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1:31:23

과학적 회의주의

어떤 사람들은 회의란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거부하는 거라고 믿거나, 더 나쁘게는 회의와 냉소를 혼동해서, 회의주의자들이란 현재의 안정 상태를 걸고넘어지는 주장은 아무것도 흔쾌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심술맞은 깍쟁이들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회의란 어떤 주장에 대한 임시적인 접근법이다. 곧, 회의란 입장이 아니라 방법이다. (중략)

회의주의의 열쇠는 '아무것도 모른다'는 회의와 '어느 것이든 괜찮다'는 미혹 사이의 불안정한 지협을, 과학의 방법을 쉬지 않고 열심히 적용하면서 빠져나가는 것이다. (중략)

대단히 지적이고 신중한 서평은 내가 회의주의자들의 일을 '돌팔이 주장들을 조사하고 반박하는 일'이라고 말한 것을 두고 비난했다. 그러나 이런 지적은 잘못이다. 우리가 하는 일은 주어진 주장을 우리가 반박할 것이라고 미리 넘겨짚은 뒤에 조사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 주장들이 과연 돌팔이 주장들인지 알아내기 위해 조사하는 것'이다. 증거를 검토한 뒤, 그 주장에 회의적이 될 수도 있고, 회의주의자에 대해서 회의적이 될 수도 있다.

-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Why People Believe Weird Things), 마이클 셔머, p.33; 48; 521
... (인간의 문제의) 잘못됨을 합리성의 가치로 비판하는 것이 과학적 회의주의 활동의 목표가 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회의주의자에게는 정직성과 객관성, 비판적 사고에 대한 자기 성찰이라는 요구가 따릅니다.

- 강건일 숙명여대 약학과 교수, 2009

1. 개요2. 구분3. 대한민국의 과학적 회의주의4. 유명한 과학적 회의주의자들
4.1. 과학적 회의주의와 유사한 활동을 한 사람들
5. 바깥고리6. 같이보기


科學的 懷疑主義 / Scientific Skepticism[1]

1. 개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얻어진 지식에 자신의 지성을 최대한 의존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주장에 대해서는 건전하고 건설적인 의심을 유지하는 입장. 인본주의, 논리 실증주의, 경험주의, 자유사상을 비롯한 계몽주의, 회의주의를 기초로 하며, 이후로 현대 무신론 과학주의, 초인본주의, 신(新)합리주의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어에서 skepikos는 원래 '캐묻기 좋아하다.'는 뜻이었다. 이처럼 회의주의의 핵심을 명쾌하게 찌른 설명도 드물 것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흔한 인식처럼 매사에 무조건 냉소적이라거나, 무조건 앞뒤 가리지 않고 비판만 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과학적 회의주의는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회의주의와는 다소 다른데, 내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이 맞는지, 세계가 정말로 매트릭스는 아닌지, 내가 어쩌면 통 속의 뇌는 아닐까 하는 수준까지 회의하지는 않는다. 즉 과학적 회의주의는 과학적 탐구정신을 기초로 하므로, 경험적으로 확인되는 것 내지는 인간의 지성이나 합리성까지 의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과학적 회의주의'는 '철학적 회의주의'의 극단적인 유아론(Solipsism)에 동의하지 못한다.

과학적 회의주의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얻어진 최소한의 신뢰할 수 있는 사실들을 바탕으로 하기에, 무한한 불신의 루프에 갇힌 채 무지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는 철학적 회의주의와는 달리, 자신들의 노선이 보다 건설적인 의심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과학적 회의주의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과학적 탐구에 있어서의 문제적 맥락에만 국한된다. 이 의심들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해결되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유보적 입장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하기 쉽게 인문학, 철학적 표현을 동원해 과학적 회의주의자를 묘사하자면 프로타고라스 데카르트 같은 철학적 회의주의자 보다는 소크라테스 처럼 자신이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모든 것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캐묻는데 진위를 판별하는 잣대로 과학과 이성을 이용하는 이 정도가 될 것이다.

이들은 일반인들이 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뜬소문이나 거짓 정보들을 넙죽넙죽(…) 받아들이고 맹신하는 경향을 크게 우려하고, ' 이성 과학을 위한 리처드 도킨스 재단'이나 ' 제임스 랜디 교육재단'과 같은 단체들을 만들어서 대중강연 활동에도 상당히 신경쓰고 있다. 가장 규모 있는 단체로 '회의주의적 연구 위원회(CSI;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2]가 있고, 저널로는 《스켑틱》 이 있다.

과학적 회의주의의 주된 타깃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모든 대상이다. 넓은 범위에서 설명하자면 유사언어학이나 유사역사학, 유사의학과 같은, 실제 학계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주장들까지 포괄하는 회의적 정신과 합리적 사고까지 포괄하기도 한다. 즉 과학자들만의 특권적 타이틀은 아니라는 것이다. 심지어 해리 후디니 제임스 랜디 같은 마술사들도 그 일원으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주로 까이는(…) 대상으로는 오컬트, 초능력, 음모론, 유언비어, 뉴에이지, 대체의학, 종교, 도그마가 주로 거론된다.

