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5:32:00

기장왜성

두모포진성에서 넘어옴

왜성
倭城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임진왜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울산광역시 울주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rowcolor=#aaa> 서생포왜성
西生浦倭城
임랑포왜성
林浪浦倭城
기장왜성 | 죽성리왜성
機張倭城 | 竹城里倭城
<rowcolor=#888>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동구
<rowcolor=#aaa> 동래왜성 | 동래읍성
東萊倭城 | 東萊邑城
부산포왜성 | 증산왜성
釜山浦倭城 | 甑山倭城
자성대왜성 | 부산진성
子城臺倭城 | 釜山鎭城
부산광역시 영도 부산광역시 중구 부산광역시 북구
<rowcolor=#aaa> 추목도왜성 | 동삼동왜성
椎木島倭城 | 東三洞倭城
† 박문구왜성 | 중앙동왜성
迫門口倭城 | 中央洞倭城
구포왜성
龜浦倭城
<rowcolor=#888>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죽도왜성 | 김해왜성
竹島倭城 | 金海倭城
눌차도왜성 | 가덕도왜성
訥次島倭城 | 加德島倭城
안골포왜성
安骨浦倭城
<rowcolor=#888>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거제시
<rowcolor=#aaa> 웅천왜성
熊川倭城
명동왜성
明洞倭城
영등포왜성 | 구영등성
永登浦倭城 | 舊永登城
<rowcolor=#888> 경상남도 거제시 <#BE0529>
<rowcolor=#aaa> 송진포왜성
松眞浦倭城
장문포왜성
長門浦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4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유재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울산광역시 중구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울산왜성
蔚山倭城
양산왜성 | 증산리왜성
梁山倭城 | 甑山里倭城
합포왜성 | 마산왜성
合浦倭城 | 馬山倭城
경상남도 거제시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진주시
<rowcolor=#aaa> 견내량왜성 | 광리왜성
見乃梁倭城 | 廣里倭城
고성왜성 | 고성읍성
固城倭城 | 固城邑城
† 망진산왜성
望晉山倭城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남해군 전라남도 순천시
<rowcolor=#aaa> 사천왜성 | 선진리성
泗川倭城 | 船津里城
남해왜성 | 선소리왜성
南海倭城 | 船所里倭城
순천왜성
順天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시기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김해시
<rowcolor=#aaa> † 호포왜성
弧浦倭城
마사리왜성
馬沙里倭城
농소리왜성
農所里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위치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사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rowcolor=#aaa> 영춘왜성
永春倭城
곤양왜성
昆陽倭城
광양왜성
光陽倭城
전라남도 구례군?
<rowcolor=#aaa> 구례왜성
求禮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조선성곽 내부 개축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거제시
<rowcolor=#aaa> 갈마봉산성 | 성북왜성
渴馬峰山城 | 城北倭城
율포산성
栗浦山城
탑포산성
塔浦山城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 자마산성
子馬山城
}}}}}}}}}
† : 멸실된 왜성}}}
파일:정부상징.svg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
기장왜성
[ruby(機, ruby=キ)][ruby(張, ruby=ジャン)][ruby(倭城, ruby=わじょう)] | Gijang Japanese Fortress
파일:스크린샷 2024-12-31 202850.png
<colbgcolor=#BE0529> 국가유산
명칭
기장 죽성리왜성(機張竹城里倭城)
이칭 기장왜채(機張倭寨)
두모포왜성(豆毛浦倭城)
죽성(竹城)
형태 제곽식 평산성[주곽부]
연곽식 평산성[외곽부]
건설 1593년 (선조 26년, 추정)
쿠로다 나가마사, 쿠로다 요시타카
폐성 1598년 (선조 31년, 추정)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39,929㎡
지정연도 1999년 3월 9일
건축시기 조선시대
링크 공식 홈페이지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601
1. 개요2. 역사3. 위치 및 구조
3.1. 두모포진성
4. 과거 모습5. 가치6. 교통7. 여담8. 외부 링크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일본식 평산성. 임진왜란 당시 쿠로다 나가마사 부자가 축성했으며 축성 년도는 1593년으로 추정된다.

