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5:31:46

리티아(엘소드)/미스치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티아(엘소드)
파일:엘소드 로고.png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전체 캐릭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Icon_-_Elsword.png
엘소드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Knight_Emperor.png {{{#!folding 나이트 엠퍼러 라인
<tablebgcolor=#fff> 나이트 엠퍼러 라인
파일:Icon_-_Sword_Knight.png
소드 나이트
파일:Icon_-_Lord_Knight.png
로드 나이트
파일:Icon_-_Lord_Knight_(Trans).png
초월: 로드 나이트
파일:Icon_-_Knight_Emperor.png
나이트 엠퍼러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Rune_Master.png
룬 마스터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66D5A> 룬 마스터 라인 ||
파일:Icon_-_Magic_Knight.png
매직 나이트
파일:Icon_-_Rune_Slayer.png
룬 슬레이어
파일:Icon_-_Rune_Slayer_(Trans).png
초월: 룬 슬레이어
파일:Icon_-_Rune_Master.png
룬 마스터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Immortal.png
임모탈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820A0A> 임모탈 라인 ||
파일:Icon_-_Sheath_Knight.png
시스 나이트
파일:Icon_-_Infinity_Sword.png
인피니티 소드
파일:Icon_-_Infinity_Sword_(Trans).png
초월: 인피니티 소드
파일:Icon_-_Immortal.png
임모탈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Genesis.png
제네시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08080> 제네시스 라인 ||
파일:Icon_-_Root_Knight.png
루트 나이트
파일:Icon_-_Sacred_Templar.png
세크리드 템플러
파일:Icon_-_Sacred_Templar_(Trans).png
초월: 세크리드 템플러
파일:Icon_-_Genesis.png
제네시스
||
파일:Icon_-_Aisha.png
아이샤
대사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Aether_Sage.png {{{#!folding 에테르 세이지 라인
에테르 세이지 라인
파일:Icon_-_High_Magician.png
하이 매지션
파일:Icon_-_Elemental_Master.png
엘리멘탈 마스터
파일:Icon_-_Elemental_Master_(Trans).png
초월: 엘리멘탈 마스터
파일:Icon_-_Aether_Sage.png
에테르 세이지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Oz_Sorcerer.png
오즈 소서러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7511B7> 오즈 소서러 라인 ||
파일:Icon_-_Dark_Magician.png
다크 매지션
파일:Icon_-_Void_Princess.png
보이드 프린세스
파일:Icon_-_Void_Princess_(Trans).png
초월: 보이드 프린세스
파일:Icon_-_Oz_Sorcerer.png
오즈 소서러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Metamorphy.png
메타모르피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00FF> 메타모르피 라인 ||
파일:Icon_-_Battle_Magician.png
배틀 매지션
파일:Icon_-_Dimension_Witch.png
디멘션 위치
파일:Icon_-_Dimension_Witch_(Trans).png
초월: 디멘션 위치
파일:Icon_-_Metamorphy.png
메타모르피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Lord_Azoth.png
로드 아조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A97BFF> 로드 아조트 라인 ||
파일:Icon_-_Wiz_Magician2.png
위즈 매지션
파일:Icon_-_Mystic_Alchemist2.png
미스틱 알케미스트
파일:Icon_-_Mystic_Alchemist_(Trans).png
초월: 미스틱 알케미스트
파일:Icon_-_Lord_Azoth.png
로드 아조트
||
파일:Icon_-_Rena.png
레나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Anemos.png {{{#!folding 아네모스 라인
아네모스 라인
파일:Icon_-_Combat_Ranger.png
컴벳 레인저
파일:Icon_-_Wind_Sneaker.png
윈드 스니커
파일:Icon_-_Wind_Sneaker_(Trans).png
초월: 윈드 스니커
파일:Icon_-_Anemos.png
아네모스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Daybreaker.png
데이브레이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PaleGreen> 데이브레이커 라인 ||
파일:Icon_-_Sniping_Ranger.png
스나이핑 레인저
파일:Icon_-_Grand_Archer.png
그랜드 아처
파일:Icon_-_Grand_Archer_(Trans).png
초월: 그랜드 아처
파일:Icon_-_Daybreaker.png
데이브레이커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Twilight.png
트와일라잇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2B886E> 트와일라잇 라인 ||
파일:Icon_-_Trapping_Ranger.png
트래핑 레인저
파일:Icon_-_Night_Watcher.png
나이트 와처
파일:Icon_-_Night_Watcher_(Trans).png
초월: 나이트 와처
파일:Icon_-_Twilight.png
트와일라잇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Prophetess.png
프로피티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4FBE65> 프로피티스 라인 ||
파일:Icon_-_Poetic_Ranger.png
포에틱 레인저
파일:Icon_-_Tale_Spinner.png
테일 스피너
파일:Icon_-_Tale_Spinner_(Trans).png
초월: 테일 스피너
파일:Icon_-_Prophetess.png
프로피티스
||
파일:Icon_-_Raven.png
레이븐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Furious_Blade.png {{{#!folding 퓨리어스 블레이드 라인
퓨리어스 블레이드 라인
파일:Icon_-_Sword_Taker.png
소드 테이커
파일:Icon_-_Blade_Master.png
블레이드 마스터
파일:Icon_-_Blade_Master_(Trans).png
초월: 블레이드 마스터
파일:Icon_-_Furious_Blade.png
퓨리어스 블레이드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Rage_Hearts.png
레이지 하츠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A9A9A9> 레이지 하츠 라인 ||
파일:Icon_-_Over_Taker.png
오버 테이커
파일:Icon_-_Reckless_Fist.png
레크리스 피스트
파일:Icon_-_Reckless_Fist_(Trans).png
초월: 레크리스 피스트
파일:Icon_-_Rage_Hearts.png
레이지 하츠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Nova_Imperator.png
노바 임퍼레이터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747474> 노바 임퍼레이터 라인 ||
파일:Icon_-_Weapon_Taker.png
웨폰 테이커
파일:Icon_-_Veteran_Commander.png
베테랑 커멘더
파일:Icon_-_Veteran_Commander_(Trans).png
초월: 베테랑 커멘더
파일:Icon_-_Nova_Imperator.png
노바 임퍼레이터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Revenant2.png
레버넌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242424> 레버넌트 라인 ||
파일:Icon_-_Venom_Taker2.png
베놈 테이커
파일:Icon_-_Mutant_Reaper2.png
뮤턴트 리퍼
파일:Icon_-_Mutant_Reaper_(Trans)2.png
초월: 뮤턴트 리퍼
파일:Icon_-_Revenant2.png
레버넌트
||
파일:Icon_-_Eve.png
이브
대사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Code_Ultimate.png {{{#!folding 코드: 얼티메이트 라인
코드: 얼티메이트 라인
파일:Icon_-_Code_Exotic.png
코드: 엑조틱
파일:Icon_-_Code_Nemesis.png
코드: 네메시스
파일:Icon_-_Code_Nemesis_(Trans).png
초월: 코드: 네메시스
파일:Icon_-_Code_Ultimate.png
코드: 얼티메이트
}}}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Code_Esencia.png
코드: 에센시아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C0CB> 코드: 에센시아 라인 ||
파일:Icon_-_Code_Architecture.png
코드: 아키텍처
파일:Icon_-_Code_Empress.png
코드: 엠프레스
파일:Icon_-_Code_Empress_(Trans).png
초월: 코드: 엠프레스
파일:Icon_-_Code_Esencia.png
코드: 에센시아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Code_Sariel.png
코드: 사리엘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DE8EB5> 코드: 사리엘 라인 ||
파일:Icon_-_Code_Electra.png
코드: 일렉트라
파일:Icon_-_Code_Battle_Seraph.png
코드: 배틀세라프
파일:Icon_-_Code_Battle_Seraph_(Trans).png
초월: 코드: 배틀세라프
파일:Icon_-_Code_Sariel.png
코드: 사리엘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Code_Antithese3.png
코드: 안티테제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B4045F> 코드: 안티테제 라인 ||
파일:Icon_-_Code_Unknown3.png
코드: 언노운
파일:Icon_-_Code_Failess2.png
코드: 페일리스
파일:Icon_-_Code_Failess_(Trans).png
초월: 코드: 페일리스
파일:Icon_-_Code_Antithese3.png
코드: 안티테제
||
파일:Icon_-_Chung.png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Comet_Crusader.png {{{#!folding 코멧 크루세이더 라인
코멧 크루세이더 라인
파일:Icon_-_Fury_Guardian.png
퓨리 가디언
파일:Icon_-_Iron_Paladin.png
아이언 팔라딘
파일:Icon_-_Iron_Paladin_(Trans).png
초월: 아이언 팔라딘
파일:Icon_-_Comet_Crusader.png
코멧 크루세이더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Fatal_Phantom.png
페이탈 팬텀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3e90b2> 페이탈 팬텀 라인 ||
파일:Icon_-_Shooting_Guardian.png
슈팅 가디언
파일:Icon_-_Deadly_Chaser.png
데들리 체이서
파일:Icon_-_Deadly_Chaser_(Trans).png
초월: 데들리 체이서
파일:Icon_-_Fatal_Phantom.png
페이탈 팬텀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Centurion.png
센츄리온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63B0F8> 센츄리온 라인 ||
파일:Icon_-_Shelling_Guardian.png
쉘링 가디언
파일:Icon_-_Tactical_Trooper.png
택티컬 트루퍼
파일:Icon_-_Tactical_Trooper_(Trans).png
초월: 택티컬 트루퍼
파일:Icon_-_Centurion.png
센츄리온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Dius_Aer.png
디우스 아에르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84ECF4> 디우스 아에르 라인 ||
파일:Icon_-_Cor_Guardian.png
코르 가디언
파일:Icon_-_Divine_Phanes.png
디바인 파네스
파일:Icon_-_Divine_Phanes_(Trans).png
초월: 디바인 파네스
파일:Icon_-_Dius_Aer.png
디우스 아에르
||
파일:Icon_-_Ara.png
아라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Apsara.png {{{#!folding 비천 라인
비천 라인
파일:Icon_-_Little_Hsien.png
소선
파일:Icon_-_Sakra_Devanam.png
제천
파일:Icon_-_Sakra_Devanam_(Trans).png
초월: 제천
파일:Icon_-_Apsara.png
비천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Devi.png
범황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AF2C12> 범황 라인 ||
파일:Icon_-_Little_Devil.png
소마
파일:Icon_-_Yama_Raja.png
명왕
파일:Icon_-_Yama_Raja_(Trans).png
초월: 명왕
파일:Icon_-_Devi.png
범황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Shakti.png
대라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85A1C> 대라 라인 ||
파일:Icon_-_Little_Specter.png
소요
파일:Icon_-_Asura.png
수라
파일:Icon_-_Asura_(Trans).png
초월: 수라
파일:Icon_-_Shakti.png
대라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Surya.png
일천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8EDECC> 일천 라인 ||
파일:Icon_-_Little_Helper2.png
소제
파일:Icon_-_Marici2.png
양염
파일:Icon_-_Marici_(Trans).png
초월: 양염
파일:Icon_-_Surya.png
일천
||||
파일:Icon_-_Elesis.png
엘리시스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Empire_Sword.png {{{#!folding 엠파이어 소드 라인
엠파이어 소드 라인
파일:Icon_-_Saber_Knight.png
세이버 나이트
파일:Icon_-_Grand_Master.png
그랜드 마스터
파일:Icon_-_Grand_Master_(Trans).png
초월: 그랜드 마스터
파일:Icon_-_Empire_Sword.png
엠파이어 소드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Flame_Lord.png
플레임 로드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04B13> 플레임 로드 라인 ||
파일:Icon_-_Pyro_Knight.png
파이로 나이트
파일:Icon_-_Blazing_Heart.png
블레이징 하트
파일:Icon_-_Blazing_Heart_(Trans).png
초월: 블레이징 하트
파일:Icon_-_Flame_Lord.png
플레임 로드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Bloody_Queen.png
블러디 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5F0003> 블러디 퀸 라인 ||
파일:Icon_-_Dark_Knight.png
다크 나이트
파일:Icon_-_Crimson_Avenger.png
크림슨 어벤저
파일:Icon_-_Crimson_Avenger_(Trans).png
초월: 크림슨 어벤저
파일:Icon_-_Bloody_Queen.png
블러디 퀸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Adrestia.png
아드레스티아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41DADF> 아드레스티아 라인 ||
파일:Icon_-_Soar_Knight.png
소어나이트
파일:Icon_-_Patrona.png
파트로나
파일:Icon_-_Patrona_(Trans).png
초월: 파트로나
파일:Icon_-_Adrestia.png
아드레스티아
||
파일:Icon_-_Add.png
애드
대사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Doom_Bringer.png {{{#!folding 둠 브링어 라인
둠 브링어 라인
파일:Icon_-_Psychic_Tracer.png
사이킥 트레이서
파일:Icon_-_Lunatic_Psyker.png
루나틱 사이커
파일:Icon_-_Lunatic_Psyker_(Trans).png
초월: 루나틱 사이커
파일:Icon_-_Doom_Bringer.png
둠 브링어
}}}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Dominator.png
도미네이터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c7acff> 도미네이터 라인 ||
파일:Icon_-_Arc_Tracer.png
아크 트레이서
파일:Icon_-_Mastermind.png
마스터마인드
파일:Icon_-_Mastermind_(Trans).png
초월: 마스터마인드
파일:Icon_-_Dominator.png
도미네이터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Mad_Paradox.png
매드 패러독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671F8E> 매드 패러독스 라인 ||
파일:Icon_-_Time_Tracer.png
타임 트레이서
파일:Icon_-_Diabolic_Esper.png
디아볼릭 에스퍼
파일:Icon_-_Diabolic_Esper_(Trans).png
초월: 디아볼릭 에스퍼
파일:Icon_-_Mad_Paradox.png
매드 패러독스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Overmind.png
오버마인드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63B6F0> 오버마인드 라인 ||
파일:Icon_-_Affect_Tracer2.png
어펙트 트레이서
파일:Icon_-_Dissembler2.png
디셈블러
파일:Icon_-_Dissembler_(Trans).png
초월: 디셈블러
파일:Icon_-_Overmind.png
오버마인드
||
파일:Icon_-_Lu.png 파일:Icon_-_Ciel.png
루시엘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Catastrophe_(Timoria).png 파일:Icon_-_Catastrophe_(Abysser).png {{{#!folding 카타스트로피 라인
카타스트로피 라인
파일:Icon_-_Chiliarch.png 파일:Icon_-_Ciel.png
킬리아크 / 시엘
파일:Icon_-_Chiliarch.png 파일:Icon_-_Dreadlord.png
킬리아크 / 드레드로드
파일:Icon_-_Chiliarch_(Trans).png 파일:Icon_-_Dreadlord_(Trans).png
초월: 킬리아크 / 드레드로드
파일:Icon_-_Catastrophe_(Timoria).png 파일:Icon_-_Catastrophe_(Abysser).png
카타스트로피
(티모리아 / 어비셔)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Innocent_(Ishtar).png 파일:Icon_-_Innocent_(Chevalier).png
이노센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4169E1> 이노센트 라인 ||
파일:Icon_-_Lu.png 파일:Icon_-_Royal_Guard.png
루 / 로열 가드
파일:Icon_-_Noblesse.png 파일:Icon_-_Royal_Guard.png
노블레스 / 로열 가드
파일:Icon_-_Noblesse_(Trans).png 파일:Icon_-_Royal_Guard_(Trans).png
초월: 노블레스 / 로열 가드
파일:Icon_-_Innocent_(Ishtar).png 파일:Icon_-_Innocent_(Chevalier).png
이노센트
(이슈타르 / 슈발리에)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Diangelion_(Iblis).png 파일:Icon_-_Diangelion_(Anular).png
디앙겔리온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170B5E> 디앙겔리온 라인 ||
파일:Icon_-_Diabla.png 파일:Icon_-_Ciel.png
디아블라 / 시엘
파일:Icon_-_Diabla.png 파일:Icon_-_Demonio.png
디아블라 / 데모니오
파일:Icon_-_Diabla_(Trans).png 파일:Icon_-_Demonio_(Trans).png
초월: 디아블라 / 데모니오
파일:Icon_-_Diangelion_(Iblis).png 파일:Icon_-_Diangelion_(Anular).png
디앙겔리온
(이블리스 / 아눌라르)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Demersio_(Nihilida).png 파일:Icon_-_Demersio_(Tyrannus).png
데메르시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8F9BFD> 데메르시오 라인 ||
파일:Icon_-_Emptiness.png 파일:Icon_-_Ciel.png
엠프티니스 / 시엘
파일:Icon_-_Emptiness.png 파일:Icon_-_Turbids.png
엠프티니스 / 터비스
파일:Icon_-_Emptiness_(Trans).png 파일:Icon_-_Turbids_(Trans).png
초월: 엠프티니스 / 터비스
파일:Icon_-_Demersio_(Nihilida).png 파일:Icon_-_Demersio_(Tyrannus).png
데메르시오
(니힐리다 / 티란누스)
||
파일:Icon_-_Rose.png
로제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Tempest_Burster.png {{{#!folding 템페스트 버스터 라인
템페스트 버스터 라인
파일:Icon_-_Heavy_Barrel.png
헤비 베럴
파일:Icon_-_Storm_Trooper.png
스톰 트루퍼
파일:Icon_-_Storm_Trooper_(Trans).png
초월: 스톰 트루퍼
파일:Icon_-_Tempest_Burster.png
템페스트 버스터
}}}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Black_Massacre.png
블랙 매서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a70000> 블랙 매서커 라인 ||
파일:Icon_-_Bloodia.png
블러디아
파일:Icon_-_Crimson_Rose.png
크림슨 로제
파일:Icon_-_Crimson_Rose_(Trans).png
초월: 크림슨 로제
파일:Icon_-_Black_Massacre.png
블랙 매서커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Minerva.png
미네르바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D700> 미네르바 라인 ||
파일:Icon_-_Valkyrie.png
발키리
파일:Icon_-_Freyja.png
프레이야
파일:Icon_-_Freyja_(Trans).png
초월: 프레이야
파일:Icon_-_Minerva.png
미네르바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Prime_Operator.png
프라임 오퍼레이터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4682B4> 프라임 오퍼레이터 라인 ||
파일:Icon_-_Metal_Heart.png
메탈 하트
파일:Icon_-_Optimus.png
옵티머스
파일:Icon_-_Optimus_(Trans).png
초월: 옵티머스
파일:Icon_-_Prime_Operator.png
프라임 오퍼레이터
||
파일:Icon_-_Ain.png
아인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Richter.png {{{#!folding 리히터 라인
리히터 라인
파일:Icon_-_Lofty_Executor.png
롭티: 익스큐터
파일:Icon_-_Arme_Thaumaturgy.png
아메 서머터지
파일:Icon_-_Arme_Thaumaturgy_(Trans).png
초월: 아메 서머터지
파일:Icon_-_Richter.png
리히터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Bluhen.png
블루헨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7FFFD4> 블루헨 라인 ||
파일:Icon_-_Lofty_Anpassen.png
롭티: 엔파서
파일:Icon_-_Erbluhen_Emotion.png
에브루헨 아모치온
파일:Icon_-_Erbluhen_Emotion_(Trans).png
초월: 에브루헨 아모치온
파일:Icon_-_Bluhen.png
블루헨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Herrscher.png
헤르셔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008080> 헤르셔 라인 ||
파일:Icon_-_Lofty_Wanderer.png
롭티: 원더러
파일:Icon_-_Apostasia.png
아포스타시아
파일:Icon_-_Apostasia_(Trans).png
초월: 아포스타시아
파일:Icon_-_Herrscher.png
헤르셔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Bigott.png
비고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4133D9> 비고트 라인 ||
파일:Icon_-_Lofty_Schreier.png
롭티: 슈라이어
파일:Icon_-_Schartz_Reprise.png
샤츠 레프리제
파일:Icon_-_Schartz_Reprise_(Trans).png
초월: 샤츠 레프리제
파일:Icon_-_Bigott.png
비고트
||
파일:Icon_-_Laby.png
라비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Eternity_Winner.png {{{#!folding 이터니티 위너 라인
이터니티 위너 라인
파일:Icon_-_Sparky_Child.png
스파키 차일드
파일:Icon_-_Rumble_Pumn.png
럼블 펌
파일:Icon_-_Rumble_Pumn_(Trans).png
초월: 럼블 펌
파일:Icon_-_Eternity_Winner.png
이터니티 위너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Radiant_Soul.png
라디언트 소울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69B4> 라디언트 소울 라인 ||
파일:Icon_-_Twinkle_Child.png
트윙클 차일드
파일:Icon_-_Shining_Romantica.png
샤이닝 로만티카
파일:Icon_-_Shining_Romantica_(Trans).png
초월: 샤이닝 로만티카
파일:Icon_-_Radiant_Soul.png
라디언트 소울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Nisha_Labyrinth.png
니샤 라비린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212795> 니샤 라비린스 라인 ||
파일:Icon_-_Rusty_Child.png
러스티 차일드
파일:Icon_-_Daydreamer.png
데이드리머
파일:Icon_-_Daydreamer_(Trans).png
초월: 데이드리머
파일:Icon_-_Nisha_Labyrinth.png
니샤 라비린스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Twins_Picaro.png
트윈즈 피카로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B023BF> 트윈즈 피카로 라인 ||
파일:Icon_-_Rough_Child.png
러프 차일드
파일:Icon_-_Punky_Poppet.png
펑키 포핏
파일:Icon_-_Punky_Poppet_(Trans).png
초월: 펑키 포핏
파일:Icon_-_Twins_Picaro.png
트윈즈 피카로
||
파일:Icon_-_Noah.png
노아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Liberator.png {{{#!folding 리버레이터 라인
리버레이터 라인
파일:Icon_-_Second_Revenger.png
세컨드 리벤저
파일:Icon_-_Silent_Shadow.png
사일런트 섀도우
파일:Icon_-_Silent_Shadow_(Trans).png
초월: 사일런트 섀도우
파일:Icon_-_Liberator.png
리버레이터
}}}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Celestia.png
셀레스티아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191970> 셀레스티아 라인 ||
파일:Icon_-_Second_Selection.png
세컨드 셀렉션
파일:Icon_-_Stellar_Caster.png
스텔라 캐스터
파일:Icon_-_Stellar_Caster_(Trans).png
초월: 스텔라 캐스터
파일:Icon_-_Celestia.png
셀레스티아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Nyx_Pieta.png
닉스 피에타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B0C4DE> 닉스 피에타 라인 ||
파일:Icon_-_Second_Grief.png
세컨드 그리프
파일:Icon_-_Pale_Pilgrim.png
페일 필그림
파일:Icon_-_Pale_Pilgrim_(Trans).png
초월: 페일 필그림
파일:Icon_-_Nyx_Pieta.png
닉스 피에타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Morpheus.png
모르페우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B40431> 모르페우스 라인 ||
파일:Icon_-_Second_Dejection.png
세컨드 디젝션
파일:Icon_-_Hazy_Delusion.png
헤이지 딜루전
파일:Icon_-_Hazy_Delusion_(Trans).png
초월: 헤이지 딜루전
파일:Icon_-_Morpheus.png
모르페우스
||
파일:Icon_-_Lithia.png
리티아
대사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Gembliss.png {{{#!folding 젬블리스 라인
젬블리스 라인
파일:1Icon_-_Poten_Finder.png
포텐 파인더
파일:1Icon_-_Mighty_Miner.png
마이티 마이너
파일:Icon_-_Mighty_Miner_(Trans).png
초월: 마이티 마이너
파일:Icon_-_Gembliss.png
젬블리스
}}} || 파일:25px-UI_-_Physical_Class.png
파일:Icon_-_Avarice.png
애버리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00FF7F> 애버리스 라인 ||
파일:Icon_-_Fortune_Finder.png
포춘 파인더
파일:Icon_-_Greedy_Wonder.png
그리디 원더
파일:Icon_-_Greedy_Wonder_(Trans).png
초월: 그리디 원더
파일:Icon_-_Avarice.png
애버리스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Achlys.png
아클리스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0B6121> 아클리스 라인 ||
파일:Icon_-_Path_Finder.png
패스 파인더
파일:Icon_-_Rima_Clavis.png
리마 클라비스
파일:Icon_-_Rima_Clavis_(Trans).png
초월: 리마 클라비스
파일:Icon_-_Achlys.png
아클리스
|| 파일:25px-UI_-_Magical_Class.png
파일:Icon_-_Mischief.png
미스치프 라인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DF0174> 미스치프 라인 ||
파일:Icon_-_Trick_Finder.png
트릭 파인더
파일:Icon_-_Cynical_Sneer.png
시니컬 스니어
파일:Icon_-_Cynical_Sneer_(Trans).png
초월: 시니컬 스니어
파일:Icon_-_Mischief.png
미스치프
||}}}}}}}}} ||

