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5 11:58:51

Lose Yourself

루즈 유어셀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업자들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LOSE YOURSELF(빌드업: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노래,
전번_곡=Dilemma,
전번_아티스트=Nelly,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Lose Yourself,
이번_아티스트=에미넴,
이번_1위_기간=12주 연속,
후번_곡=Bump\, Bump\, Bump,
후번_아티스트=B2K,
후번_1위_기간=1주 연속)]
에미넴 싱글 크로놀로지
Cleanin' Out My Closet
(2002)
Lose Yourself
(2002)
Rap Name
(2002)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color=#000,#e5e5e5><tablebgcolor=#fff,#1f2023> 파일:8MILE.png
OST: Lose Yourself / 8 Mile
인터넷 밈: 존나좋군? / 현실은 시궁창 ||

<colcolor=#E8DB5F> Lose Yourself
수록: 8 Mile
파일:루즈유어셀푸.png
다른 앨범 아트
파일:루즈유아셀푸2.jpg
아티스트 에미넴
발매일 2002년 10월 28일
녹음 기간 2001년 9월 ~ 2002년
장르 힙합, 랩 록, 하드코어 힙합
길이 5:27 앨범 버전
4:27라디오 버전
프로듀서 에미넴, 제프 배스, 루이스 레스토
레이블 애프터매스, 셰이디, 인터스코프

1. 개요2. 상세3. 주요 이력4. 성적
4.1. 싱글 성적4.2. 스포티파이 성적
5. 영상6. 가사7. 라이브 영상8. 데모 버전
8.1. 개요8.2. 상세8.3. 영상
9. 관련 틀

[clearfix]

1. 개요

파일:Eminem-and-anderson-paak-2022-superbowl-halftime-billboaoard-1548.webp
2022년 슈퍼볼 LVI의 하프타임 쇼에 출연해 해당 곡을 부르는 에미넴[1]
에미넴이 주연인 에미넴 본인의 자전적 영화[2] 8 마일의 주제가이자 앨범 8 마일 사운드트랙의 1번 트랙이다.

2. 상세

2000년대 미국 힙합을 대표하는 명곡으로, 힙합 역사상 최초로 12주간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한 명실상부 에미넴의 최고 히트곡. 동시에 빌보드 핫 100 2000년대 총결산 차트에서 28위, 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서 169위에 오르는 등 2000년대 통틀어 가장 성공한 곡들 중 하나[3]이고, 힙합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다. 그래미 오스카[4]를 동시에 수상한 최초의 힙합곡이기도 하다.

에미넴 특유의 다음절 라임 떡칠[5]을 맛볼 수 있고, 1절과 2절에서 현실의 에미넴과 영화 주인공 래빗의 삶을 같이 그려내다가 3절[6]에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무명시절 삶을 얘기하는 게 묘미인 곡이다.

2014년 11월에 발매된 Shady Records의 컴필레이션 앨범 SHADYXV에 이 곡의 오리지널 데모 버전이 들어있다. 자세한 내용은 8번 문단 참조.

레드 제플린 Kashmir와 기본 멜로디가 비슷하다. 기타리스트 트레이시 번디가 Lose Yourself와 Kashmir를 합쳐서 연주한 버전이 있는데 두 노래가 끝내주게 잘 섞인다. 리믹스 버전도 있다. 에미넴이 록 음악을 굉장히 좋아해서 에미넴의 곡에는 록 샘플링이나 록 어프로치 기법이 자주 보인다. 이를테면 3집 The Marshall Mathers LP의 수록곡 Kim에 레드 제플린의 When the Levee Breaks의 드럼 패턴을 샘플링한 적도 있고, 에어로스미스 Dream On을 샘플링한 Sing For The Moment We Will Rock You의 드럼 패턴을 샘플링한 Till I Collapse는 말할 것도 없다.

여담으로 가사 초반부에 나오는 mom's spaghetti 4chan에서 밈화되면서, 곡이 나오고 14년이 지난 2016년에도 에미넴 관련 게시글에는 'mom's spaghetti'라는 댓글이 꾸준히 달리는 등 밈으로 장수하고 있다. 시초는 2003년, 4chan에서 몇몇 유저들이 은꼴 썰을 풀다가 중요한 부분에 "Lose Yourself"의 초반부 가사로 마무리하는 spaghetti stories를 올린 것. 그러다가 2010년 초부터 다른 사이트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워낙 mom's spaghetti가 입에 착 붙는 데다가 그 부분의 임팩트가 너무 커서 다른 부분까지 spaghetti로 들리는 것 또한 필수 요소로 쓰였다. 실제로 이 영상 하나만 봐도 알겠지만 다른 가사를 죄다 스파게티로 바꿨는데도 크게 위화감이 없다. 에미넴도 이 밈을 인지하고 있는지 2021년 디트로이트에 Mom's Spaghetti라는 식당을 차렸다.[7][8] 또한 조금 더 뒷부분인 "Snap back to reality"도 밈으로 쓰인다. "현실로 돌아오면"이라는 문장의 뜻 그대로 꿈을 깨거나 환상을 깨트리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쓰인다.