2. 역사

각 진영의 왜장 성명을 알리기 위해 모두 그 나라의 향담(鄕談)에 따라 글자를 맞추어 적겠습니다. (...) 기장에는 가인로가미(可仁老加未)[1], (...)
조선왕조실록』, 1595년 2월 10일 기사
각 진영의 왜병 수목(數目)은, 두모포 청정(淸正) 2만 4천, (...) 이것이 일본에서 원래 들어온 수목입니다. 그 뒤에 줄거나 늘어난 것이 일정하지 않으니, 행장의 한 영을 보면 그 밖의 것도 알 수 있습니다. 갖추어 아룁니다.
조선왕조실록』, 1595년 6월 8일 기사
권형이 아뢰기를, "(...) 왜적은 밤낮으로 몰래싣고 도해(渡海)하여 머물러 있는 왜가 매우 적었습니다. (...) 청정(淸正) 서생포(西生浦)에서 두모포(豆毛浦)로 이주(移駐)하여 바야흐로 성지(城池)를 수선하고 있다 합니다. 진중의 모든 왜인은 토목 공사가 끊이지 않아서 ‘이영차’ 소리가 곳곳에서 우레처럼 울렸습니다. 대개 16개 진영 중에 반수 이상은 도해하고 현재 남아있는 것은 두모포 · 동래 · 부산 · 죽도(竹島) · 가덕(加德) · 안골포(安骨浦) 6개 진영이라 합니다."
조선왕조실록』, 1595년(선조 28) 12월 3일자 기사
접반사 사섬시정(司贍寺正) 황신(黃愼)이 치계하기를, "본월 10일에 신이 본도 순찰사(本道巡察使)가 차견(差遣)한 양산 품관(梁山品官) 최기(崔沂)를 장사꾼으로 꾸며서 두모포(豆毛浦) · 서생포(西生浦) · 임랑포(林浪浦) 등지에 가서 왜영의 형편을 탐지하게 하였더니, 당일 돌아와서 말하기를 ‘기장(機張)의 두모포에 도착하였더니, 진중의 왜인들이 바야흐로 축성(築城)하는 역사(役事)를 일으켜서 나무를 끌어오고 돌을 실어나르는 왜인이 도로를 메웠으며 옛 현(縣)의 성(城)에서 돌을 반수 이상이나 뽑아내고 또 근처의 암석을 채취하여 끊임없이 실어날랐다. 성문을 들어가서 두루 살펴보니, 구진(舊鎭)의 방옥(房屋)이 드문 곳에는 여기 저기 더 만들었고, 서생포 논밭에서 수확한 곡식을 배로 실어다가 진영 안에 쌓아둔 것이 36개소나 되고 곡초(穀草)를 남쪽에 쌓아둔 것이 50여 개소나 되었으며 군병이 많기로는 부산의 버금이었으나 시장의 점포는 그 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바다 어귀에 정박한 왜선이 매우 많았는데 우리 나라의 큰 판옥선(板屋船) 2척도 그 가운데 있었다. 거류민에게 물어보았더니, 머물러 있는 왜인의 수효가 거의 8천 명이나 되고 전일 일본으로 들어간 자도 많으며 양곡과 기계 및 잡물을 일찍이 나누어 운반하여 일본으로 실어갔다고 하였다. (...)' 하였습니다."
조선왕조실록』, 1595년(선조 28) 12월 3일자 기사
기장왜성이 위치한 두모포 지역은 기장현의 해상 교통 요충지로, 삼포왜란이 발발한 직후 두모포만호영(豆毛浦萬戶營)이 설치되었다. 임진왜란 직전인 1592년에 두모포영은 현재의 동구 초량동 일대로 이전되었는데, 왜란이 발발하자 이곳에 남아있던 빈 성을 이용해 일본군이 왜성을 신축한다. 쿠로다 나가마사 쿠로다 요시타카 부자가 약 33,000명을 동원해 쌓았다고 알려져 있고, 1593년 6월경에는 주요부의 축성이 끝났을 것으로 추정한다.

1595년, 왜란이 치열한 외교전으로 접어든 시점에서 일본이 화의 분위기를 내비치면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6월 28일 왜장들을 본국으로 대거 물린다. 이때 최전방이었던 서생포왜성이 잠시 폐성되고 가토 기요마사의 주둔군이 거점을 기장왜성으로 옮기면서 최전방 요새의 역할을 이어받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의 증개축이 이루어진다. 현재 잔존하는 시설물은 대부분 이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정유재란이 재차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는 다시 기장왜성을 거쳐 폐성되었던 서생포왜성에 입성했고, 기장왜성은 서생포왜성의 보조성이 되어 종속 부대 하나가 수비했는데 이때 한 차례 더 개보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1598년 11월에 울산왜성이 폐성되어 왜군이 철수하면서 기장왜성도 함께 폐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위치 및 구조

