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01:48:31

김란사

하란사에서 넘어옴
<col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가네코 후미코 강원신 강혜원 공백순 권기옥
권애라 김경화 김덕세 김도연 김마리아¹
김마리아² 김란사 김순애 김알렉산드라 김자혜
김점순 김정숙 김조이 김향화 김효숙
남자현 동풍신 민영주 박계남 박신애
박원희 박자혜 박차정 박현숙 방원희
부덕량 부춘화 신마실라 신순호 신의경
신정숙 심영신 안경신 안영희 양방매
어윤희 연미당 오건해 오광심 오희영
오희옥 유관순 유순희 윤용자 윤희순
이병희 이신애 이의순 이혜련 이효정
이희경 장매성 장선희 전수산 전월순
정정화 조마리아 조순옥 조신성 조화벽
주세죽 지복영 차경신 차미리사 차보석
최선화 최용신 최정숙 홍애시덕 황마리아
황애시덕
}}}}}}}}} ||
파일:김란사.jpg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재학 시절의 모습.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하란사(河蘭史)
본관 전주 김씨[1]
출생 1872년 9월 1일
평안도 평양부
(현 평양시)
사망 1919년 3월 10일 (향년 46세)
중화민국 베이징시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위패 48판-8면-119호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구한말, 일제강점기의 교육자, 여성운동가,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상세

1872년 9월 1일 평안도 평양부(현 평양시)에서 무역업자인 아버지 김병훈과 어머니 이씨 사이의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아래로 남동생 김동연(金東淵)이 있었다. 이후 평안도 안주군(현 평안남도 안주시)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으며, 가족들과 함께 상경한 뒤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지하계 평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32번지)에 거주하면서 부모님으로부터 한학을 수학했다.

1893년 17살 연상의 인천항 감리서[2] 고위관리인 하상기(河相驥)와 결혼했다.[3]

1894년 미국인 선교사가 세운 개신교 미션스쿨 이화학당에 입학하려 했으나 금혼 학칙[4]에 따라 거절당했다. 그러자 하인이 들고 있던 등불을 입으로 불어 끄면서 교장 룰루 프라이[5]에게 이렇게 말했다.
내 인생은 이렇게 밤중처럼 캄캄합니다. 나에게 빛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겠습니까. 어머니들이 배우고 알아야 자식을 가르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이렇게 간곡히 부탁한 끝에 그녀는 룰루 프라이 교장으로부터 입학을 허가받았다. 이후 그녀는 이화학당에서 영어와 신학문을 배우고 개신교 신자가 되어 낸시(Nancy)라는 세례명을 받고 '란사'[6]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잘 알려져 있듯 당시 여성들은 사회적으로 이름이 없다시피했다. 결혼해도 나중에 기록상으로 남는 것은 "부인 김해 김씨"처럼 친가의 성만 남을 뿐이었고 이름은 사실상 가족만이 알고 있는 것일 뿐이었다.

1895년 김홍집 내각에서 일본으로 보낸 국비 유학생 모임인 '대조선인 일본 유학생 친목회'에 관비(官費) 유학생으로 뽑혀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에서 1년간 수학하고 귀국했다.

정동교회에서 열린 서재필의 '미국의 남녀 평등한 활동'이란 강연을 듣고 미국 유학을 결심, 1897년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때 남편의 성을 따르는 미국 관습에 따라 입국신고서에 하란사(Nansa Ha)로 기재되었고, 그 후로 하란사로 알려지게 된다. 훈장증과 공훈록에도 하란사로 기재되었다가 유족의 요청으로 2018년 정정되었다.

1898년부터 워싱턴 D.C. 하워드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하고, 1900년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 입학하여 1906년 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는데, 이는 한국 여성으로는 최초였다.

귀국하여 모교인 이화학당에 교사로 부임하여 영어 성경 등을 가르쳤고, 기숙사 사감이나 지금의 교감 격인 총학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제자 중에는 유관순이 있으며[7], 유관순이 가담해 활동한 학생자치단체 이문회(以文會)를 이끌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11년 영문 선교지에 윤치호가 "신(新)학교 여성들은 바느질, 요리, 빨래, 다림질하는 법을 모르고 시어머니에게 순종하지 않는다"는 글을 기고하자 김란사는 "학교의 목적은 요리사나 간호원, 침모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깨우친 신여성을 배출하는 것"이라는 반박문을 실었다.

1916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감리회총회에 신흥우와 함께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머물며 미국 동포들의 단결심과 애국심을 고취하고 독립자금 모금을 호소했다.

1919년 의친왕[8]의 밀지를 받고 파리 강화 회의가 열리는 프랑스 파리로 가기 위해 중국 베이징으로 건너 갔으나, 1919년 3월 10일 동포들이 마련한 환영만찬회에 참석했다가 누군가에게 독살당했다.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2018년 4월 4일 국립서울현충원에 그녀를 기리는 위패가 봉안됐다.


[1] # [2] 대한제국 시절 부산, 인천, 원산의 개항장에서 통상 업무를 담당하던 관아 [3] 하상기는 전처 조씨 부인과 사별한 후 김란사와 재혼했다. [4] 이는 어린 소녀들을 강제 조혼에서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오히려 이는 불합리한 교칙이 되었고 2003년에 폐지되었다. [5] 유관순 열사의 스승으로, 유관순 열사가 순국한 후에는 시신을 인도받아 장례를 치러 주었다. [6] Nancy의 음역 [7] 일부 위인전에서는 입이 험하고 괄괄하지만 속내는 따뜻하며 유관순에게 충고를 아끼지 않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8] 김란사와 의친왕은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동문이다. 같은 시기에 수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