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종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한국 |
전통신앙 계통 | |
· · | |
삼교 계통 | |
· · · [[금강대도|
금강대도]] |
|
동학 계통 | |
· | |
증산 계통 | |
· · · | |
중화권 | |
삼교 계통 | |
· · | |
소수민족 계통 | |
· | |
일본 | |
신토 계통 | |
· | |
교파신토 계통 | |
· · · | |
삼교 계통 | |
· | |
베트남 | |
· | |
몽골 | |
}}}}}}}}} |
|
|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까오다이교 |
한자 | 道高臺 |
베트남어 | Đạo Cao Đài |
영어 | Caodaism |
[clearfix]
1. 개요
호찌민시 근교의 떠이닌에 위치한 까오다이교 총본부.까오다이교는 그리스도교, 이슬람, 불교, 유교, 도교, 토속 신앙에서 모티브를 얻어 발전한 민족종교로 베트남 중남부에 백만여 명의 신자가 있다.2. 역사
|
창시자 응오민찌에우(1878-1932) |
프랑스 식민 시절 응오민찌에우(Ngo Minh Chieu, 본명은 응오반찌에우)가 동서양 종교 서적을 탐독하고 베트남 민족에 맞는 종교를 창시하게 되는데 1919년부터 신자를 모집하기 시작했고 1926년에 공식적인 종교가 되었다.
이 종교는 1930년대부터 1956년까지, 베트남 남부 지역에서 호아하오교와 함께 내셔널리즘의 핵심을 담당했다. 당시 까오다이의 교주 팜꽁딱은 프랑스에 의해 마다가스카르로 유배되었으나, 쩐꽝빈 장군이 대신 까오다이교 신자로 이루어진 군대를 이끌고 프랑스군과 싸웠다. 이때 베트남의 많은 반공 무장 독립운동 세력과 마찬가지로[1] 일본군과 협력 관계를 맺고 일본군에서 까오다이군의 훈련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1945년에 일본이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베트남에서 철수했다.
1947년, 베트민은 함께 프랑스에 맞서 싸우자는 거짓된 약속을 깨버리고 혼자 권력을 장악하려는 본심을 드러내었고, 곧이어 주요 비공산주의 내셔널리즘 세력들의 수장을 연이어 공격하기 시작한다. 호아하오교의 교주 후인푸소 Huỳnh Phú Sổ가 베트민에게 납치당해 사망한 것처럼, 까오다이교의 군사 지도자 쩐꽝빈 역시 베트민에게 납치당했다. 하지만 그는 후인푸소와는 달리 목숨은 건지는 데 성공했고, 쩐꽝빈은 결국 베트민을 베트남의 더 큰 위협으로 여기고 프랑스와 협력 관계를 맺기로 결정한다. 교주 팜꽁딱 역시 1946년 베트남으로 복귀한 뒤 쩐꽝빈과 같은 결정을 했다. 까오다이교 군벌 지도자들 상당수는 이 결정에 따랐으나, 이에 안 따른 젊은 장교가 하나 있었는데, 찐민테라는 인물이었다.
이렇게 45년까지의 반불 독립운동과, 이후 반공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끼친 까오다이교였으나, 55년에 큰 시련을 겪게 된다. 응오딘지엠이 독재자로 각성하면서 정치적 동맹이었던 혁명 위원회(Revolutionary Committee)를 숙청하기 시작한 것이다. 팜꽁딱은 캄보디아로 망명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59년에 사망했다. 까오다이교는 살아남았으나 지역 조직력과 군사력, 그리고 유망한 정치적 지도자들까지 한꺼번에 잃어버리고 말았다. 가장 유명한 찐민테는 종교파 숙청이 시작되기도 전 55년 5월 3일, 사이공 전투의 와중에 암살당했고, 그의 부관 니락은 팜꽁딱과 마찬가지로 캄보디아로 망명한다. 응우옌타인프엉은 63년 쿠데타까지도 살아남아 있었으나, 팜꽁딱이 캄보디아로 쫓겨나게 되는 데 너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탓인지는 몰라도, 이미 인기를 상실해서 까오다이교인들의 정치적, 군사적 구심점은 전혀 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캄보디아 국경 지역에서 공산주의 진영을 상대로 남베트남을 지키는 요새 역할을 하던 까오다이교의 역량을 최종적으로 무너트린 것은 응오딘지엠이었다.