파일:엘소드 로고.png
관련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c1c> 시스템 장비 · 아바타 (레어 아바타) · 가구 · 악세사리 · 칭호 일람 · 스킬트리 역사 · 유저 커스텀
소환수 · 길드 시스템 · 전문직업 · 던전 · 레이드 ( 시너지 일람)
설정 세계관 · 전직에 관하여 · 스토리( 사이드 스토리) · 일러스트&모델링 · 등장인물 ( 대사)
사건 사고 밸런스 ( 패치 내역) · 필드화 사건 · 영웅대전 14 사건 · 엘소드 운영진 특정 길드 친목 사건 · 문제점
미디어 믹스 코믹북 · 라이트 노벨 · 애니메이션 · 오프라인 행사
기타 2014 밸런스 개편 · 포텐 리뉴얼 · 엘소드 슬래시 · 던대전 툴팁 분리 · 2021 간담회
관련 문서 관련 사이트 · 만우절 · 용어 ( 강세)
틀 & 템플릿 엘소드 틀 · 대사 틀 · 레압 틀 · 레이드 틀 · 에픽퀘 틀 · 엘의 여인과 6마스터 틀
지역 틀 · 플레이어블 캐릭터 틀 · 마족 틀 · 커스텀 틀
대사 템플릿 · 캐릭터 템플릿 · 전직 템플릿
}}}}}}}}} ||

1. 개요
1.1. 디자인 & 설정1.2. 플레이 스타일
2. 1차: 트릭 파인더(Trick Finder)
2.1. 추가 커맨드&콤보2.2. 추가 스킬
2.2.1. 액티브 시리즈2.2.2. 패시브2.2.3. 봉인
3. 2차: 시니컬 스니어(Cynical Sneer)
3.1. 추가 커맨드&콤보3.2. 추가 스킬
3.2.1. 액티브 시리즈3.2.2. 패시브3.2.3. 봉인
4. 초월: 시니컬 스니어(transcendence: Cynical Sneer)
4.1. 추가 스킬
4.1.1. 액티브 시리즈4.1.2. 패시브4.1.3. 봉인
5. 3차: 미스치프(Mischief)
5.1. 추가 커맨드&콤보5.2. 추가 스킬
5.2.1. 액티브 시리즈5.2.2. 패시브5.2.3. 마스터 클래스 스킬5.2.4. 봉인
5.3. 포스
5.3.1. 패시브5.3.2. 액티브5.3.3. 체인지

1. 개요

온라인 게임 엘소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리티아의 4라인 전직에 대한 문서.

2024년 5월 23일 업데이트 되었다.


1.1. 디자인 & 설정

트릭 파인더
함정의 범인을 찾기 위해 마족의 마법을 사용하는 추적자

망령의 저주를 풀기 위해 이것저것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던 리티아.
펠릭스가 알려준 마족의 마법에 저주가 반응하는 것을 느낀다.
하지만 펠릭스의 마법은 대체로 유치하고 약한 마법이었기에 전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방법을 고민하게 되고, 은빛 호수에서 틈을 열려는 누군가를 저지하기 위해 우연히 마족의 마력이 응축된 검붉은 광석을 사용하여 강력한 마법을 다룰 수 있게 된다.
리티아는 이 음모의 시작이 누구였는지 쫓기 위해 트릭 파인더가 되어 함정 속으로 뛰어든다.
시니컬 스니어
마기에 사로잡혀 분노에 눈이 멀어버린 추적자

범인을 쫓아 항구로 향한 리티아는 혼비백산을 마주한다.
직감적으로 호수에서의 일과 관련 있음을 눈치챈 리티아는 과격한 마법을 사용하고,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고 경계하고 두려워한다.
벨더의 배에 올라 휴식할 때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는 악몽을 꾼 이후 무언가 달라졌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게 된다.
잠에서 깨 밀항자로 소란스러운 배 안을 또 한 번 과격하게 마법으로 제압하고 조이의 힘을 악용한 이를 처단하고자 다짐한 것은 시니컬 스니어가 된 리티아에게 필연적인 일이었다.
미스치프
어긋난 존재들을 유린하는 광기 어린 마술사

리티아는 학회원이 벨더의 귀족들과 계략을 꾸몄음을 깨닫고 사건을 막기 위해 광장으로 향했지만 결국 친구들을 구하지 못한다.
악에 받친 리티아는 추적 끝에 지금까지의 모든 일이 교단에게 놀아난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분노하여 그만 틈을 열어버린다.
틈에 빨려들어간 리티아는 홀로 아주 긴 시간을 보내는 동안 증오를 더욱 키우게 되고, 오랜 끝에 간신히 엘리아노드로 빠져나온다.
리티아는 이 모든 일은 꿈이었다고 현실을 부정하려 했지만 결국 교단에게 복수하고 그들을 말살시키기 위해 분노에 몸을 맡긴다.
이미 소중한 모든 것들을 잃었고, 이곳에서 환영받을 수 없다.
그들에게 모두 똑같이 돌려주리라 다짐한 리티아는 미스치프로서 잔혹한 쇼를 시작한다.

