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00:18:38

뒤베르제의 법칙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투표
,
,
,
,
,

1. 개요2. 설명3. 예외4. 원인5. 다른 원인

1. 개요

프랑스의 정치학자 모리스 뒤베르제가 제안한 가설로, 소선거구제(총선)와 결선투표 없는 단순다수대표제(대선)는 양당제를 부르고 중대선거구제 또는 비례대표제(총선)와 결선투표제(대선)는 다당제를 낳는다는 주장이다.

2. 설명

첫번째 가설에서 소선거구제는 정당별 득표율과 의석률의 왜곡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각 정당과 후보자가 2개의 정당, 일반적으로 수권정당인 여당, 반대세력인 야당인 양당 구조로 모이는 것이 각자의 승리에 유리해져 양당제를 낳는 기능이 확인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공화당 민주당이 집권하는 미국이 그러하며 한국 역시 이 구조를 따르고 있다.

두번째 가설에서 비례대표제는 정당의 의석률과 그 정당의 획득률을 그대로 반영해서 군소 정당의 설립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비례대표제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다당제로 가는 것은 아니다.

3. 예외

물론 사회현상에 대한 법칙이 그렇듯 뒤베르제의 법칙에는 예외가 존재한다. 특히 지역색이 강한 연방제 국가나 다민족국가가 그런 경향이 강하다.

Tullock 등의 학자에 따르면 이런 반례들은 어디까지나 특수한 예외일 뿐이거나 일시적인 것으로 소선거구제, 단순다수대표제 하에서는 정당 구도가 장기적으로 보면 양당제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뒤베르제의 법칙은 여전히 유효하다.[2]

4. 원인

소선거구제가 양당체제를 낳는 메커니즘에는 2종류가 있는데 그것은 기계적인 기능(mechanical effect)과 심리적인 기능(psychological effect)이다.

기계적 기능이란 소선거구제에 있어서 제3당의 의석률은 상당한 지지의 지역적 편향이 없으면 득표율보다 낮아지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제1당의 의석률은 득표율보다 높아진다. 예를 들면 1980년대의 영국에서는 제1당 보수당의 득표율이 약 40%밖에 되지 않았지만 의석률은 60% 정도로 과다대표되었다. 결국 누군가는 과소대표되어야 하는데 제3당인 자유민주당이 역으로 약 10%의 득표율을 받았지만 의석은 5% 이하였다. 따라서 득표율만 봤을 때는 다당제이더라도 의석률로는 양당체제가 되는 경향이 강하다.

심리적 기능으로는 전략적인 투표행위가 있다. 제3당을 지지하는 유권자일지라도 당선의 가능성이 낮은 정당에 투표하는 것은 자신의 소중한 1표를 쓸모없게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사표론) 당선의 확률이 높은 제1당 또는 제2당에게 투표하는 경향이 강하다. 결과적으로 제3당의 표는 증가하지 않는다. 투표일이 다가옴에 따라 당선 확률이 낮은 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떨어지는 경향도 강하다. 이것은 유권자가 당선의 가능성이 낮은 정당 투표하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비판적 지지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5. 다른 원인

기계적이나 심리적인 기능의 효과가 여러 차례 확인되었지만 그것으로도 뒤베르제의 법칙을 설명하는 건 충분하지 않다. 최근에는 뒤베르제의 법칙은 유권자보다 정당이나 후보자의 전략적인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는 가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즉, 당선 가능성이 낮은 후보자는 중간에 사퇴를 생각할 것이며 정당도 그러한 선거구에는 후보자를 내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3] 혹은 다른 당이나 다른 후보자와 선거협력을 하여 자신의 후보를 세우지 않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선거구에서의 후보자는 당선의 가능성이 있는 제1당, 제2당의 후보자로 쏠릴 것이다.

[1] 쓰는 말은 물론 문자까지 다르다! [2] " Duverger's Law is true, but it may take 200 years to work itself out." [3] 후보를 내서 선거운동을 하기에는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