까오다이교의 이러한 역사는 당연히 북베트남 정권 입장에서는 눈엣가시였고, 따라서 통일 후 베트콩을 지원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통일 후 수난을 겪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젊은 신자가 잘 유입되지 않아 신도층의 고령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2.1. 50년대 주요 인사
-
팜꽁딱(Phạm Công Tắc, 1890~1959(향년 69세))
까오다이교의 교주. 대프랑스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나, 프랑스 정부에 의해 마다가스카르로 유배된다. 2차 대전 종전 이후 유배에서 풀려난 뒤 프랑스와 휴전을 맺고 당장 더 원한이 깊은 베트민 공산주의자들을 적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자 찐민테와 정치적인 노선이 갈라지게 되나, 개인적인 친분은 유지했다고 한다. 응오딘지엠의 까오다이교 탄압과 응우옌타인프엉의 실책으로 인해 베트남에서 쫓겨나 캄보디아로 망명하고 그곳에서 사망한다.
-
응우옌타인프엉(Nguyễn Thành Phương, 1912년 출생)
까오다이교 군벌 장군 중 하나. 1955년 당시 계급은 중장. 반불/반공 항쟁기에 비해 이후의 행적이 실망스러운 인물로 지엠 정권과 까오다이교 교단 양쪽에 밉보일 짓만 하면서 스스로의 입지를 좁히다가, 지엠이 반타인까오를 이용해 그를 공격할 기미를 보이자 충성 경쟁의 일환인지는 몰라도 교주 팜꽁딱을 휘하 부대로 공격하는 짓을 해버렸다. 심지어 그 응오딘지엠이(속으론 쾌재를 불렀겠지만) 스승의 은혜를 배신한 배교자라고 비판했을 정도. 덕분에 응오딘뉴는 자기 손을 직접 더럽히지 않고도 까오다이교를 효과적으로 탄압하는 데 성공했으니, 지엠 정권 입장에선 1등 공신이자 남베트남 전체 입장에선 희대의 트롤러가 따로 없다. 1950년대 말 ~ 1960년대 초의 베트콩 준동의 숨은 주역 중 하나.
-
반타인까오(Văn Thành Cao)
찐민테의 후계자. 찐민테가 죽은 뒤 리엔민의 사령관이 된다. 니랑은 그가 전술적으로 대단히 용감하고 잘 싸웠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지엠 정권에 빌붙어서 가난에 시달리는 리엔민의 옛 동지들을 저버리고 혼자서 호의호식하는 데 여념이 없었기 때문에 니랑과 리엔민의 전우들을 대단히 크게 실망시킨다. 심지어 리엔민의 공동 재산이던 11에이커의 땅도 혼자서 독차지했다고 한다. 리엔민 구성원들은 먹고살기 위해 직업을 바꾸거나, 실망감과 환멸에 군복을 벗어 던지고 민간인이 되는 등 리엔민은 결국 소리 소문 없이 해체된다.