주축인 면모는 '마족의 마법'과 '마기', 그리고 '마술사'다.

1.2. 플레이 스타일

전직 기본 생성 정보
속도 느림 보통 빠름
공격거리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난이도 쉬움 보통 어려움
주력 타입 마법공격력
전직 액티브 스킬 구분 정보
유연 기본: 파편 강타!, 위기 탈출
1차: 리드 인, ??? 인 더 박스
2차: 메리 하하, 컨페티
초월: 인트랩
3차: C리드 인
강인 기본: 차징 젬, 피스트
1차: 미스트러스트, 커비홀
2차: 고스트 턴
초월: 럭키 찬스
3차: C스킬들
강렬 기본: 오벨리스크, 래피드 버스트
1차: 인비테이션, 팬텀 페노매논, 세그멘테이션
2차: 스트라이크 다운, 디아볼로
초월: 하우스 오브 카드
3차: C디아볼로
초월 기본: 스포듀민
1차: 레디에이트
2차: 카디스트리, 킹 르픽스
초월: 녹아웃
3차: C레디에이트
던대전 가리지 않는 주력 = 볼드체 / 던전 only 주력 = 밑줄 / 대전 only 주력 = 기울임 / 비선호 스킬은 아무런 효과 없음
스킬 나열은 배우는 순 & 체인지는 앞에 C 붙여 개별 서술

장점
단점

스킬 난사에 특화된 마법 시너지 딜러로, 조건 충족 시 최대 성능을 발휘한다.

[아르카디아 - 대단원] 달성 시 강력한 딜링과 고정된 시너지가 보장된다. 다만 예열 과정의 구조적인 하자로 인해 예열 자체가 지나치게 느리며, 그 예열에 의존하는 [주사위]로 인해 [아르카디아 - 대단원] 달성 전까지는 열화된 화력으로 운에 의존하는 캐릭터라는 단점이 부각된다.

마족의 마력이 응축된 검붉은 광석을 사용했다는 설정 때문인지 젬 스톤과 슬링의 색상이 붉은색으로 바뀐다.

2. 1차: 트릭 파인더(Trick Finder)

인게임 기본 아트워크[기준]
파일:Portrait_-_Trick_Finder.png
<기본 프로모션 SCG>
연습도 충분히 했고, 좋아. 가 보자!
(여유롭게 한비퀴 회전한 후 피켈로 앞을 가리킨다.)

Trick Finder = 마족의 마법을 사용하는 추적자.
전직 원어 이름은 직역하면 장난을 찾는 자로 해석된다.
함정의 범인을 찾기 위해 마족의 마법을 사용하는 추적자
유적에서 망령에 의해 강한 마력이 깃든 저주를 받은 리티아는 알 수 없는 저주의 해제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다. 그러던 중 펠릭스가 알려 준 간단한 마족의 마법을 사용했을 때 마치 저주가 마족의 마법에 반발하는 듯한 위화감을 받는다. 펠릭스가 알려 준 마법은 유치하고 장난스러운 마법이 대부분이라 부끄럽지만…. 계속 사용하다 보면 저주를 없앨 수 있지 않을까?

리티아는 이 마법을 전투에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고민하다가 문득 이전에 연구에 도움이 될까 채집했던 검붉은 빛의 광석을 떠올린다. 마족의 마력과 같은 이질적인 힘이 응축되어 있던 그 광석을 쓰면 마족의 마법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펠릭스가 마법을 가르쳐줄 때 '이 마법은 인간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으니 잘못 사용하면 위험하다'라고 거듭 주의를 주었던 것이 함께 떠올랐다. 망설이던 리티아는 우선 광석의 사용은 보류하고 자신의 힘만으로 최대한 나아가 보기로 한다.

자야 산에서 마족들의 수상한 행렬을 마주한 리티아는 일행을 산 아래로 보내고 홀로 산 정상의 은빛 호수로 향했다. 그곳에서 수상한 행동을 하는 누군가를 저지하려 했으나 강력한 결계로 인해 쉽게 접근할 수 없었다. 호수 중심에서부터 알 수 없는 힘이 퍼지기 시작했고, 호수의 생명체들이 기이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현상을 막기 위해 결계를 부수려 했으나 스스로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었다. 리티아는 다급해진 나머지 결국 마기가 응축된 광석을 사용해 강력해진 마법으로 결계를 부수고 호수에 이질적인 기운을 퍼트리는 장신구를 파괴하는 데 성공한다.

부서진 장신구에서는 미약하게 틈의 흔적이 남아있었다. 이 모든 일은 누가, 어떤 의도로 저지른 일이지? 틈을 이용해 무슨 일을 벌이려는 거지? 많은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는 자신이 막았지만, 다음번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 가만두지 않겠어!

많은 생각에 사로잡힌 리티아는 무작정 앞으로 나아간다. 이 함정의 범인을 찾기 위해, 자신의 신체에 생긴 변화를 미처 눈치채지도 못한 채.
1차 전직 퀘스트(전직 개별)
<rowcolor=#373a3c> 퀘스트 캐시 아이템
1. 틈 속의 틈과 대화하기 트릭 파인더의 변화
(1,900원)
2. 자야 산 클리어 0/1
3. 틈 속의 틈과 대화하기

1. 설정 – 전직의 콘셉트와 배경 설정
업데이트 시의 트레이드 마크 악세사리는 '.'

2. 외향 – 전직의 외형, 콘셉트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 또한 그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아트워크 업로드 및 외향 평가는 오로지 정확한 공식 전신이 뜬 뒤에, 선 업로드 후 평가합니다. 무비 등으로의 사전 공개용 스크린샷이나 유출사진은 나무위키 파일로 업로드 하지 마시고, KOG 또는 NEXON의 공식 홍보 영상이 나왔다면 유트브 또는 트위터 외부링크로 선행공개 날짜와 함께 적어주세요. 이 문장은 공식 아트워크 업로드 전까지 알림을 위해 남겨둡니다.

3. 던/대전 평가
※던/대전의 전반적인 평가입니다.

4. 그 외 특징.

2.1. 추가 커맨드&콤보

전직 추가 커맨드
Z(Z)XX 피켈로 전방 근접한 범위를 1~2번 베고, 전방으로 빠르게 카드 1개를 날린 뒤 연이어 연타하는 카드 1개를 날린다.
모든 카드는 적을 관통하지 않는다.
↑XZZ 빠르게 아래로 강습한 뒤, 슈퍼아머 상태로 앞으로 돌진하여 마력 폭풍을 생성하고 피켈로 올려쳐 적을 띄운다.
슈퍼아머는 돌진 시점부터 피켈을 휘두르는 모션이 끝날 때까지 유지된다.
추가 응용 콤보
응용 콤보1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응용 콤보2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2.2. 추가 스킬

나무위키 지침 상 모든 스킬은 현재의 기준이므로, 과거 평가는 매번 스킬이 바뀔 때마다 삭제한다. 스킬의 활용도 및 메커니즘이 완전히 바뀌지 않는 이상 단순히 덧붙이는게 아니라 스킬 자체를 수정해야 한다.

스킬 시전 등 관련 대사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리티아(엘소드)/대사 문서에 작성한다.

2.2.1. 액티브 시리즈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액티브 스킬을 모아둔 문단으로 액티브와 스폐셜 액티브, 하이퍼 액티브 전부 이 분류에 포함되어 '액티브' 칸으로 모여 있다.

스킬 아이콘 리드 인
습득 레벨 : 15 액티브
화려한 폭발과 함께 리티아가 모두의 시선을 끌며 꽤나 요란하게 등장한다.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화려한 등장(마법) : 198% 연타 MP 40 5초
[대전] 화려한 등장(마법) : 79% 연타
강화 효과 - 소모 MP가 20% 감소한 상태
[던전] 화려한 등장(마법) : 198% 연타 MP 32 5초
[대전] 화려한 등장(마법) : 79% 연타
강화된 거대화된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시전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6번 타격하는 폭발이 발생한다. 총 데미지는 1188%, 강화된 1425.6%다.

공중 사용 가능 및 전방위 범위를 가진 액티브로, 슈퍼아머는 없지만 무난한 범위와 데미지를 가진 덕분에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하기 좋다.

스킬 아이콘 인비테이션
습득 레벨 : 15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정면으로 초대장을 날린다. 초대장에 닿은 대상에게 깜짝 친구가 등장하여 환영 인사를 보낸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데미지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초대장(마법) : 431% 연타 MP 200 14초
[대전] 초대장(마법) : 172%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초대장(마법) : 517% 연타 MP 200 14초
[대전] 초대장(마법) : 206% 연타
가벼워진 거대화된
소모 MP가 80%로 낮아집니다.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전방 아래에서부터 위를 향해 차례대로 각각 3번씩 타격하는 초대장 5개를 던진다. 총 데미지는 6465~7758%, 진 7755~9306%다.

적을 관통하지 않는 단일 딜링기로, 초대장이 날아가는 거리와 각도가 제법 넓지만 적을 관통하지 않아서 필드기로 쓰긴 힘들다.

적과 근접해서 사용하거나 Y축으로 큰 중형~대형보스에게 사용하면 풀타를 맞출 수 있다. 풀타를 맞추지 못해도 살짝 떨어진 거리에서 초대장 4장 정도만 맞아도 나름 나쁘지 않은 데미지가 나오고, 쿨타임이 짧은 '젬 스톤 소모' 강렬한 스킬이라 아르카디아 게이지를 쌓는 용도로 나쁘지 않다.

스킬 아이콘 ??? 인 더 박스
습득 레벨 : 25 액티브
마족의 마법을 활용하여 알 수 없는 무언가를 소환한다. 소환된 알 수 없는 상자는 적을 혼란에 빠트리고 튀어나온 무언가에 타격당한 적은 멀리 날아간다.

그런데……이게 뭐야???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상자(마법) : 469%
튀어나온 무언가(마법) : 783%
혼란 지속 시간 : 0.5초
MP 40 5초
[대전] 상자(마법) : 178%
튀어나온 무언가(마법) : 313%
혼란 지속 시간 : 0.5초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상자(마법) : 565%
튀어나온 무언가(마법) : 941%
혼란 지속 시간 : 0.5초
MP 40 5초
[대전] 상자(마법) : 215%
튀어나온 무언가(마법) : 376%
혼란 지속 시간 : 0.5초
강화된 가벼워진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소모 MP가 80%로 낮아집니다.

전방에 상자를 설치하면, 상자에서 무언가가 튀어나와 적에게 혼란을 입히고 높게 띄운다. 총 데미지는 1252%, 강화된 1502.4%, 진 1506%, 강화된 1807.2%다.

박스가 소환되고 어느 정도 필드에 남아 뒤늦게 다가온 적을 타격할 수 있고, 적을 무척 높이 띄워서 대전에서 적을 당황하게 만드는 용도로 유용하다. 다만 적을 높게 띄우는 만큼 콤보용으로 사용한다면 캐치할 때 신경 써야 한다.

스킬 아이콘 팬텀 페노매논
습득 레벨 : 25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정면의 적들을 해치우기 위해 마법으로 무언가의 형체를 만들어낸다.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범위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무언가의 형체(마법) : 900% 연타 MP 200 14초
[대전] 무언가의 형체(마법) : 342%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무언가의 형체(마법) : 1080% 연타 MP 200 14초
[대전] 무언가의 형체(마법) : 411% 연타
가속화된 묵직해진
재사용 시간이 80%로 짧아집니다.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전방으로 최대 12번 타격하며 길을 따라 나아가는 무언가의 형체를 전진시킨다. 총 데미지는 10800%, 묵직해진 15552%, 진 12960%, 묵직해진 18662.4%이며, 형체가 적을 3번 타격한 평균 2700%, 묵직해진 3888%, 진 3240%, 묵직해진 4665.6%다.

무언가의 형체가 시전자의 뒤에서부터 생성되어서 뒤에 근접한 적도 2번은 타격한다. 길을 따라가고 X축 범위도 꽤 넓으며 공중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필드기로 유용하지만, Y축 범위가 다소 협소한데다 판정도 약간 부실해서 일직선상의 적을 처리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

스킬 아이콘 미스트러스트
습득 레벨 : 30 스페셜 액티브 : 강인한
마법의 장막을 펼쳐 리티아의 마법에 불신을 가진 자들을 찾아내어 혼내준다.
카드에 타격당한 적들의 모든 속도가 감소한다.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증명의 카드(마법) : 594% 연타
모든 속도 감소 : 15%
지속 시간 : 7초
MP 100 7초
[대전] 증명의 카드(마법) : 225% 연타
모든 속도 감소 : 7.5%
지속 시간 : 7초
강화 효과 - 장막의 범위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증명의 카드(마법) : 594% 연타
모든 속도 감소 : 15%
지속 시간 : 7초
MP 100 7초
[대전] 증명의 카드(마법) : 225% 연타
모든 속도 감소 : 7.5%
지속 시간 : 7초
강화된 가벼워진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소모 MP가 80%로 낮아집니다.

전방에 마법의 장막을 펼친 뒤 범위 내 모든 적에게서 4번 타격하는 증명의 카드를 생성시켜 7초간 모든 속도를 감소시킨다. 총 데미지는 2376%, 강화된 2851.2%다.

