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09:36:36

민무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사
,
,
,
,
,

<colcolor=#FFD400> 민무회
閔無悔
본관 여흥 민씨
생몰년 생년 미상 ~ 1416년( 태종 16년) 1월 13일
가족 아버지: 민제
누나: 원경왕후
형: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본관은 여흥(驪興). 민제(閔霽)의 아들이자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4형제 중에는 막내이다.

2. 생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김씨
신성태후
정안임씨
공예태후
경원이씨
인예태후
안산김씨
원성태후
당성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파평윤씨
윤관
해주최씨
최충
청주이씨
이자림
언양김씨
김취려
황려민씨
민영모
동주최씨
최유청
평양조씨
조인규家
횡천조씨
조영인
평강채씨
채송년
공암허씨
허재
}}}}}}}}}

좌정승 민제의 아들이며 태종 원경왕후의 동생으로 세종대왕 외삼촌.

원경왕후의 힘을 얻어 지돈녕부사까지 승진하는 등 외척으로써 권력의 중심에 다가가지만 왕권 강화를 위해 방해가 되는 권신들을 숙청하던 태종 입장에서는 가장 꺼렸던 자들이 바로 외척들인 민씨 집안. 결국 태종이 양위 파동으로 인해 왕명을 거역했다는 죄목으로 두 형 민무질, 민무구가 사사당한다.

두 형이 죽고난 뒤에 태종의 두 타겟은 남은 두 처남이었는데 이때 세자였으며 원경왕후의 의사에 따라 민씨 집안에서 의탁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던 양녕대군에게 하소연을 했던 것[1]을 두고 양녕대군이 태종에게 고자질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여기에 덧붙여 그들이 유배형에 처해진 지 얼마 안 돼서 태종이 효빈 김씨가 임오년에 경녕군을 낳았을 당시에 원경왕후에게 학대당한 일[2]도 밝히면서 더욱 탄핵을 당해 형 민무휼과 본인도 형들이 겪은 것처럼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아야만 했다. 결국 그곳에서 교수형으로 죽는다.[3]

민씨 4형제의 숙청 과정에서 보면 가장 빈틈이 많았던 인물,양녕대군에게 한 말도 그렇고 저 말이 드러난 계기도 노비소송에서 패한 염치용이라는 자가 민무회를 찾아가 하소연을 하면서 시작한 것이었는데 문제는 소송 대상이 국가, 즉 왕이었다는 것, 거기다가 그 과정에서 태종의 후궁과 정승인 하륜이 뇌물을 받았다고 하며 심지어 준 사람은 그 노비다. 거기다가 이 말 자체가 거짓말인건 덤 그러니까 염치용은 없는 말을 지어내서 민무회에게 말했는데 민무회는 또 거기에 낚여서 충녕대군에게 충녕대군은 다시 태종에게 보고한 것이다. 졸지에 태종은 노비 뇌물에 판결을 내린 꼴이 되었고 때문에 민무회를 잡아들이고 일이 시작되었다.[4]

3. 대중매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다만 당시의 발언을 보면 해석에 따라 위험해 보일 수도 있는 발언이었다. 물론 양녕대군이 먼저 그들의 형인 민무구, 민무질 형제가 죽은 것은 당연했다고 했지만,[16] 세자에게 '세자는 우리 가문에서 자라지 않으셨습니까?'라는 말을 했으니 말이다. 다만 이 말을 한 것은 민무휼의 동생인 민무회였고, 민무휼은 동생에게서 그 말을 듣자 그 자리를 뜬 양녕대군을 쫓아가서 그 말을 잊어달라 말한 게 전부인지라 약간 억울한 면이 없잖아 있다. [2] 태종 15년 12월 15일 무인 1번째기사 [3] 사돈 심온도 세종이 왕위에 오른 뒤에 숙청된다. [4] 그래도 이 때는 죽이네 마네 소리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양녕대군이 저런 말을 꺼내자 분위기가 죽여버려야 한다로 바뀐다. 저건 아예 세자를 겁박한 것이기에 뭔 변명을 해도 봐줄 수 없는 죄다. [5] 태조 왕건의 김언, 대조영의 손만영 등으로 알려진 배우다. [6] 형들이 사사된 뒤에도 군부에서 고위직은 아니지만 관직을 역임했는데 태종이 신료와 종친들 모두를 동원한 소집 훈련을 실시했을 때 차질없게 잘 준비해 대신들에게 칭찬을 들었다. [7] 실제 역사에서 양녕대군은 이들을 아주 매몰차게 대했으며 죽을 때도 "그래도 싸다"고 냉소적인 반응으로 일관했다. [8] 이 임무를 위해 최 내관은 자기 손이 닿은 상궁 내관들을 중궁전에 집어넣어 중전 민씨의 행적까지 감시했다. [9] 이들이 내뱉은 "좋은 날"이란 특정한 의미없이 그저 암울한 날이 끝날 것이라는 의미에 불과했지만 "절대로 잊지 않겠다"는 민무구의 유언을 그 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뒤끝 쩌는 태종은 가슴의 한을 품은 자들의 역적 모의로 받아들였다. [10] 이 사실을 안 양녕대군은 최 내관에게 발길질을 하며 "언젠간 죄값을 치를 것"이라며 일갈한다. 원래부터 프락치인 최 내관과 사이가 좋지는 않았지만 이 때만큼 험악하게 대한 적은 없었다. [11] 이 때 국문 과정이 정말 모질고 잔인한데 고문이 적나라하게 묘사되는 <용의 눈물>에서도 거의 최고급으로 고문을 당한다. 주리틀기는 물론이며 인두형, 고문 중의 최악이라는 압슬형까지 안 당하는 고문이 없다. 매형이라는 사람한테 남보다 심지어 정적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당한 것. 이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받은 사람은 후에 심온 집안 사람들 정도인데 심온 집안도 압슬형까지 당하는 묘사는 없다. [12] 고문이 끝나고 유배 조치되어 말을 태워서 도성 밖으로 나가게 되는데 민무회가 "웬일로 전하께서 우리를 살려주셨다"고 한다. 하지만 민무휼은 "너 지금 뒤에 의금부 관리가 들고오는 짐짝 못 봤니? 우리는 글렀어..."라고 답하고 이에 민무회는 충격을 받고 어두운 허공을 응시하는 장면이 백미이다. [13] 이 때 형들과 마찬가지로 내금위장 정만쇠가 사형을 집행하게 되었으며 교수형과 사약 중 하나를 친절히 양자택일하게 되는데 형들과는 달리 교수형을 선택하고 도성 뒷산의 나무에 목이 매달려 죽는다. 이 때 정만쇠는 처음으로 눈물을 보였으며 이들의 억울한 죽음을 매우 안타까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14] 용의 눈물에서는 민무휼의 장인 이직 역으로 나왔다. 시대 역행 [15] 이때 뒤에서 민무회에게 “왜 그런 정신 나간 발언을 했냐?”라고 하는 표정을 지은 것이 압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