파일:1000012737.jpg
파일:스크린샷 2025-01-01 231738.png
기장왜성 위치도 기장왜성 항공사진 (1948)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31 ~ 81, 86, 92 ~ 110, 183, 245 ~ 287, 296 ~ 316, 551 ~ 581, 588 ~ 614, 622 ~ 673, 711 ~ 727, 747 ~ 756, 산31 ~ 33
왜성이 위치한 두모포는 일광만 앞으로 돌출된 학리의 턱밑에 자리한 작은 포구로, 청강천(淸江川)의 하구를 해발 약 55m의 부흥봉과 죽성리의 중심지가 형성된 ㄴ자의 구릉지가 둘러싸고 있다. 고려 시대부터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요충지였으며 기장군 일대의 해안 방어선을 연계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일제강점기에 측량한 『기장성도(機張城圖)』와 현대의 지표 조사 및 발굴 조사를 종합해 볼 때, 측량도에 보이는 대부분의 왜성 유구가 현재에도 거의 그대로 잔존하고 있다. 석축 둘레 약 960m, 잔존 성벽 높이는 약 4∼5m 정도이며, 성벽은 왜성의 특징인 약 60∼70도 정도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크게 본성 구역과 외곽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성은 ㄴ자로 연속된 구릉지의 가운데에 가장 높이 솟아 있는 해발 46m 정상부를 중심으로 제1곽을 조성했고 서남측에 천수 기단을, 남북측에 마스가타 고구치(桝形虎口)와 어긋문(喰違い)을 1곳씩 배치했다. 이를 중심으로 부곽(副郭)을 사다리꼴로 배치하면서 구릉 전체에 뻗어 있는 제곽식 형태를 띠고 있다. 본성의 서쪽으로는 외곽부 가장자리로 연결되는 해자가 설치되어 있다. 외곽은 청강천의 서쪽 및 북쪽과 남쪽으로 이어진 해발 37m의 소구릉 정상부에 위치한다. 외곽부는 총 5개의 부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곽식 평면 구조를 띠고, 동쪽으로는 청강천이 자연 해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본성과 외곽이 있는 두 구릉의 서쪽으로는 북쪽에서 동남쪽으로 이어지는 거대한 해자가 확인된다. 이는 두모포 전체를 방어 라인으로 설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곽의 북쪽에서도 해자가 확인되었는데, 청강천 쪽으로 이어진 외성의 북쪽 끝에는 문지와 석축이 잔존하고 그 동남쪽 지역 발굴 조사에서 성벽이 확인되었으나 경작 등으로 내부는 파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박물관의 조사 결과, 본성 동쪽 아래 주차장 부지에서도 왜성의 유구 일부로 보이는 석렬과 주혈(柱穴)이 조사되었다. 1595년 10월과 11월 기록에서 보이는 부산 왜성의 주둔병에 버금가는 8천 명의 왜병이 주둔하거나 왜적에 붙은 2백여 호의 부역자가 거주할 수 있는 기장 죽성리성의 외곽 공간으로는 이 공간이 유력하기 때문에 지형상 본성 능선의 연장선에 있는 동쪽 죽성리 해송이 있는 소구릉 지역도 왜성의 범위에 포함되며 왜성 유구가 잔존할 가능성이 크다. 일단 대부분 육안으로 확인되는 석축 성벽을 기준으로 본성의 6개 곽과 동남쪽의 수석원(竪石垣) 부분, 본성의 제1곽 남쪽과 제2곽의 남쪽 성벽, 두모포진성의 서벽 일부만이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된 상태다.

3.1. 두모포진성

<colbgcolor=#315288><colcolor=#fff> 두모포진성
豆毛浦鎭城 | Dumopojinseong Fortress
파일:422595_303771_2133.jpg
정식 명칭 두모포수군만호진성(豆毛浦水軍萬戶鎭城)
입지 평산성
기능 수군진성
면적 미상
건설 1510년 (중종 5년)
폐성 1592년 (선조 25년)
1598년 (선조 31년)
위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26