전방 및 상단 범위가 무척 넓고, 속도 감소 디버프도 있어서 대전에서는 선타기로 훌륭하다. 또한 증명의 카드는 타격 이펙트 생성 판정이라 적이 뭉쳐있으면 중첩 데미지를 줄 수 있으므로 여러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킬 아이콘 커비홀
습득 레벨 : 35 스페셜 액티브 : 강인한
휘리릭~ 리본이 나타나서 리티아를 보호하듯 휘감는다. 리본은 일정 시간 유지되며 다가오는 적을 타격하고, 리본이 유지되는 동안 리티아는 슈퍼아머 상태가 된다.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리본(마법) : 217% 연타
지속 시간 : 5초
MP 100 7초
[대전] 리본(마법) : 87% 연타
지속 시간 : 3초
강화 효과 - 리본 지속 시간이 2초 증가한 상태
[던전] 리본(마법) : 217% 연타
지속 시간 : 7초
MP 100 7초
[대전] 리본(마법) : 87% 연타
지속 시간 : 5초
거대화된 강화된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자신의 주변으로 1초마다 2번씩 타격하는 리본을 5초간, 진 7초간(대전은 각각 3초, 5초) 전개하여 주변 적을 타격하고 자신에게 슈퍼아머를 부여한다. 총 데미지는 2170%, 강화된 2604%, 진 3038%, 강화된 3645.6%다.

경직은 시전 직후 2초간 타격에게만 발생하며, 이후에는 경직없이 데미지만 준다. 지속시간이 제법 긴 슈퍼아머 스킬이라 던대전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강인 스킬이라 소모 MP가 100이고 극기류 스킬치곤 쿨타임도 7초로 짧아서 유용하다.

던전에서는 '거인의 돌사과' 등의 별도의 슈아 수단을 확보할 경우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자가 슈퍼아머의 장점이 있는데다 던전 한정 상시 유지가 가능하므로 일부 던전에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전 또한 슈퍼아머가 가지는 장점이 크기 때문에 주력 스킬로 사용한다.

스킬 아이콘 레디에이트
습득 레벨 : 35 스페셜 액티브 : 초월한
집중하여 마력을 담아 기억 속의 무언가를 소환한다.
이건 흠…… 가방 같은데…….무언가 기억 속의 가방과는 다른 모습이지만 강해 보이니까 상관없다. 가방은 알 수 없는 기운을 뱉어내며 정면으로 나아간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3개 소모하면 데미지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가방(마법) : 814% 연타
알 수 없는 기운(마법) : 415% 연타
MP 300 21초
[대전] 가방(마법) : 310% 연타
알 수 없는 기운(마법) : 158%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가방(마법) : 977% 연타
알 수 없는 기운(마법) : 498% 연타
MP 300 21초
[대전] 가방(마법) : 372% 연타
알 수 없는 기운(마법) : 190% 연타
묵직해진 치명적인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전방으로 최대 18번 타격하며 길을 따라 전진하는 가방을 소환하고, 가방은 전진하며 각각 1번씩 타격하는 알 수 없는 기운을 사선 위로 5개씩 총 4번 발사한다. 총 데미지는 22952~27542.4%, 묵직해진 32532.48~39661.05%, 진 27546~33055.2%, 묵직해진 39666.24~47599.48%이며, 가방 4번+알 수 없는 기운 5번 타격한 평균 5331~6397.2%, 묵직해진 7676.64~9211.96%, 진 6398~7677.6%, 묵직해진 9213.12~11055.74%다.

전진 범위가 넓은 맵병기 스킬로, 가방이 길은 따라가지만 지형을 무시하고 돌진해서 시전 위치가 중요하다. 돌진 거리가 제법 길고, 적을 관통하는 알 수 없는 기운도 상단으로 넓게 발사되어 해당 스킬로 몹을 잡을 수 있다면 뛰어난 필드기로 사용할 수 있다.

데미지가 높아서 딜링기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돌진 거리가 너무 멀고 흩뿌리는 기운도 분산각이 너무 커서 어지간히 큰 대형보스가 아니면 풀타를 맞추기 힘들다. 대형 보스를 상대로는 나름 나쁘지 않은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소형 보스의 경우 다른 스킬이나 판정이 더욱 안정적인 체인지를 주로 쓰게 된다.

2.2.2. 패시브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패시브 스킬로, <진> 강화 효과와 스킬 강화 시스템인 <특성>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으로 스킬 레벨이 상승한다.

스킬 아이콘 거부할 수 없는 초대
습득 레벨 : 15 패시브
리티아의 [아르카디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쇼에서 그동안 겪어보지 못한 강렬하고도 치명적인 마술 같은 마법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리티아의 마술쇼 [아르카디아]의 오프닝이 시작된다.
젬스톤을 소모한 수만큼 아르카디아 게이지가 상승하고 각성 시 아르카디아 게이지를 추가로 획득한다. 게이지가 쌓일수록 쇼의 분위기는 무르익어간다.
오프닝 단계에서 리티아의 모든 속도가 증가한다.

모든 스킬의 물리 공격을 마법 공격으로 변환시키며, 마법 공격력과 최대 MP가 증가한다.

[아르카디아]
- 오프닝 : 0 ~ 70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마법 공격력 증가 : 15%
최대 MP 증가 : 100
각성 시 아르카디아 게이지 추가 획득:5
[아르카디아 - 오프닝]
이동속도, 점프속도 증가 : 15%
동작속도 증가 : 10%
[대전] 마법 공격력 증가 : 6%
최대 MP 증가 : 100
각성 시 아르카디아 게이지 추가 획득:5
[아르카디아 - 오프닝]
이동속도, 점프속도 증가 : 7.5%
동작속도 증가 : 5%

마법 공격력과 최대 MP가 증가하고, [아르카디아]가 활성화된다.
아르카디아 (아르카디아 관련 모든 패시브 습득, 99레벨 기준)
리티아의 쇼 아르카디아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 젬 스톤을 소모하면 아르카디아 게이지를 획득합니다.
- 획득한 게이지 수치에 따라 아르카디아가 진행됩니다.

(아래 표기된 수치는 모두 던전기준이며, 대전에서는 모든 효과가 절반의 수치로 적용)
오프닝 : 0~10 - 이동/점프속도 증가 : 15%
- 동작속도 증가 : 10%
매혹적인 전개 : 11~30 - 각성 중 스페셜 액티브 스킬 데미지 증가 : 20%
- 일정 범위 내 적의 마법 방어력 감소 : 20%
(마법 방어력 감소 재발동 대기 시간 : 5초)
전율의 클라이맥스 : 31~70 - [운명의 주사위]의 첫 번째 주사위가 [2]로 고정
- 마법 공격력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 중간보스, 보스에게 입히는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대단원 : 70~쇼 종료 - [운명의 주사위]의 두 번째 주사위가 [5]로 고정
- 모든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 젬스톤 소모 시 10초간 보스에게 받는 피해 감소 : [주사위] 숫자 × 0.5%

각성 및 재각성, 스킬 사용을 통해 젬 스톤을 소모하면 소모한 수만큼 [아르카디아] 스택이 채워진다. 특정 스택에 해당하는 효과가 추가 부여되며, 던전/대전이 끝날 때까지 유지된다.
[주사위] 관련 효과는 시니컬 시니어의 패시브 '운명의 주사위' 문단 참고.

2.2.3. 봉인

레벨에 따른 자동 습득이 불가한 잠겨진 스킬로, 스킬 봉인 해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캐시로 구입하여 개방할 수 있다. 스킬 종류에 따라 상기한 액티브 시리즈와 패시브에 서술된 모든 특징을 공유한다.

스킬 아이콘 세그멘테이션
습득 레벨 : 30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5개의 공을 소환한다.
공은 집요하게 적을 쫓으며 유도되어 날아간다. 공이 적을 타격하면 공이 더욱 늘어나서 다시 적을 쫓는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공 1개 추가 생성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적을 쫓는 공(마법) : 320% 연타
분열한 공(마법) : 113% 연타
MP 200 14초
[대전] 적을 쫓는 공(마법) : 144% 연타
분열한 공(마법) : 51%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적을 쫓는 공(마법) : 383% 연타
분열한 공(마법) : 136% 연타
MP 200 14초
[대전] 적을 쫓는 공(마법) : 173% 연타
분열한 공(마법) : 61% 연타
가속화된 가벼워진
재사용 시간이 80%로 짧아집니다. 소모 MP가 80%로 감소됩니다.
전직별 두 번째 중급 봉인 스킬. 해당 스킬의 봉인을 해제하는 퀘스트를 게시판에서 받아 실행하거나, 캐시로 풀 수 있다.

전방으로 각각 1번씩 타격하는 공 5~6개를 소환하고, 공이 적에게 닿으면 각각 1번씩 타격하는 공 3개로 분열된다. 1명에게 집중한 총 데미지는 3295~3954%, 진 3955~4746%다.

가장 가까운 적부터 추격하는 유도기로, 쫒는 공의 유도 범위는 재법 괜찮지만 분열한 공의 지속 시간은 다소 짧아서 유도 거리가 크지 않다. 또한 타당 데미지가 제법 낮은 편이라 필드에서 남은 몹을 잡는 용도로만 사용한다.

3. 2차: 시니컬 스니어(Cynical Sneer)

인게임 기본 아트워크[기준]
파일:Portrait_-_Cynical_Sneer.png
<기본 프로모션 SCG>
파일:나무위키에 업로드 한 파일.png
<스킬시전 프로모션 SCG>
꽁꽁 숨는 게 좋을 거야~
(공중의 피켈을 낚아챈 후 한쪽 손을 내민다.)

Cynical Sneer = 마기에 사로잡힌 추적자.
전직 원어 이름은 직역하면 냉소적인 비웃음으로 해석된다.
마기에 사로잡혀 분노에 눈이 멀어버린 추적자
범인은 반드시 항구를 거쳐 플루오네 대륙을 벗어날 것이라 추리한 리티아는 항구로 향한다. 배를 찾는 도중 몬스터들이 날뛰기 시작해 항구는 난장판이 되어 버린다. 저주의 탓인지 새로운 힘을 사용한 탓인지 예민해진 리티아는 직감적으로 호수에서의 일과 항구 소동이 연관되어 있음을 눈치챈다. 반드시 잡아야만 해, 전부 비켜! 리티아는 범인을 잡겠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주변을 신경 쓰지 않고 과격한 마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나소드를 해치운 뒤에도 리티아는 범인을 찾아내지 못했다. 오히려 그런 리티아의 행동을 사람들은 경계하고 이상하다며 수군거린다. 소동의 범인이 리티아인 것 같다느니, 누군가는 마족의 짓이라며 큰 소리를 치기도 한다. 바보 같은 인간들, 당신들을 구해준 건 바로 마족에게 배운 마법인데! 불쾌한 기분이 멈추지 않는다. 이건 마족의 짓이 아니고 누군가 꾸민 짓이라고 소리쳐도 의심은 더해질 뿐이었다.

다시 범인의 흔적을 쫓아 벨더로 향하던 때, 겨우 잠에 들어 안심한 것도 잠시, 리티아는 기묘한 꿈을 꾸게 된다. 누군가가 분노와 원망을 토해내는 꿈이었다.

'너는 이곳에서 환영받지 못한다. 이 땅의 모든 것이 너를 거부할 것이다…'

알 수 없는 말들…. 자신에게 저주를 퍼붓던 그녀는 괴로워하며 어둠에 삼켜진다.
불쾌한 꿈에서 깨어난 리티아는 자신이 무언가 달라졌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느낀다.

잠에 든 사이 배 안은 밀항자 때문에 소란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 또한 녀석들의 짓일지 모른다. 이번엔 범인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생각에 리티아는 크게 흥분해 과격한 마법을 써서 그들을 제압한다. 그 모습은 마치 자신의 힘에 도취된 것처럼 보였다. 안으로 파고들며 나아가던 리티아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여신상에서 또다시 틈을 발견한다. 그 틈은 어렸을 적 리티아가 만들어낸 것과 분명히 같은 틈이었다.
대체 누구야? 누가 조이의 힘을 이렇게 악용하는 거지? 조이의 연구 성과를 더럽히게 두지 않겠어.

리티아의 분노는 더욱 커져 리티아가 시니컬 스니어로 각성하는 계기가 된다.
2차 전직 퀘스트(전직 개별)
<rowcolor=#373a3c> 퀘스트 캐시 아이템
1. 항구 도시 데니스 클리어 0/1 시니컬 스니어의 분노
(3,900원)
2. 통곡하는 바람 클리어 0/1
3. 혼란의 클레르크 호 클리어 0/1

1. 설정 – 전직의 콘셉트와 배경 설정
업데이트 시의 트레이드 마크 악세사리는 '.'

2. 외향 – 전직의 외형, 콘셉트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 또한 그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아트워크 업로드 및 외향 평가는 오로지 정확한 공식 전신이 뜬 뒤에, 선 업로드 후 평가합니다. 무비 등으로의 사전 공개용 스크린샷이나 유출사진은 나무위키 파일로 업로드 하지 마시고, KOG 또는 NEXON의 공식 홍보 영상이 나왔다면 유트브 또는 트위터 외부링크로 선행공개 날짜와 함께 적어주세요. 이 문장은 공식 아트워크 업로드 전까지 알림을 위해 남겨둡니다.

3. 던/대전 평가
※던/대전의 전반적인 평가입니다.

4. 그 외 특징

초월 후 바뀌는 스타일 및 성능은 초월문단 참조.

3.1. 추가 커맨드&콤보

전직 추가 커맨드
→→XXX 전방으로 관통 돌진한 뒤 뒤돌아 카드 3개를 날리고, 연타하며 전진하는 거대 주사위를 소환한다.
카드는 적을 관통하지 않으며, 타격 판정이 조금 날아간 뒤 생기므로 적과 초근접하면 타격이 들어가지 않는다.
거대 주사위는 적을 관통하지만 적과 닿으면 느려지므로 여러 번 타격하기 쉽다.
→→↑ZXX 공중에서 피켈로 전방을 한 번 베고, 주변을 연타한 뒤 슈퍼아머 상태로 회전하며 사선 아래로 내려온다.
슈퍼아머는 떨어질 때부터 바닥에 닿을 때까지 유지된다.
추가 응용 콤보
응용 콤보1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응용 콤보2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3.2. 추가 스킬

나무위키 지침 상 모든 스킬은 현재의 기준이므로, 과거 평가는 매번 스킬이 바뀔 때마다 삭제한다. 스킬의 활용도 및 메커니즘이 완전히 바뀌지 않는 이상 단순히 덧붙이는게 아니라 스킬 자체를 수정해야 한다.

스킬 시전 등 관련 대사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리티아(엘소드)/대사 문서에 작성한다.

3.2.1. 액티브 시리즈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액티브 스킬을 모아둔 문단으로 액티브와 스폐셜 액티브, 하이퍼 액티브 전부 이 분류에 포함되어 '액티브' 칸으로 모여 있다.