이 곡의 메가히트 덕분에 미시 엘리엇 Work It 빌보드 핫 100에서 10주 동안 2위에만 머물렀다.[9] 에미넴 본인 역시 그해 초에 Without Me가 메가히트 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최전성기를 누리고 있던 Nelly Hot in Herre에 밀려 2위만 주구장창 했었는데 결국 같은 해 이 노래를 통해 에미넴의 첫 빌보드 1위가 달성되었다. 12주나 1위를 하기는 했지만 발매 시기가 애매한데다[10] 롱런에도 실패해서 연말 차트 성적은 비교적 나쁘다. 2002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63위를, 200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28위를 기록하였다. 빌보드 R&B/힙합 차트에서는 4위를 기록했고 2003년 빌보드 R&B/힙합 연말 차트에서는 71위에 올랐다.

간혹 이 곡을 저스틴 비버의 " Love Yourself"와 제목을 혼동해서 "Love Yourself" 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다. 그 때문에 스탠들 앞에서 이 곡을 "Love Yourself"라고 부르면 실례다.[11]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깜짝 등장해 이 곡을 불렀다.[12] 에미넴이 무대에 등장하자 깜짝 놀랐지만 대다수 배우들이 노래를 흥얼거리는 모습을 보여줬고, 음악이 끝나자 에미넴을 향한 기립박수가 터졌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이 이 노래를 라이선스로 사용하였다. 정치계를 극도로 혐오하는 에미넴으로썬 이례적인데,[13] 아무래도 래퍼들의 원수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타협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11월 5일 발매된 에미넴의 앨범 The Marshall Mathers LP2의 수록곡 " The Monster"의 뮤직비디오에 "Lose Yourself"의 뮤비속 장면과 장소, 모습 그대로 다시 찍은 장면이 들어가 있다.

여담으로 단 한 번 만에 녹음된 곡이다.[14]

2000년대 양키스 팬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데 양키스의 레전드이자 슈퍼스타인 데릭 지터의 등장곡이다.

