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차량 관련 정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력에 따른 분류 | 기관차 ( 전기 · 디젤 · 가스 · 증기 · 수소) · 동차 ( 전기 · 자기부상열차 · 디젤 · 증기 · 수소) · 동력 구조 |
객차 ( 서비스 객차) · 화차 · 발전차 · 운전실 | ||
목적에 따른 분류 | 고속열차 · 저상열차 · 입환기 · 관광열차 · 전세열차 · 보수용 열차 | |
군사적 ( 군용열차 · 열차포 · 장갑열차 · 특별동차 · 대통령 전용 열차) | ||
수송량 ( 경전철 · 중전철 · 2층 열차) · 급커브 ( 틸팅열차 · 고무차륜열차) | ||
위치에 따른 분류 | 선로 - 개수 ( 모노레일 · 제3궤조집전식) · 높이 ( 지하 · 저심도 · 노면(트램) · 고가 ( 현수식 · 과좌식)) | |
도로 - 유도버스 ( 무궤도전차(선로유도) · 노면전차(구속유도) · 바이모달트램(자기유도)) |
1. 개요
이름 그대로 대한민국 대통령을 위한 열차이다.2. 역사
대통령 전용열차는 1950~1970년대 쯤에는 기관차에 특별객차 몇 개를 단순히 붙이는 방식으로 운행이 되었다. 적어도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만 해도 그렇게 운행되었다. 그러나 1960~70년대 자료사진을 보면 DC 디젤동차와 비슷한 특별동차가 운행되었다. 1969년에는 특별동차라는 이름으로 DEC 디젤동차로 분류되는 대통령 전용동차가 도입되었다. 해당 차량은 일명 메기특동이라 불린 특별열차였다. 이 열차가 지나가면 다른 열차는 모두 역에서 정지해야 했다. 그러나 전두환 정권 시절인가부터 실질적으로 열차를 이용하지 않았고 그 이후에도 이용 실적이 매우 저조했다. 1980년 충북선 복선 개통식에 이용한 기록이 있고, MBC 아카이브에 의하면 1984년 6월에 광주 방문 때 이용한 동영상을 볼 수 있었다. 메기특동 관련 검색을 해 보면 1993년 대전 엑스포 때 김영삼 대통령이 타고 방문한 것으로 추정되는 뉴스 캡처를 겨우 찾을 수 있을 정도이다. 그래서 만든 것이 경복호이다.3. 종류
3.1. 대통령 전용 객차
대통령 전용 객차 |
이승만 ~ 박정희 대통령이 사용했던 객차이다. 현재는 철도박물관에 전시 중으로 내부에는 대통령용 침실, 수행원용 침실, 식사 등 제공을 위한 조리 구역과 응접실 등이 있다. 2008년에 국가등록문화재 419호로 지정되었다. 2025년, 현재 출입이 가능하다.
3.2. 대통령 특별 동차
대통령 특별 동차[2] |
퇴역 후 이 차량의 이후 행보를 두고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과 청와대의 소유권 분쟁이 계속 일어나 당시 잉여 공간이 있던 시흥차량사업소에서 방치되다가 2014년에야 철도박물관으로 옮겨와 보존되게 되었다. 당시에는 철도 보존 문화가 자리잡기 전이라 완전 퇴역하면 어디 구석(주로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서 방치되다가 폐차하는 게 대부분이었다. 오히려 소유권 분쟁이 질질 끌린 게 이 차량 입장에서는 다행인 셈이 되었다.
원래 저 자리에는 KTX-산천 목업차량이 전시되어 있다가 투입 후에 철거했다. 그 후 저 자리에 승강장을 설치하고 2가닥의 선로를 깔아 2014년부터 전시하기 시작했으며, 시흥기지에 박혀있던 차량이 박물관으로 이동된 시기는 6월, 공식적으로 전시가 시작된 건 10~11월이다.
내부 출입은 불가하며 내부가 궁금하다면 한국철도공사에서 공개한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
2022년 2월 10일 문화재청에서 등록문화재[3] 지정을 예고하였으며 4월 7일부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3.3. 경복호
경복호 |
3.4. KTX 특동
KTX 특동 |
2011년, KTX-I 특동은 KTX-산천으로 교체되었으며 103호기가 특벌 동차였다. 근데, 일직터널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일어나 109호기가 특벌 동차가 되었다. 언론에 공개된 이름은 '트레인 원'이다. 보안상의 이유인지 편성번호가 바뀌어 색상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호기로 위장된 KTX-산천 109호기(구 09호기) 열차가 특벌동차로 쓰이고 있다. 블로그 링크 이 블로그의 가장 첫 번째 사진에서 답을 알 수 있다. '112'라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 밑에 있는 차량번호는 110951, 즉 109호기 동력차의 번호가 적혀 있다. 대통령 탑승 시에는 다른 호기의 스티커를 붙이고 다니며 정차역마다 경찰들의 호위를 받는다. 전철화 구간이 늘어나서 경복호보다는 이 KTX 특동이 더 많이 운행되고 있다. KTX가 많이 늘어나서 외관은 새마을인 경복호가 KTX를 앞질러 가면 승객들의 항의가 빗발칠 것이 뻔한 것을 고려했을 수도 있다. KTX 특동의 경우 경복호 같은 예비편성이 없다 보니 그냥 일반 열차를 선도열차로 쓰는 경우도 많다. 드물게 언론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방탄능력 보유를 위해 벽이 확연히 두꺼워지고 대통령의 승하차 편의를 위해 문도 굉장히 넓어 보인다. KTX-산천으로 바뀐 후에도 KTX-I 36호기때처럼 정규편성에 투입된다. 주로 임시열차에 충당되며, 보통 4001열번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실 뒤로 건너갈 수 없게 셔터가 내려져 있는 게 특징이다. 경부선 209, 218 열차에 많이 투입되는 것 같지만 어느 순간 투입되지 않는다. 대통령 전용칸중 1량은 대통령 전용실, 또 1량은 대통령실 수행원실, 회의실이며 나머지 일반 칸들은 일반 수행원[5] 및 기자들[6]이 쓴다.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해 무안역에 KTX 특동이 도착했던 적이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탑승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1]
부산발 하얼빈행(처음에는 중국 선양역까지였다가 점점 연장되어서 1942년에 하얼빈까지로 연장되었다)급행 히카리호에 쓰이던 침대차라고 한다.
[2]
좌측은 대통령 전용, 우측은 경호원 전용이다.
[3]
21년전 퇴역한 '대통령 전용열차' 등 기차 4건 문화재 된다
[4]
"문벌 벌"자로, 한국사에서 고려시대 때의
문벌귀족으로 접해봤을 것이다. 그리고 현대어로 가장 많이 쓰는 단어로는
학벌 또는
재벌이고 부정적인 뉘앙스로도 쓰이는 것으로
파벌이 있다. 閥 자에는 "지체 높은 사람"이라는 뜻도 있다.
[5]
주로 3호차 특실
[6]
4호차 이후의 일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