스킬 아이콘 메리 하하
습득 레벨 : 35 액티브
신난 토끼, 즐거운 토끼 중 하나가 나타나 적을 괴롭히면서 타격한다.
신난 토끼는 적의 다운수치를 감소시키고 즐거운 토끼는 적의 MP를 감소시킨다.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괴롭히는 토끼(마법) : 195% 연타
신난 토끼의 다운수치 감소 : 타격 당 4
즐거운 토끼의 MP 감소 : 타격 당 3
MP 35 5초
[대전] 괴롭히는 토끼(마법) : 73% 연타
신난 토끼의 다운수치 감소 : 타격 당 4
즐거운 토끼의 MP 감소 : 타격 당 3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괴롭히는 토끼(마법) : 234% 연타
신난 토끼의 다운수치 감소 : 타격 당 4
즐거운 토끼의 MP 감소 : 타격 당 3
MP 35 5초
[대전] 괴롭히는 토끼(마법) : 88% 연타
신난 토끼의 다운수치 감소 : 타격 당 4
즐거운 토끼의 MP 감소 : 타격 당 3
강화된 거대화된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전방에 최대 7번 타격하는 괴롭히는 토끼를 소환하여 다운수치를 감소시키거나 MP를 감소시킨다. 총 데미지는 1365%, 강화된 1638%, 진 1638%, 강화된 1965.6%다.

공중 사용 가능한 전방 범위 액티브로, 두 효과 모두 대전에서 유용한 효과라 대전에서 쓰기 좋다. 두 효과 모두 좋긴 하지만 효과가 랜덤 발동하므로 원하는 효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당황할 수 있으니 주의.

스킬 아이콘 스트라이크 다운
습득 레벨 : 40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알 수 없는 거대한 손이 나타나 바닥으로 내려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범위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내려치기(마법) : 626% 연타 MP 200 15초
[대전] 내려치기(마법) : 225%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내려치기(마법) : 751% 연타 MP 200 15초
[대전] 내려치기(마법) : 271% 연타
치명적인 가속화된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재사용 시간이 80%로 짧아집니다.

자신에 위로 소환한 거대한 손이 지면을 내려치며 7번 타격한다. 총 데미지는 4382%, 진 5257%다. 참고로 툴팁에는 없지만 타격될 때 0.5초간 프레스(오징어) 상태가 된다.

평범한 범위 딜링기로, 거대한 손은 2개가 소환되지만 타격 판정은 하나의 단일 판정이다. 데미지도 싱겁고 프레스 디버프가 민폐를 끼칠 가능성도 있어서 딱히 쓸 곳이 없다.

스킬 아이콘 고스트 턴
습득 레벨 : 45 스페셜 액티브 : 강인한
정면으로 거대한 동전을 소환한다.
자~ 여기 동전 하나가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로 동전 하나가 있을까요?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리티아의 동전(마법) : 1016%
리티아의 동전들(마법) : 165% 연타
MP 100 8초
[대전] 리티아의 동전(마법) : 407%
리티아의 동전들(마법) : 66% 연타
강화 효과 - 소모 MP가 20% 감소한 상태
[던전] 리티아의 동전(마법) : 1016%
리티아의 동전들(마법) : 165% 연타
MP 80 8초
[대전] 리티아의 동전(마법) : 407%
리티아의 동전들(마법) : 66% 연타
강화된 거대화된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전방으로 거대한 동전을 던져 1번 타격하고, 동전이 각각 11번씩 타격하는 동전 2개로 갈라져 좌우로 전진한다. 총 데미지는 4646%, 강화된 5575.2%이며, 분열된 동전이 총 15번 타격한 평균 3491%, 강화된 4189.2%다.

데미지가 높고 범위도 제법 괜찮은 강인 스킬로, 강력한 강인 스킬이 필요할 때 우선적으로 채용할 만하다.

스킬 아이콘 컨페티
습득 레벨 : 50 액티브
리티아가 나아가는 걸음마다 폭죽이 터지고 종이 조각이 흩날린다. 시전 중 슈퍼아머 상태가 된다.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컨페티(마법) : 587% 연타 MP 30 5초
[대전] 컨페티(마법) : 234%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컨페티(마법) : 705% 연타 MP 30 5초
[대전] 컨페티(마법) : 282% 연타
집요한 재생하는(1)
타격 시 다운 수치가 5만큼 감소됩니다. 발동 시 50% 확률로 사용된 마나 중 50%가 회복 됩니다.

전방으로 돌진하며 지나간 자리에 폭죽 총 4개가 터진다. 총 데미지는 2348%, 진 2820%이며, 폭죽을 2번 맞춘 평균 1174%, 진 1410%다.

공중 사용 가능한 슈퍼아머 돌진 액티브로, 돌진 액티브인 만큼 다양한 콘텐츠에서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시전 후 약간의 역경직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스킬 아이콘 디아볼로
습득 레벨 : 50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혹시 이거 알아? 어렸을 때 가끔 가지고 놀았는데~ 내가 자꾸 떨어뜨려서 화를 내니까 난감해하던 얼굴이 생각나네……아~ 신경 쓰지 마 신경 쓰지 마 그냥 혼잣말이니까. 음? 그러고 보니 이리저리 도망 다니느라 제대로 듣지도 못했겠네?

거대한 디아볼로가 소환되어 움직이며 적을 타격한다. 디아볼로에 타격당한 적의 모든 속성 저항이 감소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범위가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디아볼로(마법) : 636%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100+[주사위]
지속 시간 : 10초
MP 200 15초
[대전] 디아볼로(마법) : 218%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50+[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10초
강화 효과 - 소모 MP가 20% 감소한 상태
[던전] 디아볼로(마법) : 636%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100+[주사위]
지속 시간 : 10초
MP 160 15초
[대전] 디아볼로(마법) : 218%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50+[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10초
치명적인 가속화된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재사용 시간이 80%로 짧아집니다.

상단에서부터 최대 13번 타격하며 포물선으로 하단을 왕복한 뒤 중앙에 머물며 적의 속성 저항을 감소시키는 디아볼로를 소환한다. 총 데미지는 8268%이며, 디아볼로를 9번 맞춘 평균 5724%다.

적의 속성 저항을 감소시키는 스킬로, 데미지도 무난해서 레이드에서 틈틈이 써주면 좋다. 소환한 디아볼로가 포물선으로 한 번 왕복한 뒤에 움직일 수 있다.

다만 디아볼로 특유의 괴상한 이동루트 때문에 위치를 잘 잡아도 타격을 맞추기 쉽지 않다. 그래서 레이드에선 속깎을 부여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속깎이 필요없는 그 외의 콘텐츠에선 다른 스킬을 쓰는 게 더 좋다.

스킬 아이콘 킹 르픽스
습득 레벨 : 55 스페셜 액티브 : 초월한
킹 르픽스를 소환한다.
분노에 찬 르픽스는 매우 화가 난 상태로 정면으로 나아가며 적을 공격한다.
르픽스가 적을 타격하면 타격당한 대상은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가 증가하고 타격한 위치에 폭발이 발생한다.
대상이 이미 르픽스의 공격으로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 증가 효과가 적용중인 상태에서, [주사위] 숫자가 낮아 이후 공격의 크리티컬 받는 피해 효과의 수치가 이전보다 낮으면 효과는 갱신되지 않는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3개 소모하면 르픽스 범위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킹 르픽스(마법) : 570% 연타
폭발(마법) : 840% 연타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10초
MP 300 22초
[대전] 킹 르픽스(마법) : 217% 연타
폭발(마법) : 319% 연타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지속 시간 : 10초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킹 르픽스(마법) : 684% 연타
폭발(마법) : ?% 연타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10초
MP 300 22초
[대전] 킹 르픽스(마법) : 259% 연타
폭발(마법) : ?% 연타
크리티컬로 받는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지속 시간 : 10초
묵직해진 치명적인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전방으로 길을 따라가지 않고 최대 ?번 타격하며 타격할 때마다 폭발을 발생시키면서 전진하는 킹 르픽스를 소환하여 10초간 적이 받는 크리티컬 피해량을 증가시킨다. 총 데미지는 ?%, 묵직해진 ?%, 진 ?%, 묵직해진 ?%이며, 킹 르픽스를 5번 맞춘 평균 ?%, 묵직해진 ?%, 진 ?%, 묵직해진 ?%다.

전진 범위가 넓은 맵병기 스킬로, X축 사거리가 상당히 길고 Y축도 하단은 부실하지만 상단은 3층까진 닿아서 직선맵이라면 뛰어난 필드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폭발은 타격 이펙트 생성 판정이라 적이 뭉쳐있다면 높은 중첩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다만 공중 사용이 불가능하고 길을 전혀 타지 않으므로 곡선 맵에선 성능이 살짝 떨어진다.

적을 연타하며 전진하는 만큼 대형딜링기로도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추가로 '주사위' 수에 따라 적이 받는 크리티컬 피해가 증가하므로 아군의 딜 상승에 기여할 수 있는 시너지 스킬이다.

스킬 아이콘 치카너리
습득 레벨 : 65 하이퍼 액티브
누구나 그렇지. 즐겁거나 슬프거나 때로는 화가 나거나 혹은 두렵거나……
하지만 나의 무대에서는 아무 것도 신경 쓸 필요 없어. 그냥 내가 이끄는 대로 그저 즐기면 돼.

엘의 정수(아이템) 1개 필요
- 하이퍼 액티브 사용 시 1개 소모 (없을 경우 시전 불가)
- 엘의 정수는 엘의 조각(불명 제외)을 우클릭하여 획득 가능

(하이퍼 액티브 스킬은 [하이퍼 액티브 데미지 증가] 이외의 소켓 효과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가면을 쓴 리티아(마법) : 1200% 연타
내면의 얼굴(마법) : 780% 연타
MP 300, 엘의 정수 1개 180초
[대전] 가면을 쓴 리티아(마법) : 144% 연타
내면의 얼굴(마법) : 94%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가면을 쓴 리티아(마법) : 1440% 연타
내면의 얼굴(마법) : 936% 연타
MP 300, 엘의 정수 1개 180초
[대전] 가면을 쓴 리티아(마법) : 172% 연타
내면의 얼굴(마법) : 112% 연타
잠겨진 스킬. 시니컬 스니어의 하이퍼 액티브. 사용할 때마다 불명을 제외한 엘의 조각 6가지 중 한 종류로 제조하는 '엘의 정수' 1개를 요구한다. 봉인 스킬 분류가 아님에도 예외적으로 봉인이 되어 있는 각 전직의 궁극기이며, 액티브 시리즈 중 유일하게 선택 특성이 없다.

주변에 파워스턴을 건 뒤, 각각 5번씩 타격하는 가면을 쓴 리티아의 그림자 4개를 소환하고, 각 그림자는 각각 15번씩 타격하는 내면의 얼굴로 변한다. 총 데미지는 70800%, 진 84960%이며, 그림자 2개를 맞춘 평균 35400%, 진 42480%다.

3.2.2. 패시브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패시브 스킬로, <진> 강화 효과와 스킬 강화 시스템인 <특성>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으로 스킬 레벨이 상승한다.

스킬 아이콘 운명의 주사위
습득 레벨 : 35 패시브
믿지 못하는 자. 믿으려 하지 않는 자.
리티아는 자신의 마법에 거짓이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2개의 주사위를 꺼내어 정.직.하.게. 주사위를 굴린다.

2개의 운명의 주사위가 등장한다.
각성 시 주사위가 굴려지고 첫 번째 주사위는 0~2, 두 번째 주사위는 0~5 중 하나의 숫자가 등장한다.
[첫 번째 주사위][두 번째 주사위]에서 나온 숫자의 조합이 다양한 형태로 리티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조금은 즐거워진 리티아의 스페셜 액티브 재사용 시간이 감소한다. 각성 시 더욱 많이 감소하게 된다.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스페셜 액티브 재사용 시간 감소 : [주사위] 숫자 * 0.5%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재사용 시간 감소 : [주사위]%
[대전] 스페셜 액티브 재사용 시간 감소 : [주사위] 숫자 * 0.25%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재사용 시간 감소 : [주사위] * 0.5%

각성 및 재각성 시 주사위를 굴릴 수 있게 된다.
운명의 주사위
각성 시 주사위를 굴린다.
주사위와 숫자 조합이 리티아의 마법에 영향을 미친다.

첫 번째 주사위 등장 숫자 : 0~2
두 번째 주사위 등장 숫자 : 0~5

주사위는 랜덤하게 굴려지며, [아르카디아]의 전율의 클라이맥스 달성 시 첫 번째 주사위가 '2', 대단원 달성 시 두 번째 주사위가 '5'로 고정된다. 주사위는 다음 스킬 및 패시브에 영향을 준다.
스킬 아이콘 매혹적인 전개
습득 레벨 : 40 패시브
재미있게 즐기고 있으신가요? 아직 감탄하기엔 이르답니다.

젬스톤의 최대 보유 개수가 증가한다.

리티아의 [아르카디아]가 오프닝에 이어 매혹적인 전개가 시작된다.
매혹적인 전개 단계 진입 시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스킬의 데미지가 증가하며 리티아의 일정 범위 안에 적이 있을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마법 방어력이 감소한다.

이미 발을 들인 것들은 벗어날 수 없지

[아르카디아]
- 오프닝 : 0 ~ 10
- 매혹적인 전개 : 11 ~ 70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젬스톤 최대 보유 개수 : 10개

[아르카디아 - 매혹적인 전개]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스킬 데미지 증가 : 20%
마법 방어력 감소 : 20%
마법 방어력 감소 지속 시간 : 10초 (발동 후 5초간 재발동 하지 않음)
[대전] 젬스톤 최대 보유 개수 : 10개

[아르카디아 - 매혹적인 전개]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스킬 데미지 증가 : 10%
마법 방어력 감소 : 10%
마법 방어력 감소 지속 시간 : 10초 (발동 후 5초간 재발동 하지 않음)

젬 스톤의 최대치가 10개가 되고, [아르카디아] 중 매혹적인 전개가 활성화된다.

젬 스톤이 10개가 되어 최대치에서 각성 시 쿨타임 초기화 효과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아르카디아 - 매혹적인 전개] 관련 내용은 트릭 파인더의 패시브 '거부할 수 없는 초대' 문단 참고.

스킬 아이콘 이방인
습득 레벨 : 60 패시브
강력하고 효율적인 마족의 마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을 구하고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어째서인지 불안과 의심을 담은 시선만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모두를 위해 최선을 다했을 뿐인데 결국 아무 의미 없는 행동이었어.