3. 주요 이력

Lose Yourself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Eminem: 50 Greatest Songs
롤링 스톤 선정 에미넴의 50대 명곡
4위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주제가상 수상곡
'''[[틀:아카데미 주제가상 수상곡|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o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The Continental
( 게이 디보시)
Lullaby of Broadway
( 1935년의 황금광들)
The Way You Look Tonight
( 스윙 타임)
Sweet Leilani
( 와이키키 웨딩)
Thanks for the Memory
( 빅 브로드캐스트 오브 1938)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Over the Rainbow
( 오즈의 마법사)
When You Wish Upon a Star
( 피노키오)
The Last Time I Saw Paris
( 레이디 비 굿)
White Christmas
( 스윙 호텔)
You'll Never Know
( 헬로우 프리스코, 헬로우)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Swinging on a Star
( 나의 길을 가련다)
It Might as Well Be Spring
( 어느 박람회장에서 생긴 일)
On the Atchison, Topeka and the Santa Fe
( 하비 걸)
Zip-a-Dee-Doo-Dah
( 남부의 노래)
Buttons and Bows
( 페일페이스)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Baby, It's Cold Outside
( 넵툰의 딸)
Mona Lisa
( 캡틴 캐리 USA)
In the Cool, Cool, Cool of the Evening
( 히어 컴스 더 그룸)
The Ballad of High Noon
( 하이 눈)
Secret Love
( 넵툰의 딸)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Three Coins in the Fountain
( 애천)
Love Is a Many-Splendored Thing
( 모정)
Que Sera, Sera
( 나는 비밀을 알고 있다)
All the Way
( 조커 이즈 와일드)
Gigi
( 지지)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High Hopes
( 홀 인 더 헤드)
Never on Sunday
( 일요일은 참으세요)
Moon River
( 티파니에서 아침을)
Days of Wine and Roses
( 술과 장미의 나날)
Call Me Irresponsible
( 파파스 델리케이트 컨디션)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Chim Chim Cher-ee
( 메리 포핀스)
The Shadow of Your Smile
( 도요새)
Born Free
( 야성의 엘자)
Talk to the Animals
( 닥터 두리틀)
The Windmills of Your Mind
(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Raindrops Keep Fallin' on My Head
( 내일을 향해 쏴라)
For All We Know
( 러버스 앤 어더 스트레인저)
Theme from Shaft
( 샤프트)
The Morning After
( 포세이돈 어드벤쳐)
The Way We Were
( 추억)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We May Never Love Like This Again
( 타워링)
I'm Easy
( 내쉬빌)
Evergreen
( 스타 탄생)
You Light Up My Life
( 그대는 내 인생의 빛)
Last Dance
( 금요일 밤의 열기)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It Goes Like It Goes
( 노마 레이)
Fame
( 페임)
Arthur's Theme (Best That You Can Do)
( 아서)
Up Where We Belong
( 사관과 신사)
Flashdance... What a Feeling
( 플래시댄스)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 우먼 인 레드)
Say You, Say Me
( 백야)
Take My Breath Away
( 탑건)
(I've Had) The Time of My Life
( 더티 댄싱)
Let the River Run
( 워킹 걸)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Under the Sea
( 인어공주)
Sooner or Later
( 딕 트레이시)
Beauty and the Beast
( 미녀와 야수)
A Whole New World
( 알라딘)
Streets of Philadelphia
( 필라델피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 라이온 킹)
Colors of the Wind
( 포카혼타스)
You Must Love Me
( 에비타)
My Heart Will Go On
( 타이타닉)
When You Believe
( 이집트 왕자)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You'll Be in My Heart
( 타잔)
Things Have Changed
( 원더 보이즈)
If I Didn't Have You
( 몬스터 주식회사)
Lose Yourself
( 8 마일)
Into the West
(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Al otro lado del río
(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It's Hard out Here for a Pimp
( 허슬 & 플로우)
I Need to Wake Up
( 불편한 진실)
Falling Slowly
( 원스)
Jai Ho
( 슬럼독 밀리어네어)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The Weary Kind
( 크레이지 하트)
We Belong Together
( 토이 스토리 3)
Man or Muppet
( 머펫 대소동)
Skyfall
( 007 스카이폴)
Let It Go
( 겨울왕국)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Glory
( 셀마)
Writing's on the Wall
( 007 스펙터)
City of Stars
( 라라랜드)
Remember Me
( 코코)
Shallow
( 스타 이즈 본)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I'm Gonna) Love Me Again
( 로켓맨)
Fight for You
(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No Time To Die
( 007 노 타임 투 다이)
Naatu Naatu
( RRR: 라이즈 로어 리볼트)
What Was I Made For?
( 바비)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273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67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167위 ||

AFI 선정 100대 영화 삽입곡
93위

NME 선정 500대 명곡
88위

파일:피치포크 로고.svg 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피치포크 선정 2000년대 최고의 노래
104위

4. 성적

Lose Yourself, Awards & Nominations
년도 시상식 어워드 결과
2003 Satellite Awards Best Original Song <colcolor=#000> Nominated
Critics' Choice Movie Awards Best Song Won
Golden Globe Awards Best Original Song Nominated
Academy Awards Best Original Song Won
MTV Video Music Awards Japan Best Video from a Film
BET Awards Video of the Year Nominated
MTV Video Music Awards Video of the Year
Best Male Video
Best Rap Video
Best Video from a Film Won
Viewer's Choice Award Nominated
World Soundtrack Awards Best Original Song Written Directly for a Film
2004 Grammy Awards Record of the Year
Song of the Year
Best Male Rap Solo Performance Won
Best Rap Song
Best Song Written for Visual Media Nominated

