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국악에서 ' 장단'이라 함은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리듬형과 일정한 길이의 단위라고 풀이할 수 있다. 이를테면 " 도드리장단을 세 장단 연주해 주세요"라는 말을 할 때, 첫 번째 쓰인 장단은 정형화된 리듬형을 가리키며 두 번째 쓰인 장단은 그러한 리듬형으로 구현된, 일정한 양을 가진 길이 단위를 가리킨다.장단은 국악을 다른 음악과 차별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흔히 국악의 특징으로 5음음계를 들곤 하지만, 일본이나 중국의 민요는 물론이거니와 멀리는 미국이나 스코틀랜드[1] 등 서양 각지의 민속음악에서도 5음음계를 사용한다. 반면 한국과 같이 다양한 장단을 쓰는 국가는 인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 따라서 장단이라는건 어떤 음악이 '국악풍'으로 들리는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국악에서, 판소리를 제외한 모든 음악의 장단을 잡아 주는 악기는 장구이다. 따라서 '장구장단'이라는 말을 아주 많이 쓰며, 장단의 종류를 열거할 때도 장구 장단을 오선보나 정간보로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장단 기보법
종류 | 기호 | 구음 | 설명 | 한문표기 | 비고 | |||||
합장단 | ⦶ | 덩 | 북편과 채편을 강하게 친다. | 雙 | 북편은 ○, 채편은 |. | |||||
채편 | | | 덕[3] | 채편을 강하게 친다 | 鞭 | - | |||||
북편 | ○ | 쿵 | 북편을 친다 | 鼓 | - | |||||
겹채 | ¡ | 기덕 | 채편을 강하게 한 번 굴려준다 | 鞭 | ·과 |를 합침 | |||||
굴리기 | ⁞ | 더러러러 | 채편을 가볍게 네 번 굴려준다 | 搖 | - | |||||
찍기 | · | 기 | 채편의 가운데를 채 끝으로 친다 | 없음 | |보다 훨씬 가볍게. | |||||
울리기 | ⊙ | 떵 | 북편과 채편을 가볍게 친다 | 響 | 북편은 ○, 채편은 ·. |
주의할 점은 '덕'과 '기'의 차이, '덩'과 '떵'의 차이. '덕'은 채편으로 장구의 나무통 부분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까지 치면서 소리를 크게 내지만 '기'는 채편 가운데 가죽부분만 채 끝으로 살짝 쳐 주면서 장단을 덧들이는 역할이다. '덩'과 '떵'은 '쿵'에 '덕'이 합쳐진 것인지 '기'가 합쳐진 것인지의 차이이다.
여담으로 '덩기덕'은 사실 '덜그덕, 쩔그덕, 삐그덕'처럼 '덩'에 '-그덕'이 붙은 단어이다. 이 '-그덕' 접미사의 발음이 변해 겹채소리인 '기덕'으로 분리된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기덕'은 '덩' 뒤에서 잇따라 연주되어 '덩기덕'처럼 나타난다.
3. 종류
3.1. 정악장단
정악장단은 기본적으로 쌍-편-고-요, 즉 '덩-기덕-쿵-더러러러'의 구조로 되어 있다.1. 20박 장단: 주로 템포가 느리고 선율이 긴 악곡들. 평조회상의 상영산과 중영산, 현악 영산회상의 중영산, 보허자, 여민락 2장과 3장. '덩' 여섯 박, '기덕' 네 박, '쿵' 네 박, '더러러러' 여섯 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 | · |
2. 갈라치는 20박 장단: 첫 박인 '덩'을 양 손을 나누어서 '기덕 쿵'으로 연주한다. 20박 장단과 유사하게 느리고 선율이 긴 악곡들에 사용된다. 20박 장단형 대신 갈라치는 20박을 사용하는 이유는 둘째 박이 강박이 되기 때문이다. 20방 장단을 사용하는 음악보다 더 늘어지는 곡들이다. 향당교주 및 수제천, 동동, 관악 영산회상의 상영산 등이 해당.