크리티컬이 증가한다.
각성하여 [주사위]를 굴리면 일정 시간동안 모든 방어력이 증가한다.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크리티컬 증가 : 15%
물리, 마법 방어력 증가 : [주사위]%
물리, 마법 방어력 증가 지속 시간 : 30초
[대전] 크리티컬 증가 : 15%
물리, 마법 방어력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물리, 마법 방어력 증가 지속 시간 : 30초

크리티컬이 증가하고, 각성 시 30초간 [주사위] 수에 따라 모든 방어력이 증가한다.

3.2.3. 봉인

레벨에 따른 자동 습득이 불가한 잠겨진 스킬로, 스킬 봉인 해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캐시로 구입하여 개방할 수 있다. 스킬 종류에 따라 상기한 액티브 시리즈와 패시브에 서술된 모든 특징을 공유한다.

스킬 아이콘 카디스트리
습득 레벨 : 45 스페셜 액티브 : 초월한
카드를 뒤집어볼까? 귀여운 토끼 친구가 나오면 나의 승리. 너? 다른 카드가 나오면 네가 이기는 거야. 뭐~ 그럴리는 없겠지만

정면에 4장의 카드가 소환된다. 소환된 카드 중 랜덤한 위치에 1장의 토끼 카드가 등장한다. 리티아가 화가 나서 각성한 상태라면 3장의 토끼 카드가 등장한다. 토끼 카드는 더욱 강력한 피해를 입힌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3개 소모하면 토끼 카드 1장 추가 등장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카드(마법) : 333% 연타
토끼 카드 데미지 증가 : [주사위]%
MP 300 22초
[대전] 카드(마법) : 107% 연타
토끼 카드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카드(마법) : 400% 연타
토끼 카드 데미지 증가 : [주사위]%
MP 300 22초
[대전] 카드(마법) : 129% 연타
토끼 카드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묵직해진 치명적인
공격력이 144% 확률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전직별 세 번째 상급 봉인 스킬. 해당 스킬의 봉인을 해제하는 퀘스트를 게시판에서 받아 실행하거나, 캐시로 풀 수 있다.

전방에 길을 따라가지 않고 각각 13번씩 타격하는 카드 4개를 소환하며, 일정 조건에 따라 더 강력한 토끼 카드로 소환한다. 총 데미지는 17316~21645%, 묵직해진 24935.04~31168.8, 진 20800~26000%, 묵직해진 29952~37440%이며, 카드 1개의 데미지는 4329~5411.25%, 묵직해진 6233.76~7792.2%, 진 5200~6500%, 묵직해진 7488~9360%다.

기본적으로 카드 4개 중 1개가 토끼 카드로 변경되고, 각성 상태에서는 4개 중 3개가 토끼 카드로 변경되며, 각성 중 젬 스톤 소모 시 모든 카드를 토끼 카드로 소환할 수 있다. 토끼 카드는 '주사위' 수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한다.

카드의 Y축 범위가 크고 카드가 퍼지는 X축 범위도 적당하여 일직선 맵에서는 맵병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카드가 각각 개별 타격하는 만큼 대형 딜링기로 유용하며, 거리 조절하면 소형을 상대로도 괜찮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다만 스킬의 역경직이 매우 길다는 단점이 있다.

스킬 아이콘 차가운 조소
습득 레벨 : 60 패시브
단지 마족의 마법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경계하는 시선들에게 차가운 조소를 날린다.
편협하고 한심한 것들. 쓸모없는 건 그쪽이야.

극대화가 증가한다.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의 소모 MP가 감소하고 타격 시 MP 회복이 증가한다.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극대화 증가 : 15%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소모 MP 감소 : 10%
각성 상태에서 타격 시 MP 회복량 증가 : 10%
[대전] 극대화 증가 : 15%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소모 MP 감소 : 5%
각성 상태에서 타격 시 MP 회복량 증가 : 5%
전직별 네 번째 고급 봉인 스킬. 해당 스킬의 봉인을 해제하는 퀘스트를 게시판에서 받아 실행하거나, 캐시로 풀 수 있다.

극대화가 증가하고, 각성 상태에서 스페셜 액티브 스킬의 소모 MP가 감소하며 타격 시 MP 회복량이 증가한다.

4. 초월: 시니컬 스니어(transcendence: Cynical Sneer)

인게임 기본 아트워크[기준]
파일:Skill_Cutin_-_Cynical_Sneer_(Trans).png
<초월 및 스킬시전 프로모션 SCG>
파일:Cynical Sneer_AW.png
<인게임 각성 컷인>
원, 투, 쓰리, 얍! 흐흐하하!
누굴 먼저 찢어줄까?!

초월 퀘스트(전직업 통일)
<rowcolor=#373a3c> 퀘스트 캐시 아이템
1. 틈 속의 틈과 대화하기 초월의 서
(4,900원)
2. 각오의 증표 수집 (복구된 벨더 왕성 ~ 학회 연구 시설) 0/1
3. 의지의 증표 수집 (복구된 벨더 왕성 ~ 학회 연구 시설) 0/1
4. 목적의 증표 수집 (복구된 벨더 왕성 ~ 학회 연구 시설) 0/1
5. 틈 속의 틈과 대화하기

초월 이후 외향 및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평가를 순서에 맞춰 작성해주세요.

4.1. 추가 스킬

나무위키 지침 상 모든 스킬은 현재의 기준이므로, 과거 평가는 매번 스킬이 바뀔 때마다 삭제한다. 스킬의 활용도 및 메커니즘이 완전히 바뀌지 않는 이상 단순히 덧붙이는게 아니라 스킬 자체를 수정해야 한다.

스킬 시전 등 관련 대사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리티아(엘소드)/대사 문서에 작성한다.

4.1.1. 액티브 시리즈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액티브 스킬을 모아둔 문단으로 액티브와 스폐셜 액티브, 하이퍼 액티브 전부 이 분류에 포함되어 '액티브' 칸으로 모여 있다.

스킬 아이콘 럭키 찬스
습득 레벨 : 70 스페셜 액티브 : 강인한
럭키~찬스!!!
이 리티아에게 조금 더 아프게 맞을 기회를 줄게! 어때? 생각만해도 즐겁지?
일정 시간 커맨드, 액티브 데미지가 증가한다.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럭키 찬스(마법) : 432% 연타
커맨드, 액티브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20초
MP 100 8초
[대전] 럭키 찬스(마법) : 172% 연타
커맨드, 액티브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지속 시간 : 10초
강화 효과 - 범위가 1.2배 증가된 상태[7]
[던전] 럭키 찬스(마법) : 432% 연타
커맨드, 액티브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20초
MP 80 8초
[대전] 럭키 찬스(마법) : 172% 연타
커맨드, 액티브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지속 시간 : 10초
강화된 가벼워진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소모 MP가 80%로 감소됩니다.

주변으로 5번 타격하는 마법을 전개하고 일정 시간 자신의 커맨드 및 액티브 데미지가 주사위 수에 따라 증가한다. 총 데미지는 2160%, 강화된 2592%다.

던전은 20초간, 대전은 10초간 커맨드와 액티브의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버프를 부여한다. 시전 시 전방위 범위도 꽤 괜찮아서 대전에서 쓰기 좋다.

스킬 아이콘 인트랩
습득 레벨 : 80 액티브
잡히면 꽁꽁 묶어버릴 거야!
리본이 감겨있는 마법의 구체를 던진다. 구체가 적을 타격하거나 지속 시간이 끝나면 적을 옭아매는 영역을 만든다.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마법의 구체(마법) : 319%
옭아매는 영역(마법) : 107% 연타
MP 40 6초
[대전] 마법의 구체(마법) : 127%
옭아매는 영역(마법) : 43% 연타
강화 효과 - 옭아매는 영역 범위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마법의 구체(마법) : 319%
옭아매는 영역(마법) : 107% 연타
MP 40 6초
[대전] 마법의 구체(마법) : 127%
옭아매는 영역(마법) : 43% 연타
강화된 강인한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슈퍼 아머가 부여되지만 재사용 시간이 150% 만큼 증가합니다.

전방으로 구체를 던지고, 구체가 일정 거리에 도달하거나 적에게 닿으면 주변 적을 흡입하며 11번 타격하는 영역을 생성한다. 총 데미지는 1496%, 강화된 1795.2%다.

구체의 크기와 전방으로 투척하는 사거리, 블랙홀 범위까지 모두 넓은 편이라 대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좋은 스킬이다.

스킬 아이콘 하우스 오브 카드
습득 레벨 : 90 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카드로 쌓아올린 탑이 무너져내린다.
각성 상태에서 스킬 사용 시 적의 방어력을 일부 무시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데미지 20% 증가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카드의 탑(마법) : 298% 연타
방어 무시 : 50%
MP 200 15초
[대전] 카드의 탑(마법) : 112% 연타
방어 무시 : 20%
강화 효과 - 재사용 시간이 3초 감소한 상태
[던전] 카드의 탑(마법) : 298% 연타
방어 무시 : 50%
MP 200 12초
[대전] 카드의 탑(마법) : 112% 연타
방어 무시 : 20%
가벼워진 묵직해진
소모 MP가 80%로 감소됩니다.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자신의 주위로 일정 방어력을 무시하며 각각 9번씩 타격하는 카드의 탑 5개를 소환한다. 총 데미지는 13410~16092%, 묵직해진 19310.45~23172.48이며, 카드의 탑을 2개 맞춘 평균 5364~6436.8%, 묵직해진 7724.16~9268.99%다.

시전자를 중심으로 좌우를 공격하는 딜링기로, 좌우 범위는 넓은 대신 Y축은 다소 짧다. 카드의 탑 5개가 각각 개별 타격하므로 대형 보스에게만 풀타를 맞출 수 있지만, 소형을 상대로도 카드의 탑 여러 개를 맞추면 나쁘지 않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스킬 아이콘 녹아웃
습득 레벨 : 95 스페셜 액티브 : 초월한
상자에서 거대한 주먹이 튀어나와 충격파를 일으키며 적을 강하게 타격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3개 소모하면 적의 방어력을 60% 무시 (대전 : 24%)
단계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일반 [던전] 충격파(마법) : 1389% 연타 MP 300 22초
[대전] 충격파(마법) : 519% 연타
강화 효과 - 데미지가 1.2배 증가된 상태
[던전] 충격파(마법) : ?% 연타 MP 300 22초
[대전] 충격파(마법) : ?% 연타
가벼워진 묵직해진
소모 MP가 80%로 감소됩니다.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자신의 뒤에 3번 타격하는 상자를 소환하고, 상자에서 3번 타격하는 주먹이 튀어나오며, 각각 3번씩 타격하는 근접 충격파와 원거리 충격파가 발생한다. 총 데미지는 ?%, 묵직해진 ?%, 진 ?%, 묵직해진 ?%이며, 총합 6번 타격한 평균 ?%, 묵직해진 ?%, 진 ?%, 묵직해진 ?%다.

시전 속도가 빠르고 타당 데미지도 높으며 젬 스톤 소모 시 적의 방어력을 일정량 무시해서 딜링기로 매우 뛰어난 스킬이다.

충격파의 X축 범위가 넓은 편은 아니지만, Y축 범위는 아래로 2층, 위로 5층까지 닿을 정도로 넓어서 해당 스킬로 몹이 잡힌다면 제한적인 필드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자와 주먹의 범위가 이펙트보다 넓어서 적이 너무 멀리 있지 않다면 소형 적을 상대로도 6번의 타격이 안정적으로 들어가며, 적당히 크기가 큰 중형~대형 몹은 9번의 타격을 쉽게 맞출 수 있다.

다만 12번의 모든 타격을 맞추기 위해서는 시전자가 붙어 있어야 하고 적의 크기가 상당히 크다는 조건이 있어서 풀 타격은 대형 보스에게 한정된다. 반면 미스치프의 다른 스킬들은 적과 다소 떨어져야 하므로 녹아웃의 3번의 타격을 어쩔 수 없이 버려야 하는 상황이 잦은데, 9타격만 맞춰도 초월한 스킬 상위권 퍼뎀이라 풀타에 집착할 필요는 전혀 없다.

4.1.2. 패시브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패시브 스킬로, <진> 강화 효과와 스킬 강화 시스템인 <특성>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으로 스킬 레벨이 상승한다.

스킬 아이콘 해방된 의지 : 시니컬 스니어
습득 레벨 : 70 패시브
이제 리티아는 주변을 신경 쓰지 않고 거침없이 마족의 마법을 사용한다.
어차피 다들 반기지 않는다면 깔끔하고 확실히 마무리하는 것이 낫지.

[아르카디아]의 단계가 변경되는 순간 젬스톤을 모두 회복하고
[아르카디아]가 진행되면서 단계가 상승할수록 크리티컬 데미지가 증가한다.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단계 당 크리티컬 데미지 증가 : 4%
[대전] 단계 당 크리티컬 데미지 증가 : 2%

[아르카디아]의 다음 단계가 발동하는 순간 젬 스톤 10개를 즉시 회복하고, [아르카디아] 단계에 따라 크리티컬 데미지가 증가한다.

4.1.3. 봉인

레벨에 따른 자동 습득이 불가한 잠겨진 스킬로, 스킬 봉인 해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캐시로 구입하여 개방할 수 있다. 스킬 종류에 따라 상기한 액티브 시리즈와 패시브에 서술된 모든 특징을 공유한다.

스킬 아이콘 전율의 클라이맥스
습득 레벨 : 90 패시브
그럼 마음껏 즐기시길~

[아르카디아]가 전율의 클라이맥스에 다다른다.
전율의 클라이맥스 단계 돌입 시 [운명의 주사위]는 리티아의 손 안에서 놀게 되어 첫 번째 주사위의 숫자가 [2]로 고정된다.
또한 각성 시 MP의 일부가 즉시 회복되고 마법 공격력과 중간보스, 보스에게 입히는 데미지가 증가한다.

쇼의 절정을 즐기고 있니? 이곳이야말로 나의 낙원. 모든걸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지.

[아르카디아]
- 오프닝 : 0 ~ 10
- 매혹적인 전개 : 11 ~ 30
- 전율의 클라이맥스 : 31 ~ 70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각성 시 MP 즉시 회복 : [주사위]%
마법 공격력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중간보스, 보스에게 입히는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대전] 각성 시 MP 즉시 회복 : [주사위] 숫자 * 0.1%
마법 공격력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중간보스, 보스에게 입히는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전직별 여섯 번째 초월 봉인 스킬. 해당 스킬의 봉인을 해제하는 퀘스트를 게시판에서 받아 실행하거나, 캐시로 풀 수 있다.

각성 시 주사위 수에 따라 MP를 회복하고, [아르카디아] 중 전율의 클라이맥스가 활성화된다.