4.1. 싱글 성적

Chart (2002 - 2003) 최고 순위 수상
Australia (ARIA) 1 파일:DiaRIAA.png United States: Diamond
파일:vmffk11.jpg Australia: 7× Platinum
파일:vmffk11.jpg Canada: 6× Platinum
파일:vmffk11.jpg United Kingdom: 3× Platinum
파일:vmffk11.jpg Italy: 3× Platinum
파일:vmffk11.jpg Japan: 3× Platinum
파일:vmffk11.jpg Denmark: 2× Platinum
파일:vmffk11.jpg New Zealand: 2× Platinum
파일:vmffk11.jpg Austria: Platinum
파일:vmffk11.jpg Belgium: Platinum
파일:vmffk11.jpg Norway: Platinum
파일:vmffk11.jpg Sweden: Platinum
파일:vmffk11.jpg Germany: Platinum
파일:0_big.png Switzerland: 3× Gold
파일:0_big.png Finland: Gold
파일:0_big.png France: Gold
파일:0_big.png Greece: Gold
Austria (Ö3 Austria Top 40)
Belgium (Ultratop 50 Flanders)
Belgium (Ultratop 50 Wallonia)
Brazil (ABPD)
Canada (Canadian Singles Chart)
Czech Republic (IFPI) 11
Denmark (Tracklisten) 1
Eurochart Hot 100 (Billboard)
Finland (Suomen virallinen lista)
France (SNEP) 3
Germany (Official German Charts) 2
Greece (IFPI Greece) 1
Hungary (Single Top 40)
Ireland (IRMA)
Italy (FIMI)
Netherlands (Dutch Top 40)
Netherlands (Single Top 100)
New Zealand (Recorded Music NZ)
Norway (VG-lista)
Portugal (AFP)
Romania (Romanian Top 100)
Scotland (OCC) 2
Spain (PROMUSICAE) 9
Sweden (Sverigetopplistan) 1
Switzerland (Schweizer Hitparade)
UK Singles
US Billboard Hot 100
US Alternative Airplay (Billboard) 14
US Billboard Hot 100 1
US Hot R&B/Hip-Hop Songs (Billboard) 4
US Hot Rap Songs (Billboard) 2
US Mainstream Top 40 (Billboard) 1
US Rhythmic (Billboard)
Chart (2020) 최고 순위
US Digital Song Sales (Billboard) 3

파일:RIAA 다이아몬드.png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Diamond Certification
(13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13,000,000 단위 이상

4.2. 스포티파이 성적

2023년 12월 27일 스포티파이에서 누적 20억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Queen Bohemian Rhapsody, Coldplay Yellow에 이어 2010년대 이전 발매한 곡중 세번째 20억 스트리밍 달성 곡이다. #

5. 영상

Lose Yourself
(2018. 11. 2.)[15]
Eminem - Lose Yourself (Official Video) [1080p Remastered]
(2020. 9. 28.)[16]
Eminem - Lose Yourself [HD]
(2015. 8. 7.)[17]

6. 가사

Lose Yourself
🅴 Eminem • 5:21
[ 가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7. 라이브 영상


그래미 2003 시상식에서 기념 공연.


오스카 아카데미 2020 시상식에서 수상 17년 만에 기념 공연.

8. 데모 버전

8.1. 개요

SHADYXV의 CD2 16번 트랙에 수록되어 있다.

8.2. 상세

공식 채널에 올라온 인터뷰에 의하면 당시 있었던 약물 중독으로 인해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나마 기억이 나는듯 마는듯한 부분이 있는데 'In perfect unison just like the moon and sun'라는 구절을 쓴 기억 하나 밖에 없다고 한다. 기억을 바치고 명곡을 얻었다

훅은 원곡과 같지만 벌스의 가사가 다르다. 또한 도입부의 피아노 파트도 빠져있고 곡의 길이도 조금 더 짧으며, 속도가 약간 느리다.

약물에 중독된 시절에 발매된 Encore와는 달리 톤은 약에 흐려지지 않아있다.

8.3. 영상

Eminem - Lose Yourself (Original Demo Version)

9. 관련 틀

파일:Eminem logo.png
[ 정규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정규 1집

1996. 11. 12.

정규 2집

1999. 2. 23.

정규 3집

2000. 5. 23.

정규 4집

2002. 5. 26.

정규 5집

2004. 11. 12.

정규 6집

2009. 5. 19.

정규 7집

2010. 6. 18.

정규 8집

2013. 11. 5.

정규 9집

2017. 12. 15.

정규 10집

2018. 8. 31.

정규 11집

2020. 1. 17.
[ EP & 싱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width=1000> ||<width=25%> ||<width=25%> ||<width=25%> ||

EP

1997. 12. 6.

싱글

2016. 10. 19.

싱글

2018. 9. 14.
[ 콜라보레이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width=1000> ||<width=25%> ||<width=25%> ||<width=25%>
파일:바닥ep.png
||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0. 3. 3.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2. 10. 14.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5. 2. 25.
The Underground EP

[[D12|
as D12
]]
1997. 7. 10.
파일:디트기다려.png
파일:한정판믹테.jpg
Detroit, What!

[[D12|
as D12
]]
2000. 11. xx.

[[D12|
as D12
]]
2001. 6. 19.
Limited Edition Mixtape

[[D12|
as D12
]]
2003. xx. xx.

[[D12|
as D12
]]
2004. 4. 27.
파일:리턴오브더도즌2.png

as Shady Records

2006. 12. 5.

