위양 – 퇴로 – 대항 – 월산 – 청운 – 터미널 | 일 1회 | |||
부북 8번[20] |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위양 - 무연 - 화산 - 용포 - 지동 - 터미널 | 일1회 | ||
부북 9번[21] |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월산 - 청운 - 터미널 | 일 2회 | ||
부북 10번[22] | 터미널 - 위양 - 퇴로 - 대항 - 가산 - 터미널 | 일 1회 | ||
상동 1번 | 터미널 | 신곡 | 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고정 – 신곡 | 일 7회 |
상동 2번 | 도곡 | 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고정 - 도곡 | 일 3회 | |
상동 3번 | 밀양역 | 유천 | 밀양역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유천 | 평일 7회 휴일 1회 |
산외 1번 | 터미널 | 엄광 | 터미널 - 긴늪 - 남기리 - 양덕 - 남계 - 숲촌 - 엄광 | 일 4회 |
산외 2번 | 활성 | 터미널 - 긴늪 - 다죽 - 활성 | 일 2회 | |
산외 3번 | 금곡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평일 1회 | |
산내 1번 | 터미널 | 얼음골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송백 - 남명 - 얼음골 | 일 3회 |
산내 2번 | 발례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송백 - 발례 | 일 2회 | |
단장 1번[23] | 터미널 | 표충사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범도 - 표충사 | 일 4회 |
단장 2번 | 고례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범도 - 고례 | 일 4회 | |
단장 3번 | 국전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국전 | 일 5회 | |
단장 4번 | 감물리 |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안법 - 감물리 | 일 5회 | |
상남 1번 | 터미널 | 남산 | 터미널 - 국도 제25호선 - 예림 - 평촌 - 평리 - 남산 | 일 2회 |
상남 2번 | 대흥동 | 터미널 - 국도 제25호선 - 예림 - 대흥동 | 일 2회 | |
초동 1번 | 터미널 | 범평 |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초동공단 - 범평 | 일 1회 |
초동 2번 |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남전 - 평촌 - 초동공단 - 터미널 | 일 1회 | ||
터미널 – 평촌 – 남전 – 범평 – 초동공단 – 봉황 – 무안 – 터미널 | 일 1회 | |||
초동 3번 |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인교 – 무안 – 터미널 – 밀양역 | 일 1회 | ||
무안 1번 | 터미널 | 서가정 | 터미널 - 무안 - 덕암 - 고나리 - 웅동 - 서가정 | 일 6회 |
무안 2번 | 영신 | 터미널 - 무안 - 신법 - 화봉 - 영신 | 일 3회 | |
청도 1번 | 터미널 | 구기 | 터미널 – 부북면 – 동산 - 구기 | 평일 3회 휴일 2회 |
청도 2번 | 조천 |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근기- 조천 | 일 5회 | |
청도 3번 | 소태 |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소태 | 일 3회 | |
청도 4번 | 두곡 |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두곡 | 일 2회 | |
청도 5번 | 구기 |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일 1회 | |
청도 6번 | 대촌 |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대촌 | 일 3회 | |
가곡 1번 | 밀양역 | 멍에실 | 일 3회 |
4. 차고지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자일대우버스
5.1.2. KGM커머셜
5.1.3.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 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5.2.2. 기아
5.2.3. 현대자동차
6. 둘러보기
시 단위 환승할인 불가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북특별자치도 | 김제시, 정읍시 |
경상남도 | 밀양시 |
[1]
모기업인 천일여객그룹은 엄청난 기아빠이다. 천일여객, 고려여객의 버스는 전부 기아이다.
[2]
부울경에는 밀양교통 외에도
진주시민버스,
태영운송그룹 등과 같이 커민스만 계속 고집했던 업체가 있으며, 커민스 부품대리점이 다른 곳에 비해 많았기 때문이다.
[3]
한 때는 사용했었다. 이 외에 경남 공용 도색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은
창원시 시내버스,
김해시 시내버스, 창녕군
영신버스, 남해군
남흥여객, 산청군
산청교통, 고성군
고성버스이다.
[4]
아시아자동차는 1987년에 AM907이 단종되면서 프론트엔진 버스를 더 이상 생산하지 않는다. 현대는 FB500이 1992년까지, 대우는 BF105가 1998년까지 생산됐다.
[5]
별도의 일반버스 사양은 아니었고 전문형 시외버스 사양에 경남 일반버스 구도색을 하고 운행했다.
[6]
BS110 취소분 3대는 안동
경안여객이 가져갔다. 이로서 2018~20년에 두산엔진을 도입했던 경안여객은 2017년 이후 4년만에 커민스를 다시 도입했다.
[7]
반대로 경상남도 외
농어촌버스 중에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는 곳은
양구군,
양양군을 제외한
강원도 전 지역,
금산군과
태안군을 제외한
충청남도 전 지역,
전라남도
무안군,
보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의성군,
칠곡군이다.
[8]
사실 이는
경상남도 지역의 전체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경남지역은
김해시,
양산시,
창원시,
진주시 등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시내버스가 활발히 운행하는 사례가 드물며 시내버스가 인접 시군을 오가는 사례가 흔치않다. 경남도 이를 의식해서 수도권처럼 통합환승제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외버스 업체들의 텃세 등 여러 문제로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상남도는 시외버스 업체들이 난립하는 편이며, 특히
부산교통 등 단거리 노선을 운행하는 대규모 업체를 위주로 텃세가 심하다.
경남고속 등 장거리 노선만 전문적으로 운행하는 업체들의 텃세는 적은 편. 그나마 최근에는 경전선, 동해선 전철개통이 가시화 되면서 경남의 시외버스 업체들도 장거리 노선 운영을 많이 시도하고 있어 점차 텃세가 줄어들고 있는 편이다. 아무리 버스업계의 알력이 세다 해도 전철의 개통을 막을수는 없는 노릇이기도 하고 코로나의 여파로 시외버스의 경영악화가 상당해 차라리 시내버스등으로 전환해 지원금을 더 받는게 훨씬 이득이기 때문이다.
[9]
1995년 시군통합 이후로 단일요금제를 시행하다가 1998년 9월 15일부터 구간요금제로 바뀌었다.
[10]
농어촌버스에서도
단일요금제 미시행 지역은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강원도
평창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울릉군만 남았으며,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실시하는 경기도는 2,350원, 이원화가 된 울릉군은 1,500원이라는 밀양보다 낮은 상한요금제를 실시했다.
[A]
일 1회에 한해 롯데아파트 경유
[A]
일 1회에 한해 롯데아파트 경유
[13]
4 (청운)
[14]
4 (대항1)
[15]
4 (퇴로1)
[16]
4 (대항2)
[17]
4 (퇴로2)
[18]
上 4 (퇴로3), 下 4 (퇴로4)
[19]
上 4 (대항3), 下 4 (대항4)
[20]
4(대항5)
[21]
4(대항6)
[22]
4(대항7)
[23]
밀성여객 시외버스 교대로 운행
[24]
밀양역 뒤 편에 있다.
[25]
아리랑버스
[26]
울산
남성여객 출신 중고 차량이었으며 1대 있었다.
[27]
1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