¡ | ○ | i | ○ | ⊙ | ⁞ | · |
3. 10박 장단: 20박 장단의 축소판으로 박 수가 반으로 줄었다. 여민락 4~7장, 영산회상의 세영산과 가락덜이, 보허자 5~7장, 가곡의 '편'. '덩' 세 박, '기덕' 두 박, '쿵' 두 박, '더러러러' 세 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도드리 장단: 웃도드리, 밑도드리,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기본적으로 20박 장단의 '덩 기덕 쿵 더러러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간에 '따'나 '쿵'으로 박을 짚어주기도 하며, 염불도드리의 빨라지는 부분에서는 연주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형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타령 장단: 역시 덩 기덕 쿵 더러러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훨씬 더 흥겨운 장단이다. 민속악에서 유입된 장단으로 보기도 한다. 타령, 군악, 천년만세의 계면가락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 일승월항지곡, 금전악 등이 해당.
ⓛ | ¡ | · | ○ | ¡ | · |
6. 취타 장단
ⓛ | · | ⓛ | · | ⓛ | · | ○ | ○ | ⓛ | ⁞ | · |
7. 절화 장단
ⓛ | · | ⓛ | · | ⓛ | ⁞ | · |
8. 천년만세 중 양청도드리
ⓛ | | | || |
3.2. 민속악 장단
1. 진양조 장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중모리 장단
중간 속도로 몰아가는 장단이고 서양음악 기준으로 보면 4분의 12박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통 빠르기의 3소박 4박자 장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자진모리 장단
ⓛ | ○ | ○-| | ○ |
맺는 장단으로
|ⓛ | ○|○ | ○-| |
5. 휘모리 장단
ⓛ | || | ○| | ○ |
6. 굿거리 장단
ⓛ | ¡ | ○ | ⁞ | ○ | ¡ | ○ | ⁞ |
굿거리장단에서도 3/4박자가 사용된 점으로 미뤄 보았을 때, 홀수 박자(특히 3/4)박 노래가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고 즉흥적인 노래로부터 자연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 세계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은 민족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이러한 홀수 박자의 노래가 탄생했음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블루스나 스윙 등) 짝수 박은 인간 구조의 대칭성과 걷기 리듬으로부터 탄생한 장르임을 쉽게 알 수 있지만, 3/4박자의 곡은 진화론적으로 어떠한 동작이나 기제를 통해서 생겨난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펜타토닉 스케일이 대부분 문화권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과도 비슷하다.
7. 세마치 장단
ⓛ | ⓛ | - | | | ○ | | |
8. 엇모리 장단
ⓛ | ○ | | | ○ | | | ○ | ○ | | | ○ | | |
[1]
'오랫동안 사귀었던 정든 내 친구여~'로 시작하는 '올드랭 사인'이나 '얼어붙은 달 그림자 물결 위에 자고~'로 시작하는 '등대지기'를 생각해보자!
[2]
실제로 국악풍이랍시고 5음음계만 사용하여 작곡을 하다 보면 국악풍이 아니라 그냥 동양풍, 또는
트로트나
엔카 처럼 되기 십상이다.
7음음계를 사용하면서도 중중모리 장단을 사용하여 국악 분위기를 십분 살린 현대음악으로는
SG워너비의 '
아리랑'을 들 수 있겠다.
[3]
'따'로 표기하기도 한다.
[4]
특히 크로스오버 음악이 유행하는 현재, 타 음악 전공자들이 국악과 협업할 때 이 엇모리 장단때문에 굉장히 고생을 많이 한다. 그도 그럴것이 서양음악에서도 현대음악으로 올 수록 엄청난 변박과 리듬이 난해한 곡들이 많아서 박자 리딩과 비팅, 템포에 있어서는 사실 서양음악 전공자들의 능력치가 훨씬 좋다. 하지만 그저 어려운 리듬이 아닌 "장단의 구조적 형태"를 보존하면서 혼합박 놀음을 해야 하는 점, 그리고 국악 전공자들은 국악의 특징상 악보보다 장단의 구성 자체를 그냥 통으로 수년에서 수십년간 익혀버리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비교가 안 된다.
[5]
흥보가의 중 내려오는 대목, 심청가의 중 올라가는 대목, 수궁가의 호랑이 등장하는 대목, 적벽가에서 조자룡 등장하는 대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