[[Bad Meets Evil|
as Bad Meets Evil
]]
2011. 6. 14.
Return of the Dozen Vol. 2

[[Bad Meets Evil|
as Bad Meets Evil
]]
2011. 8. 12.

as Shady Records

2014. 11. 24.
[ 기타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width=1000> ||<width=25%> ||<width=25%> ||<width=25%>
파일:셰이디클래식스믹스테입.jpg
||

[[8 마일(영화)|
8마일 사운드트랙
]]
2002. 10. 29.

싱글 컴필레이션

2003. 12. 23.

히트곡 컴필레이션

2005. 12. 6.
Shady Classics

컴필레이션

2014. 11. 22.
파일:EMTheVinylLPs.jpg
The Vinyl LPs

컴필레이션

2015. 3. 22.

[[사우스포|
사우스포 사운드트랙
]]
2015. 7. 24.

[[베놈(영화)|
베놈 사운드트랙
]]
2018. 9. 21.

히트곡 컴필레이션

2022. 8. 5.



[1] 왼쪽에 앤더슨 팩이 드럼을 치고있다. [2] 실화를 바탕으로 약간 각색되었다. [3] 월드와이드로 치면 Can't Get You Out of My Head와 비견되는 수준이고 미국 내 기준 넬리의 Hot in Herre, Dilemma와 비견된다. [4] 오스카상을 수상한 것도 힙합 최초이다. [5] https://youtu.be/IIz2GTEX434?t=119 영상 참고 [6] "I was playin' in the beginning, the mood all changed" 부분이 중의적인 의미이다. [7] 디트로이트의 대표 기업인 리틀 시저스 피자 본사 건물에 입점하고 있다. [8] 메뉴에는 스파게티 / 미트볼 스파게티 / 스파게티빵 3가지 밖에 없다. [9] 이는 최장기 빌보드 핫 100 2위 기록이기도 하다. Foreigner의 "Waiting for a Girl Like You"와 공동 기록이다. [10] 10월부터 1위를 시작했는데 당시 차트 반영비로는 11월에 발매된 노래들이 그 다음해의 연말차트에 오르기 어려웠다. [11] 여담으로 저스틴 비버는 디트로이트의 라이브 공연에서 이 곡을 부른 적이 있다! 비버의 팬들은 좋아라 했지만 스탠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의 반응은... [12] 상술했듯 75회 아카데미에 초청되었으나 본인이 수상하지 못할거라 생각해 참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례적으로 본 곡이 수상하게 되고 17년 만에 수상곡을 공연하게 되었다. [13] 에미넴이 친 민주당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에미넴은 전성기(2000년) 즈음에는 클린턴 부부를 디스하는 것을 메인 레퍼토리로 삼을 정도로 민주당과 적대적이었다. 단, 2000년대 중반 Mosh 같은 노래를 들으면 Fuck Bush라는 말이 들어가는 등 공화당 계열과도 친한 사이는 아니다. [14] 처음부터 끝까지 안 쉬고 쭉 부른 건 아니고, 1절 2절 3절을 각각 한 번씩 쉬었다가 녹음하는 식으로 했는데 단 한 번도 실수하지 않고 전부 깔끔하게 끝냈다는 얘기. 매 벌스와 훅 사이가 겹쳐 오버 더빙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다가 뒤에 깔리는 코러스도 에미넴 본인의 목소리라서 원테이크로 녹음하는 게 불가능하다. 이 곡을 녹음하기 직전에 딸 헤일리가 에미넴한테 놀아달라고 하자 에미넴이 "10분만 기다려"라고 말하고 녹음하러 들어갔고, 진짜 10분 만에 나왔다고 한다. [15] 2002년 곡이지만 유튜브 뮤직에는 2018년이 돼서 추가되었다. 참고로 이 마저도 클린 버전이나 커튼 콜 수록곡이 아닌 8마일 OST 앨범으로는 2021년까지 지역 제한으로 한국에서는 들을 수가 없었으며 2022년이 돼서야 풀린 것이다. [16] 뮤직비디오 원본 영상. 다만 에미넴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Lose Yourself의 뮤직비디오가 비공개 처리되어 있다가 후에 공개로 풀렸지만, 화질이 240p인 관계로 비공식 계정의 영상으로 대체한다. [17] 8 마일의 장면들을 짜깁기한 팬 메이드 영상이기 때문에 공식 뮤직비디오가 아니며, Till I Collapse의 팬 메이드 뮤비 제작자와 같다. 영화가 나온지 13년이 지난 2015년도에 업로드했음에도 불구하고 조회수 12억, 좋아요 900만을 돌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