-
니랑(Nhị Lang)
찐민테의 부관 중 하나로, 베트남 공화국 패망 이후 찐민테에 대한 회고록을 작성했다. 개인 회고록이기 때문에 약간 스스로에 대한 미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긴 해야 하나, 50년대 중반 혼란스럽기 짝이 없는 남베트남의 상황의 핵심부에서 듣고 본 바를 기록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의 글은 상당한 가치가 있다. 혼란스러운 남베트남의 상황 속에 결국 캄보디아로 망명해서 지엠 정권이 몰락할 때까지 귀국하지 않았다. 즉 지엠 정권의 직접적인 피해자이고 지엠의 형편없는 용인술에 대해서도 자세히 적어놓았는데, 의외로 지엠과 뉴 형제 개인들의 인성에 대한 평가는 나쁘지 않았다는 게 의외. 반면 지엠 이후 집권했던 남베트남 정규군 출신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아주 노골적인 환멸을 표했다. 남베트남 패망 이후 캘리포니아로 이주했다.
3. 구성
까오다이교의 교리는 대승 불교에서 기인했다. 따라서 최종 목적은 윤회의 사슬을 벗어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유교의 윤리, 도교의 초자연적인 의식, 가톨릭의 위계 체계를 혼합했다. 이는 동아시아에 널리 퍼진 삼교의 영향이다. 하늘과 땅과 사람을 이루는 법칙은 모두 하나라는 천인합일(Thiên Nhân Hiệp Nhất)을 주장한다.사원 중심 부분에는 예수, 무함마드, 석가모니, 공자, 노자, 토속신, 응우옌빈키엠이 함께 있는 초상화가 있고, 그 아래에 사람의 한쪽 눈이 그려진 천안(天眼)이 있다. 이 눈은 까오다이교에서 숭배하는 주신인 우주의 지배자이며 제삼천의 대도의 창조주 '천존' 혹은 '고대천옹대보살마하살(cao đài tiên ông đại bồ tát ma ha tát)'을 상징하는 신성안(神性眼)으로, 창시자인 찌에우가 하늘을 바라보다 목격한 환시에서 비롯된 것이다.[2] 이 눈 그림은 왼쪽 눈인데, 까오다이교에서는 왼쪽 눈은 양을, 오른쪽 눈은 음을 상징한다. 특이한 점으로, 상술한 초상화 중에는 나폴레옹 1세, 빅토르 위고도 그려져 있다. # 이렇듯 까오다이교는 모든 종교가 하나의 진리로 통한다는 만교일리(Vạn Giáo Nhất Lý)를 설한다.
사원에 들어갈 때는 남자의 경우 오른쪽 문으로, 여자는 왼쪽 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경내에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들어가야 한다. 관광객은 2층에서 예배 의식을 구경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도 가능하다. 까오다이교의 성직자들은 자신이 맡은 직분에 따라 유/불/선을 상징하는 적/황/청의 도복 중 하나를 입고, 평신도는 흰색 도복을 입은 채로 예배를 집행한다. 수행법 및 명상법은 성직자들 사이에서만 공유되며, 평신도는 예배를 올리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정도에 그친다.
까오다이교의 성립 초창기에는 천존의 뜻을 살피거나 계시를 받는 용도로 위자보드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까오다이교가 19세기 유럽의 교령술 및 심령주의 운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3]
역사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 페이지를 확인하면 좋다.
4. 여담
- 칭하이 무상사는 자신의 설법이나 책자에서 까오다이교의 가르침을 자주 인용한다. 본인이 베트남인이기도 하고, 자신이 내세우는 초종교적 화합의 가치관이나 불살생의 계율이 까오다이교와 깊이 맞닿아 있다고 여기는 듯하다. #
- 사이공 쩌런 태생의 브엉티레(Vương Thị Lệ, 1900-?)라는 여성은 구천현녀와 유사한 여신인 칠성낭랑(七星娘娘)[4]의 환생체로 여겨져 베트남에서 숭배되었는데, 이 여성은 까오다이교에서 활동했다. 이 신앙은 지금까지도 살아남아 있다. 2017년에는 일련의 종교인들이 공동묘지에서 유골을 훔쳐 브엉티레의 것이라고 주장하며 추종자를 끌어모으려 하다가, 까오다이교 교단 측에 발각되었던 사건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