각성할 때마다 MP가 회복되어 [주사위] 수가 높다면 어느정도 MP 소모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아르카디아 - 전율의 클라이맥스] 관련 내용은 트릭 파인더의 패시브 '거부할 수 없는 초대' 문단 참고.

5. 3차: 미스치프(Mischief)

인게임 기본 아트워크[기준]
파일:Portrait_-_Mischief.png
<기본 및 스킬시전 프로모션 SCG>
파일:pop_character4_lithia2_4th.png
<마스터 클래스 SCG>
파일:Mischief_AW.png
<인게임 각성 컷인>
최고의 시간을 선사해줄게.
훗, 주제도 모르고 덤비다니... 혼내줘야겠는걸~?
(공중에서 한바퀴 회전한 후 착지한다.) (모든 시작 대사의 행동은 같다.)


Mischief = 광기 어린 마술사.
전직 원어 이름은 직역하면 장난꾸러기 또는 악동으로 해석된다.
어긋난 존재들을 유린하는 광기 어린 마술사
“그래, 이번엔 내가 너희를 가지고 놀 차례야.”

어긋난 존재들을 유린하는 광기어린 마술사
마족의 마법을 활용하고 발전시킨 마술 같은 마법으로 적을 유린하고 잔혹하게 처단하는 전직.

벨더항에 도착해 학회원이 벨더의 귀족들과 모종의 계략을 꾸미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리티아. 사건을 막기 위해 광장으로 향했을 때, 리티아는 처참한 광경을 다시 마주하게 된다.

베라가 왜 단상 위에 있지? 베라가 왕족이라고? 리티아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을 때 베라의 브로치에서 알 수 없는 기운이 퍼져 나왔고, 순식간에 베라가 몬스터와 다름없는 모습으로 변한다. 주변은 아수라장이 되고, 베라를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려던 마티는 견디지 못하고 쓰러진다.

리티아는 두 사람을 구하지 못했다. 주변의 인간들은 그저 몬스터를 쓰러트렸음에 안도하며 기뻐할 뿐이다. 악에 받친 리티아는 교단을 쫓는다.

리티아는 더욱 강한 마법을 쓰기 위해 검붉은 광석을 모으며 교단의 본거지로 향한다. 교단원과 대치하며 추궁한 끝에 지금까지의 일들은 물론, 이전 마족들의 엘리오스 침공 또한 교단과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된다.

마족들도 나도 전부 이 녀석들에게 놀아났던 거라니!
크게 분노한 리티아의 강한 마력과 광석의 힘에 포탈이 이상 반응을 보이고, 갑작스럽게 열린 틈에 리티아는 빨려 들어가 버린다.

리티아는 틈 속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공간에서 홀로 아주 긴 시간을 보냈다.
누구도 발견할 수 없고 극단적으로 흘러가는 사고를 막아주는 목소리도 없었기에 리티아는 계속해서 교단을 탓하고 증오를 키운다.
알 수 없을 만큼 긴 시간이 지난 뒤 틈 공간의 일부가 깨지고, 그곳으로 몸을 던진다.

다시 눈을 뜬 곳은 처음 의뢰로 왔던 엘리아노드의 구역이었다.
여기는…. 그래, 그동안 나는 꿈을 꾼 게 아닐까? 하하, 그런 끔찍한 일들은 전부 환상이었던 거야!
오랜 시간 고립되었던 리티아는 혼란을 겪는다. 하지만, 점차 꿈이 아니란 것을 체감한 리티아는 자신의 처지에 그저 크게 웃을 수밖에 없었다.

“ 기다리고 있어, 지옥 끝까지 쫓아가서 잔뜩 귀여워해 줄 테니까. ”

엘리아노드에 다다른 리티아는 교단에게 복수하고 그들을 말살시키기 위해 움직인다.
적을 발견하면 마법으로 농락한다. 자신이 그들의 손에 놀아났던 것처럼.

그 과정에서 주변이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 리티아는 이미 소중한 모든 것들을 잃었고, 어차피 이곳은 날 환영하지 않을 테니까.
전부 도구처럼 보일 뿐이다. 리티아는 어떤 악랄한 방법으로 그들을 처단할 지에 대해서만 집요하게 몰두한다.

누구도 이곳에서 도망칠 수 없다. 이 쇼가 끝나기 전까지는.
3차 전직 퀘스트(전직 개별)
<rowcolor=#373a3c> 퀘스트 캐시 아이템
1. 잊힌 엘리안의 성소 클리어 0/1 라스트 커튼콜
(5,900원)
2. 뒤섞인 기운의 흔적 획득 (크리슬리스, 잊힌 엘리안의 성소) 0/5
3. 고귀한 나침반 조각 수집 (스킨 스플린터, 엘리아노드) 0/20
4. 엘리아노드 시가지 3회 클리어 0/3
5. 엘의 탑 방어전 5회 클리어 0/5

3차 전직 전용 프로모션 악세서리는 '미스치프의 모자'[부위]. 아트워크에 포함되는 부품으로 3차 전직 시에만 유일하게 프로모션에 추가된다.

2. 외향 – 전직의 외형, 콘셉트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 또한 그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아트워크 업로드 및 외향 평가는 오로지 정확한 공식 전신이 뜬 뒤에, 선 업로드 후 평가합니다. 무비 등으로의 사전 공개용 스크린샷이나 유출사진은 나무위키 파일로 업로드 하지 마시고, KOG 또는 NEXON의 공식 홍보 영상이 나왔다면 유트브 또는 트위터 외부링크로 선행공개 날짜와 함께 적어주세요. 이 문장은 공식 아트워크 업로드 전까지 알림을 위해 남겨둡니다.

3. 던/대전 평가
모든 전직 후 3차에 다다른 최종 평가는 상위 <플레이 스타일> 문단에서 서술되어 있다.

4. 그 외 특징.

5.1. 추가 커맨드&콤보

전직 추가 커맨드
XZZ 전방으로 적을 관통하지 않는 발사체를 1번 발사하고, 리본을 날린 뒤 슈퍼아머 상태로 일정 거리를 빠르게 돌격하여 피켈로 내려찍는다.
리본은 적을 관통하지 않으며 적에게 닿으면 연타한다.
→→ZXXX 전방으로 돌진한 뒤 근접 범위에 연속 폭발을 일으키고, 연이어 거대 토끼 폭발을 일으킨 뒤 피켈로 올려쳐 적들을 날려버린다.
연쇄 폭발은 매번 모양이 랜덤하게 생성된다.
추가 응용 콤보
응용 콤보1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응용 콤보2
전체적인 커맨드 활용도 및 특징을 포함한 평가 간편 서술

5.2. 추가 스킬

나무위키 지침 상 모든 스킬은 현재의 기준이므로, 과거 평가는 매번 스킬이 바뀔 때마다 삭제한다. 스킬의 활용도 및 메커니즘이 완전히 바뀌지 않는 이상 단순히 덧붙이는게 아니라 스킬 자체를 수정해야 한다.

스킬 시전 등 관련 대사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리티아(엘소드)/대사 문서에 작성한다.

5.2.1. 액티브 시리즈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액티브 스킬을 모아둔 문단으로 액티브와 스폐셜 액티브, 하이퍼 액티브 전부 이 분류에 포함되어 '액티브' 칸으로 모여 있다.

스킬 아이콘 레이디 퓨리오사
습득 레벨 : 99 하이퍼 액티브
누구도 제대로 본 적 없다는 비밀에 쌓인 바로 그 존재!
강력하면서도 자비 없는 분노의 화신!
지금 조금 화가 난 것 같지만 어쨌든 내가 알 바는 아니고~
소개합니다! 레이디 퓨리오사!!!!!

엘의 정수(아이템) 1개 필요
- 하이퍼 액티브 사용 시 1개 소모 (없을 경우 시전 불가)
- 엘의 정수는 엘의 조각(불명 제외)을 우클릭하여 획득 가능

(하이퍼 액티브 스킬은 [하이퍼 액티브 데미지 증가] 이외의 소켓 효과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리티아의 영역(마법) : 5225% 연타
레이디 퓨리오사(마법) : 2970% 연타
MP 300, 엘의 정수 1개 180초
[대전] 리티아의 영역(마법) : 627% 연타
레이디 퓨리오사(마법) : 356% 연타
잠겨진 스킬. 미스치프의 하이퍼 액티브. 사용할 때마다 불명을 제외한 엘의 조각 6가지 중 한 종류로 제조하는 '엘의 정수' 1개를 요구한다. 봉인 스킬 분류가 아님에도 예외적으로 봉인이 되어 있는 각 전직의 궁극기이며, 액티브 시리즈 중 유일하게 선택 특성이 없다. 2018년 기준, 3차 전직 업데이트 기념으로 3차 전직에 새로이 추가된 유일한 액티브 스킬이며 진 효과 역시 부여되지 않았다.

전방을 향해 조명을 비춰 범위 내 적들에게 파워스턴을 걸고, 조명이 리티아의 영역으로 변하며 5번 타격함과 동시에 최대 ?번 타격하는 레이디 퓨리오사가 앞을 향해 걸어간다. 총 데미지는 던전 ?%이며, 레이디 퓨리오사가 7번 타격한 평균 던전 46915%, 대전 5627%다.

5.2.2. 패시브

기본적으로 자동 습득하는 스킬 중 패시브 스킬로, <진> 강화 효과와 스킬 강화 시스템인 <특성>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으로 스킬 레벨이 상승한다.

스킬 아이콘 대단원
습득 레벨 : 99 패시브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리티아의 [아르카디아]가 대단원으로 향한다.
[아르카디아] 게이지가 100에 도달하면 대단원 단계로 들어선다.
오직 리티아만을 위한 공연. 대단원 단계 돌입 시 모든 [운명의 주사위]는 리티아의 뜻에 따라 움직이며 두 번째 주사위의 숫자가 [5]로 고정된다.
대단원 단계에서 모든 피해량이 증가하고 젬스톤을 소모할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보스에게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과연 이 쇼의 끝을 볼 수 있을까?

[아르카디아]
- 오프닝 : 0 ~ 10
- 매혹적인 전개 : 11 ~ 30
- 전율의 클라이맥스 : 31 ~ 70
- 대단원 : 70 ~ 쇼가 끝날 때 까지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아르카디아 - 대단원]
모든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보스에게 받는 피해 감소 : [주사위] 숫자 * 0.5%
보스에게 받는 피해 감소 지속 시간 : 10초
[대전] [아르카디아 - 대단원]
모든 피해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보스에게 받는 피해 감소 : [주사위] 숫자 * 0.25%
보스에게 받는 피해 감소 지속 시간 : 10초

[아르카디아] 중 대단원이 활성화된다.

[아르카디아 - 대단원] 관련 내용은 트릭 파인더의 패시브 '거부할 수 없는 초대' 문단 참고.

스킬 아이콘 환멸
습득 레벨 : 99 패시브
나를 방해하고 막아서면 어떤 것이든 없애버리겠어. 최대한 고통스럽게!
리티아가 다양한 방법으로 적을 괴롭힌다.

스킬로 적을 타격할 경우 타격 대상에게 [환멸] 디버프가 생성된다. [환멸] 디버프가 5중첩이 되면 추가 타격이 발생하고 디버프가 사라진다.

[주사위]를 굴리면 일정 시간동안 초월한 스킬의 데미지가 증가한다. 만약 주사위의 숫자가 [20]이상 나올 경우 강렬한 스킬의 데미지도 증가한다.
마스터 레벨 효과
[던전] 환멸(마법) : 354% 연타
환멸 지속 시간 : 15초
강렬한, 초월한 스킬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5%
강렬한, 초월한 스킬 데미지 증가 지속 시간 : 30초
[대전] 환멸(마법) : 141% 연타
환멸 지속 시간 : 15초
강렬한, 초월한 스킬 데미지 증가 : [주사위] 숫자 * 0.25%
강렬한, 초월한 스킬 데미지 증가 지속 시간 : 30초

스킬로 적을 타격하는 적에게 추가 타격을 가하는 디버프를 부여하고, 각성 시 [주사위] 수에 따라 강렬한 및 초월한 스킬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환멸] 디버프는 스킬의 연타수와 관계없이 스킬 1회당 1회 중첩되며, 발동 시 3번 연타하여 던전 1062%, 대전 423% 피해를 준다.

각성 시 30초간 스킬 데미지 증가 효과의 경우, 기본적으로 초월한 스킬 데미지 증가 효과만 받을 수 있지만, [주사위] 수가 '20' 이상이 나오면 강렬한 스킬도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아르카디아 - 전율의 클라이맥스] 도달 시 첫 번째 주사위가 '2'로 고정되므로 강렬한 스킬 데미지 증가 효과를 고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5.2.3. 마스터 클래스 스킬

마스터 클래스 전직 시 습득하는 유일한 신규 스킬이다.

마스터 스킬은 모든 스킬 데미지 증가 옵션에 영향을 받지않고, 무조건 마스터 스킬 데미지 증가에만 영향을 받는다.
즉, 캐릭터 고유 효과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소린데, 대표적으로 엘리시스류의 섬멸/질풍, 로제류의 오버 스트라이크 등 캐릭터 고유 효과도 적용이 되지 않으며 블러디 퀸에 블러드 히트, 미네르바의 공중 사용 등의 전직 효과도 받지 않는다. 또한 하이퍼 액티브와 같이 전용 스킬슬롯이 있어 스킬슬롯 장착 시 왼쪽에 있는 Alt키로 사용이 가능하다.

성장형 스킬이라는 이름답게 단계가 올라갈수록 이전 단계 스킬의 구조를 모두 가진다. 성장단계는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있다. 1단계 스킬은 마스터 클래스 전직 시 자동으로 습득하며 2, 3, 4단계 스킬은 스킬 퀘스트나 캐시로 해제해야된다. 단 스킬 퀘스트 난이도가 매우 높아서 반강제로 캐시 사용이 요구된다.

참고로 마스터 스킬은 스킬컷인 설정이 불가능한데, 그 이유로는 시전 시 전용 스킬컷인이 출력되기 때문. 전용 스킬컷인은 마스터 클래스 일러스트가 움직이는 효과를 가진다.

스킬 아이콘 르 메프리스
습득 레벨 : 99 마스터 1단계
리티아의 쇼
무엇이든 리티아의 뜻에 따라
마법도 마음대로~ 즐거움도 곁들여~ 괴롭힘은 기분에 따라~
우선 이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리티아의 무대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가 등장한다.

