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파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군악 외 다른 뜻의 팡파레에 대한 내용은
팡파레 문서 참고하십시오.1. 군대 용어
한자: 軍樂프랑스어: fanfare
군대에서 의식을 하거나 장병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연주하는 음악. 군악대가 이런걸 전문적으로 한다.
2. 영산회상의 한 곡
영산회상 | |||||
염불도드리 | ← | 타령 | → | 군악 |
국악 정악곡인 모음곡 영산회상을 구성하는 곡으로 모음곡의 마지막 곡이다. 즉 중광지곡의 9번째 곡, 유초신지곡과 표정만방지곡의 8번째 곡. 제목의 유래는 1번 항목.
타령과 마찬가지로 1각 12장단의 타령 장단에 얹어 연주하며, 박속은 3정간이 1.5초 정도 되는 빠르고 경쾌한 곡이다. 타령이 좀 능청능청하고 유려한 곡이라면 군악은 힘차고 꿋꿋한 느낌의 곡이다.
음계는 장사훈의 연구에 의해 태주평조: 黃-太-故-林-南 로 알려져왔으나, 태주평조의 경우 본래 黃 대신 應이 쓰여야 하는데 이를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종평조와 임종평조의 혼합[1], 변화된 황종평조, 즉 우조평조[2] 등 여러 연구가 등장하며 일단 태주평조는 아니라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참고로 영산회상의 다른 곡들은 모두 영산회상의 3종류마다 다 고유의 음계를 따른다. 다시 말해 상령산부터 타령까지의 모든 곡은, 중광은 황종계면조(黃-太-仲-林-無), 유초신은 임종계면조(黃-太-仲-林-南), 표정만방은 무역평조(無-黃-夾-仲-林)를 따른다. 그런데 유독 군악만은 어느 곡의 군악이든지간에 모두 같은 곡이다[3][4][5]. 그래서 타령과 연이어 군악을 연주하는 경우 군악 2번째 각부터 현악기는 괘를 옮겨 짚거나( 거문고), 안족을 옮겨주거나( 가야금) 하는 등의 변화가 생긴다. 특히 가야금의 경우 안족을 제대로 옮기는 스킬이 요구된다( 가야금 항목 참조). 중광지곡에 편성되는 단소 역시 단소로는 내기 힘든 남(南)이나 고(姑)같은 음을 반규법[6]으로 소리내야 하기 때문에 단소 주자로서는 조금 힘들기도 하다.
영산회상의 대미를 장식하는 곡인 만큼 힘차고 화려하다. 특히 5장에서는 백미로 潢의 높은 음을 연이어 연주하는 부분이 나온다. 이 부분을 '권마성'이라고 하는데, 옛날 높으신 분들이 말을 타고 갈 때 시종들이 말을 이끄는 한편 길 가는 사람들에게 '길 비키라'는 듯으로 내던 소리라고 한다. 권마성의 마지막 두 각에서는 곡을 리드하는 피리소리가 갑자기 딱 끊기고 나머지 악기만 연주하는 것도 특이한 대목.
취타계 음악을 연주할 때 마지막에 연주하기도 하는데, 이 때는 1장과 2장 넷째 장단이 조금 확장되어서 두어 각이 조금 달라진다. 2장 다섯째 장단부터는 그냥 군악을 그대로 연주한다.
[1]
임병옥, 군악의 조 -피리의 선율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2003, vol.33, pp. 135-151
[2]
박희정, 군악의 악조 변화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1, vol., no.43, 통권 43호 pp. 71-100
[3]
물론
중광 군악은 다른 악기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대금을 비롯 일부 악기는 옥타브를 중간중간 내리기도 한다
[4]
취타 계주 군악은 일부 가락이 영산회상 군악과 다르다.
[5]
단
양금의 전통적인 조율법에 따르면 고선(姑)음을 내는 현이 없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조옮김을 해서 연주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양금항목 참조.
[6]
손가락 짚는 구멍을 반만 막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