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7141a 0%, #d7141a 30%, #d7141a 70%, #d7141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설상의 통치자 | ||||||
프르셰미슬 | 네자미슬 | 음나타 | 보옌 | ||||
리부셰 | 블라스타 | ||||||
전설상의 통치자 | 프르셰미슬 왕조 | ||||||
브니슬라프 | 크레소미슬 | 네클란 | 호스티비트 | 보르지보이 1세 | |||
모이미르 왕조 | 프르셰미슬 왕조 | ||||||
스바토플루크 1세 | 스피티흐네프 1세 | 브라티슬라프 1세 | 바츨라프 1세 | 볼레슬라프 1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피아스트 왕조 | 프르셰미슬 왕조 | 피아스트 왕조 | ||||
볼레슬라프 2세 | 볼레슬라프 3세 | 블라디보이 | 볼레슬라프 3세 | 볼레슬라프 4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
야로미르 | 올드르지흐 | 야로미르 | 올드르지흐 | 브르제티슬라프 1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
스피티흐네프 2세 | 브르제티슬라프 2세 | 콘라드 1세 | 브라티슬라프 2세 | 보르지보이 2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
스바토플루크 2세 | 블라디슬라프 1세 | 보르지보이 2세 | 블라디슬라프 1세 | 소베슬라프 1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
블라디슬라프 2세 | 베드르지흐 | 소베슬라프 2세 | 베드르지흐 | 콘라드 2세 | |||
프르셰미슬 왕조 | |||||||
바츨라프 2세 | 오타카르 1세 | 인드르지흐 브르제티슬라프 | 블라디슬라프 인드르지흐 | 오타카르 1세 | |||
모라비아 · 보헤미아 공국 · 보헤미아 왕국 ·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 }}}}}}}}}}}}}}} |
<colbgcolor=#11457E><colcolor=#FFF> 보헤미아 전설상의 통치자 네자미슬 Nezamysl |
||
|
||
제호 |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
네자미슬 (Nezamysl) |
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
형제 | 라도빌, 루도미르 | |
자녀 | 음나타 | |
아버지 | 프르셰미슬 | |
어머니 | 리부셰 |
[clearfix]
1. 개요
보헤미아의 전설상의 통치자.2. 행적
12세기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 학장이자 연대기 작가이며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던 코스마스(Cosmas, 1045년경 ~ 1125년)가 집필한 <보헤미아 연대기>에 따르면, 프르셰미슬은 농사를 짓던 중 리부셰가 자신과 결혼하고 공작으로 세우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이야기를 사절단에게 전해듣고 그들에게 농민들이 먹는 음식을 대접한 뒤 자리에 앉아 지팡이를 땅에 꽂았다. 지팡이는 식사하는 동안 3개의 콩나물이 있는 나무로 변했는데, 한 새싹은 무성하게 자랐지만 나머지 2개는 말라버렸다. 사절들이 이 일이 벌어진 이유를 궁금해하자, 프르셰미슬은 이렇게 답했다."내가 리부셰와 결혼하면 세 아들이 태어나겠지만 한 사람만 통치하게 될 것이다."
그 후 프르셰미슬과 리부셰 부부 사이에서 세 아들 네자미슬, 라도빌, 루도미르가 태어났는데, 이중 장남 네자미슬이 보헤미아인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가 사망한 후에는 아들 음나타가 뒤를 이었다고 한다.
네자미슬(Nezamysl)은 "생각하지도 , 의도하지도 않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체코의 영화 평론가이자 역사가이며 저널리스트이기도 한 자비시 칼란드라(Záviš Kalandra, 1902 ~ 1950)에 따르면, 네자미슬은 옛 슬라브어 요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일요일에 해당한다고 한다.
체코의 민속학자 블라디미르 카르부시츠키(Vladimír Karbusický, 1925 ~ 2002)에 따르면, 그를 비롯한 보헤미아 역사의 신화적 인물 12명의 이름은 9세기에 보헤미아인이 프랑크 왕국에 보낸 고대 슬라브어 텍스트의 일부에서 유래했다. 이 텍스트에는 다음의 문구가 담겨 있었다.
카르부시츠키에 따르면, 이 문구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고 한다.
현대 체코어로 변환하면 이렇게 해석된다고 한다.
krok kazi Teuthe
a libě
přemýšlej,
nezamýšlíme
na tebe
vojnu
ni zla,
kříži my se
neklaníme,
hosty vítáme.
[1]
카르부시츠키는 이 용어는 당시 프랑크족의 지도자 이름이거나 보헤미아에 거주하는 슬라브인들이 서쪽 이웃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