마스터 스킬은 마스터 전용 효과를 제외한 스킬 강화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439% 연타
상자(마법) : 261% 연타
폭죽(마법) : 1376%
MP 100 29초
[대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57% 연타
상자(마법) : 34% 연타
폭죽(마법) : 183%

주변에 9번 타격하는 무대와 함께 각각 전방엔 11번, 후방엔 9번 타격하는 상자 2개를 생성한 뒤 리티아는 줄을 타고 올라간다. 이후 각 상자에서 1번씩 타격하는 폭죽이 터진 뒤 리티아가 내려온다. 총 데미지는 던전 11923%이며, 전방 상자를 1개 맞춘 평균 던전 8198%, 대전 1070%다.

스킬 아이콘 르 메프리스
습득 레벨 : 99 마스터 2단계
리티아의 쇼
무엇이든 리티아의 뜻에 따라
마법도 마음대로~ 즐거움도 곁들여~ 괴롭힘은 기분에 따라~
그럼 이번에는 상자에 무엇이 들어있을까?

리티아의 무대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가 등장한다.

마스터 스킬은 마스터 전용 효과를 제외한 스킬 강화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878% 연타
상자(마법) : 276% 연타
쫓아가는 공(마법) : 280%
MP 200 36초
[대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115% 연타
상자(마법) : 36% 연타
쫓아가는 공(마법) : 36%

주변에 9번 타격하는 무대와 함께 각각 주변 2개는 11번씩, 끝쪽 2개는 10번씩 타격하는 상자 총 4개를 생성한 뒤 리티아는 줄을 타고 올라간다. 이후 각 상자에서 1번씩 타격하는 쫓아가는 공 3개가 나온 뒤 리티아가 내려온다. 총 데미지는 던전 22854%이며, 근접 상자를 1개 맞춘 평균 던전 14298%, 대전 1863%다.

스킬 아이콘 르 메프리스
습득 레벨 : 99 마스터 3단계
리티아의 쇼
무엇이든 리티아의 뜻에 따라
마법도 마음대로~ 즐거움도 곁들여~ 괴롭힘은 기분에 따라~
이제 조금 지루하네. 이번 상자는 직접 열어볼까? 오우~ 조금 흥미가 생기네. 어디 한 번 잘 도망쳐봐.

리티아의 무대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가 등장한다.

마스터 스킬은 마스터 전용 효과를 제외한 스킬 강화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1197% 연타
상자(마법) : 835% 연타
검(마법) : 1438%
주사위(마법) : 336% 연타
MP 300 43초
[대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140% 연타
상자(마법) : 97% 연타
검(마법) : 168%
주사위(마법) : 39% 연타

주변에 9번 타격하는 무대와 함께 각각 주변 2개는 7번씩, 끝쪽 2개는 6번씩 타격하는 상자 총 4개를 생성한 뒤 리티아는 줄을 타고 올라간다. 이후 각 상자에 검이 1개씩 꽃히고, 상자에서 각각 7번씩 타격하는 주사위가 3개씩 튀어나온 뒤 리티아가 내려온다. 총 데미지는 던전 66459%이며, 근접 상자 7번+주사위 12번 타격한 평균 던전 22088%, 대전 2575%다.

스킬 아이콘 르 메프리스
습득 레벨 : 99 마스터 4단계
리티아의 쇼
무엇이든 리티아의 뜻에 따라
마법도 마음대로~ 즐거움도 곁들여~ 괴롭힘은 기분에 따라~
적당히 놀았으니까 끝내볼까?

리티아의 무대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가 등장한다.

마스터 스킬은 마스터 전용 효과를 제외한 스킬 강화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1720% 연타
상자(마법) : 1200% 연타
검(마법) : 1740%
분노한 존재(마법) : 760% 연타
MP 400 49초
[대전] 리티아의 무대(마법) : 175% 연타
상자(마법) : 122% 연타
검(마법) : 177%
분노한 존재(마법) : 76% 연타

주변에 9번 타격하는 무대와 함께 각각 주변 2개는 7번씩, 끝쪽 2개는 6번씩 타격하는 상자 총 4개를 생성한 뒤 리티아는 줄을 타고 올라간다. 이후 각 상자에 검이 1개씩 꽃히고, 상자에서 각각 11번씩 타격하는 분노한 존재가 튀어나온 뒤 리티아가 내려와 인사한다. 총 데미지는 던전 87080%이며, 근접 상자 7번+분노한 존재 11번 타격한 평균 던전 33980%, 대전 3442%다.

5.2.4. 봉인

레벨에 따른 자동 습득이 불가한 잠겨진 스킬로, 스킬 봉인 해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캐시로 구입하여 개방할 수 있다. 스킬 종류에 따라 상기한 액티브 시리즈와 패시브에 서술된 모든 특징을 공유한다.

그러나 2018년 3차 업데이트 기념 시점에서 봉인 카테고리 스킬 자체가 아예 없다. 하이퍼 액티브는 봉인 스킬이나 스킬트리에서 액티브 칸[10]이므로 예외다.

5.3. 포스

2017년 11월 30일 최초 3차 전직 업데이트로 추가된 3차 전용 스킬이다. 패시브, 액티브, 체인지 세 가지로 나뉘어져있는데, 패시브와 액티브는 공용이나 체인지는 전직 전용이다. 공용 스킬이 많아서 본 문서에서는 해당 전직의 포스 스킬인 <체인지>만 작성하고, 이하 포스의 자세한 설명은 스킬트리 - 포스 문단 참조.

참고로 포스는 스킬트리 창(디폴트 K키)에 새로이 추가된 완전한 신상 탭이므로, 추가 스킬 하위 문단으로 두지 않고 추가 커맨드, 추가 스킬에 이은 개별 세 번째 문단으로 나눈다.

5.3.1. 패시브

플레이할 때 발동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되는 스킬. 2018년 기준 레전드 등급을 비롯해 레어 + 엘리트 + 유니크 등급으로 나눠진다. 전직할 때 레어 등급 포스 스킬 아이템을 1개 지급한다.

이하 포스 - 패시브 문단 참조.

5.3.2. 액티브

일반 스킬 슬롯에 등록하여 사용하는 스킬. 이하 포스 - 액티브 문단 참조.

5.3.3. 체인지

기존의 초월 전직까지 배웠던 스킬을 다른 형태로 바꾸는 시스템. 포스를 활성화한 다음, 기존 스킬을 사용하면 형태가 변경된 스킬을 쓸 수 있다. 포스가 적용된 전직 스킬은 아이콘 왼쪽 상단에 화살표 표식이 추가된다.

체인지 스킬은 본래 전직 스킬의 특성 효과는 똑같이 적용되나, 진 효과는 사라진다. 이는 체인지 자체가 3차만의 고유 변경 효과라 진 효과 대신으로 적용되어서 그렇다. 체인지 스킬을 채용하려면 반드시 진 효과까지 살펴 본 다음 사용 유무를 고르자.

스킬 아이콘 [체인지]리드 인
습득 레벨 : 99 [체인지]액티브
리티아의 모자가 양 옆에 등장하고 모자로부터 폭죽이 터진다.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화려한 폭죽(마법) : 58% 연타 MP 32 5초
[대전] 화려한 폭죽(마법) : 22% 연타
강화된 거대화된
공격력이 120%로 증가합니다. 공격 범위가 120%로 증가합니다.

양옆에 각각 11번씩 타격하는 폭죽이 터지는 모자를 소환한다. 총 데미지는 1276%, 강화된 1531.2%다.

시전자 주변 원형을 공격하는 원본과 달리 체인지는 시전자 주변을 X자로 공격한다. 공중 사용이 불가능해져서 범용성은 떨어지지만, 총 데미지와 연타력은 증가하므로 던전에서 커맨드/액티브로 발동하는 효과를 쓰는 용도로 유용하다.

스킬 아이콘 [체인지]디아볼로
습득 레벨 : 99 [체인지]스페셜 액티브 : 강렬한
이번에는 저기로 보내볼까?
거대한 디아볼로가 소환되어 정면으로 튀어오르며 적을 타격한다. 디아볼로에 타격당한 적의 모든 속성 저항이 감소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2개 소모하면 범위가 20% 증가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디아볼로(마법) : 1011%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100+[주사위]
지속 시간 : 10초
MP 160 15초
[대전] 디아볼로(마법) : 385% 연타
모든 속성 저항 감소 : 50+[주사위] 숫자 * 0.5%
지속 시간 : 10초
치명적인 가속화된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재사용 시간이 80%로 짧아집니다.

전방으로 적의 속성 저항을 감소시키고 지면에 튕기면서 최대 ?번 타격하며 전진하는 디아볼로를 소환한다. 총 데미지는 ?%이며, 디아볼로를 4번 맞춘 평균 4044%다.

전방 일정 범위 내에서 공격하는 원본과 달리 체인지는 전방으로 지면에 튕기며 포물선으로 계속 나아간다. 디아볼로는 벽을 통과하지만 지면과 층계에 영향을 받는다. 일직선에서는 평균 2번 튕긴다.

포물선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인해 소형 적을 상대로는 유의미한 데미지를 주기 어렵지만, 연타하며 나아가는 만큼 대형 보스를 상대로는 원본보다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속성 저항 감소 효과는 원본과 동일하므로 취향에 따라 골라 사용하자.

스킬 아이콘 [체인지]레디에이트
습득 레벨 : 99 [체인지]스페셜 액티브 : 초월한
마력을 담아 기억 속의 가방을 소환한다.
가방은 어두운 기운을 내뿜고 이어 분노한 기운을 내뿜는다.
어두운 기운에 타격당한 수만큼 분노한 기운에 입는 피해가 증가한다.

[젬 스킬]
- 젬 스톤을 3개 소모하면 데미지 20% 증가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어두운 기운(마법) : 341%
분노한 기운(마법) : 227% 연타
어두운 기운 1개 당 분노한 기운 데미지 증가 : 1% (최대 10%)
MP 300 21초
[대전] 어두운 기운(마법) : 129%
분노한 기운(마법) : 86% 연타
어두운 기운 1개 당 분노한 기운 데미지 증가 : 0.5% (최대 5%)
묵직해진 치명적인
공격력이 144% 로 많이 증가되지만 재사용 시간도 120% 로 길어집니다. 소모 MP를 120%로 늘려 대상의 방어력을 던전에서는 50%, 대전에서는 25%만큼 무시 합니다.

자신의 뒤에 가방을 소환하고, 가방은 사선 위로 어두운 기운 10개를 발사한 뒤 연이어 분노한 기운 30개를 발사한다. 모든 타격을 맞춘 총 데미지는 10901~13081.2%, 묵직해진 15697.44~18836.92%다.

가방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원본과 달리 체인지는 가방이 제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기운을 발사한다. 원본과 달리 어두운 기운이 적을 관통하지 않아서 맵병기로 사용하기 다소 어렵고 기운을 사선 위쪽으로 발사하기에 바닥에 붙은 소형 적은 일부 타격이 소실될 수 있지만, 타점이 원본보다 안정적이어서 주로 소형 보스를 상대할 땐 체인지를 쓰는 것이 좋다.

스킬 아이콘 [체인지]스킬 이름
습득 레벨 : 99 [체인지]스킬종류 : 유연강인강렬초월
스킬 툴팁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효과 MP - -초
[대전] 효과
왼쪽 특성 이름 오른쪽 특성 이름
왼쪽 특성 효과 오른쪽 특성 효과

스킬 아이콘 [체인지]스킬 이름
습득 레벨 : 99 [체인지]스킬종류 : 유연강인강렬초월
스킬 툴팁
던대전 효과 자원 소모량 재사용 시간
[던전] 효과 MP - -초
[대전] 효과
왼쪽 특성 이름 오른쪽 특성 이름
왼쪽 특성 효과 오른쪽 특성 효과

[1] 각성할 때마다 5스택씩 내부 쿨타임 없이 쌓을 수 있지만, 젬 스톤 10개를 모아서 쿨초 효과를 보고 쓰는게 이득이므로 보통은 15초마다 15스택씩 쌓는 경우가 많다. 강제 각성 효과를 가진 아이템 등을 동원하면 압축은 가능하지만 실전성은 없다. [2] 해방된 의지 패시브는 아르카디아 다음 단계 달성 시 발동하므로 한 게임에 3번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효과를 받을 기회가 적다. 또한 단발성으로 회복하는 반면 실전에서 젬 스톤이 아예 없는 경우는 드물어서 체감도 높지 않다. [3] 애초에 각성을 수시로 하려면 보조각성 수단이 동원되어야 하므로 실전에서 큰 의미가 없다. [기준] 과부하 방지를 위해 오로지 게임 내에서 쓰이는 '기본' 일러스트만 넣어주세요. 해외 전용 일러스트는 외부링크 등으로 기재해주세요. 초월과 3차에 추가되는 각성 컷인은 템플릿 상단에 기재되었듯 비율너비로 크기를 조절해주시고, 전신과의 차별을 위해 가급적 눈을 감고 있는 컷처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지는 다른 표정버전으로 올려주세요. [기준] 과부하 방지를 위해 오로지 게임 내에서 쓰이는 '기본' 일러스트만 넣어주세요. 해외 전용 일러스트는 외부링크 등으로 기재해주세요. 초월과 3차에 추가되는 각성 컷인은 템플릿 상단에 기재되었듯 비율너비로 크기를 조절해주시고, 전신과의 차별을 위해 가급적 눈을 감고 있는 컷처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지는 다른 표정버전으로 올려주세요. [기준] 과부하 방지를 위해 오로지 게임 내에서 쓰이는 '기본' 일러스트만 넣어주세요. 해외 전용 일러스트는 외부링크 등으로 기재해주세요. 초월과 3차에 추가되는 각성 컷인은 템플릿 상단에 기재되었듯 비율너비로 크기를 조절해주시고, 전신과의 차별을 위해 가급적 눈을 감고 있는 컷처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지는 다른 표정버전으로 올려주세요. [7] 진이 되면 소모 MP도 20% 감소하지만 툴팁에 누락되어 있다. [기준] 과부하 방지를 위해 오로지 게임 내에서 쓰이는 '기본' 일러스트만 넣어주세요. 해외 전용 일러스트는 외부링크 등으로 기재해주세요. 초월과 3차에 추가되는 각성 컷인은 템플릿 상단에 기재되었듯 비율너비로 크기를 조절해주시고, 전신과의 차별을 위해 가급적 눈을 감고 있는 컷처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지는 다른 표정버전으로 올려주세요. [부위] 액세서리-얼굴(상). [10] 가장 왼쪽에 스킬을 배우는 레벨이 적혀져 있고, 그 옆으로 카테고리가 각각 액티브, 패시브, 봉인으로 나뉘어져있다. 나무위키의 캐릭터 스킬 분류는 이 스킬트리의 칸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