파일:search.pstatic1234.jpg
성곽 북서측의 잔존 체성 #
[clearfix]
1510년 삼포왜란이 발발한 직후 만호영이 설치된 조선시대의 수군진 성곽으로, 둘레가 약 378m(1,250척)에 높이 약 3m(10척)의 석성이었다. 그러나 이때 성곽을 처음 쌓은 것이 아니라 개축한 것으로 기록된 것을 보아 고려시대부터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기 위해 두모포에 토성이나 목책성을 설치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서남북 체성의 하부 석렬 1 ~ 2단 정도가 잔존하며 그 평면 형태는 처음에 오각형일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조사 결과 사다리꼴인 것으로 드러났다. 성곽의 서남측 체성이 구릉지를 감싸는 평산성으로, 하구에 인접한 조선 수군진 성곽의 주형(舟形) 평면구조와는 다른 모습이다. 현재 기장왜성 외곽부의 내측 부곽으로 재활용되어 왜성과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이다.[2] 이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거점을 활용함과 동시에 왜성 축조에 필요한 축성 재료를 인근 조선 성을 헐어 조달하였다는 점에서 조선군의 거점을 파괴하는 이중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두모포진은 1592년 현재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일대로 이전했고, 조선전기와는 다르게 성곽을 두르지 않은 무성진(無城鎭)이었다. 이와 동시에 두모포라는 이름도 해당 위치로 옮겨가 오늘날 두모포로 기억되고 있는 곳은 2곳이다. 이는 조선후기에 위치를 옮긴 여타 수군진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4. 과거 모습

파일:pan0052033.jpg
부산 기장 죽성리성 본환과 천수대[3] (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이하 동문)
파일:pan005199.jpg
부산 기장 죽성리성 본성과 출성 전경[4]
파일:pan005201(1).jpg
부산 기장 죽성리성 본성과 출성 전경[5]
파일:pan005197.jpg
부산 기장 죽성리성 본환과 천수대에서 본 출성[6]
파일:pan005198.jpg
부산 기장 죽성리성 본환과 천수대에서 본 출성[7]

5. 가치

기장 죽성리성을 비롯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에 축조된 한국 동남 해안 지역에 위치하는 왜성들은 일본 성곽사에 있어 성곽 축조 전통 기술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일본의 석축 성곽은 근세 초창기인 쇼쿠호우기(織豊期, 1568∼1600)를 중심으로 전통 석축 성곽 기술의 발전이 있었으나 이후 개보수가 진전되어 이 시대 성곽의 특징을 밝혀 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기장 죽성리성의 내성과 외성을 둘러싸는 외곽 해자 배치는 일본의 전국 시대 말기부터 쇼쿠호우기에 걸쳐서 발달한 '외곽'과 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안골진성의 사례와 같이 왜군이 조선 성을 왜성의 성벽으로 이용한 특이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6. 교통

죽성리로 통하는 대중교통은 마을버스 1대가 전부다. 대신 신앙촌 정류장에 하차해 죽성리 627번지 방면으로 이어진 길을 통해 왜성 본성에 오를 수 있다. 또한 따로 길은 없지만 죽성리 공동묘지를 통해 야산으로 오르면 외곽부 유적이 분포하는 구릉지로 통한다. 주변에 죽성성당이 있어 관광객들이 연계해서 둘러보곤 했으나, 현재는 토지 소유권 분쟁으로 인해 본성으로 올라가는 길이 막힌 탓에 발길이 거의 끊긴 상태다.

7. 여담

8. 외부 링크

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

부산광역시 기장의 죽성리 마을 해안 가까이에 있는 구릉을 이용하여, 임진왜란 때 왜군의 장수 구로다가 조선·명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방어하고 남해안에 장기간 머물기 위해 쌓은 성이다. 돌로 쌓았으며 둘레는 약 960m, 성벽높이는 약 4m이다.

왜성은 대개 강이나 바다에 가까운 구릉을 택하여 수송·통신 등에 자유롭고 선박의 출입이 편리한 장소에 성을 쌓는다.

이 성은 부산왜성과 형태가 비슷하며 일본에서는 기장성이라고도 불리어지고 있다. 또한 양산의 서생포성과 울산의 학성·부산성을 연결하는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는데 현재 성곽이 남아 있지만 주위는 밭과 민가로 사용되고 있다.

10. 관련 문서


[1] 가이노카미(甲斐守)의 음차이다. [2] 일본군은 왜성을 쌓을 때 읍성의 성돌을 빼내 왜성의 성돌로 삼거나, 아예 조선 성곽에 신축할 왜성을 이어붙여 하나의 성으로 만들거나, 조선 성곽 내부에 일본식 축대를 쌓아 진을 치는 등 기존의 성곽을 다방면으로 활용했다. 조선 성곽과 이어진 형태를 보이는 왜성은 기장왜성, 안골포왜성, 영등포왜성, 고성왜성 등이 있다. [3] 동북에서 서남으로 바라본 모습. [4] 남에서 북으로 바라본 모습. [5] 서에서 동으로 바라본 모습. [6] 혼마루 북측 이시가키에서 서북으로 바라본 모습. [7] 혼마루 북측 이시가키에서 동북으로 바라본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