또한 많은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이 반종교 활동에도 투신하고 있다. 다만 종교에 대해서 온건한 입장을 가진 이들도 있는 편.[3]

과학적 회의주의 관련 도서로는 《회의주의자 사전》,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사이비 사이언스》, 《쿤 &포퍼: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 《그렇다면 과학이란 무엇인가》, 《미스터리 심리학》, 《과학이라는 헛소리》 등등 많이 있으므로 도서관이나 서점에 방문하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2009년 1월 5일 미국 뉴저지주 모리스타운(Morristown)에서 한밤중에 편대형 UFO가 목격되었다는 소동이 벌어졌고 지역의 대학 교수들과 전직 파일럿들, 언론사들, 심지어는 UFO 전문가로 자부하는 사람들까지 모여서 UFO가 틀림없다며 한바탕 난리가 났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어이없게도 그 지역에 거주하는 두 명의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이 속칭 'UFO 전문 조사관' 들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일부러 꾸민 자작극이라는 게 밝혀졌다. 두 명의 20대 남성은 헬륨 풍선에 조명탄을 묶어서 하늘로 띄워보냈으며 자신들의 전체 작업을 영상으로 촬영하기까지 했는데, 기막히게도 일반인 목격자들 중에는 "풍선에 조명탄이 묶인 것 같다" 며 그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한 사람들도 있었건만 TV뉴스 진행자나 UFO '전문가' 들일수록 그것이 조명탄이 아니라 UFO라는 주장만을 고집했다고. 영어 위키백과

2. 구분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모든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등장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원론적으로 말해서 과학적 회의주의자의 태도는 전구과학(Protoscience)이나 초과학(Parascience)에 대해서도 열린 마음을 갖고 일단은 그것의 진위여부를 적극적으로 따져 본다. 만일 이런 것들에 대해서 객관적인 검증을 배제한 채 '무조건적'인 불신을 보이거나 배제하는 태도를 취한다면 그것은 올바른 과학적 회의주의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맥락에서 회의주의적 활동은 암묵적으로 신중한 회의주의자(Wet Skeptics)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유명한 과학적 회의주의자들 중 상당수는 소위 폭로자(debunker)로 불리는 활동을 한다. 과학적 연구절차가 통용되지 않는, 성급한 상상의 불꽃놀이가 만개하는 곳에서 신중한 학문적 소견보다는 '정체 폭로자'들의 유쾌하면서도 재치 있는 공격이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유사과학자들의 주장이 아무런 가치가 없는 우스개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그런 아이디어를 조사하고 신중하게 따져보는 것은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4] 이러한 맥락에서의 회의주의 활동은 암묵적으로 냉담한 회의주의자(Dry Skeptics)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작 아시모프는 다음과 같은 유쾌한 비유를 들었던 적이 있다.
1) 누군가가 실험실에 소금 10 kg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 그냥 평범한 주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주장은 누구나 다 그럴 만하다고 생각하며 쉽게 믿지만, 그만큼 특별할 것도 없다.

2) 그 사람이 이번에는 실험실에 금괴 10 kg이 있다고 주장한다.
→ 그것은 특별한 문제가 된다. 그것은 사람들에게 의구심을 자아내게 하며, 직접 확인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만일 정말로 있다면 믿을 것이지만, 없다면 그것을 믿지 않을 것이다.

3) 그 사람이 이번에는 자기 실험실에 아인슈타이늄(Einsteinium) 10 kg이 있다고 주장한다.
→ 아무도 그것을 믿으려 하지 않고 다들 그 주장을 헛소리로 취급할 것이다.[5] 이 경우 그것이 정말로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무의미한 데다 시간낭비다. 냉담한 회의주의자들이 유사과학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로 이것이다.

물론, 신중한 회의주의자는 3번에 대해서도 검증과 조사를 개시할 것이다. 그들의 활동은 보기엔 시원해도 그만큼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회의주의자들에 대해 회의하라(Be skeptical of the skeptics)'는 표현도 나오게 되었다.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은 자신들이 표방하는 노선이 정말로 과학적 회의주의의 정신과 잘 일치하는지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스스로 회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냉담한 회의주의자들이 각종 유사과학적 주장에 대해서 '그건 완전히 터무니없고, 말도 안 되는 사기행각'이라고 대담하게 주장할 때, 신중한 회의주의자들은 동일한 주장에 대해서 '그것이 얼마나 설득력 있을지는 엄밀하게 통제된 조건 하에서 실험해보기 전에는 쉽게 단정하기 어렵다.'고 이야기할 것이다. 그런데 훗날 정말로 설득력이 있어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는 사례가 무조건 없다고 할 수는 없으니, 이 점에서는 신중한 회의주의자들이 좀 더 유리하다고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종종 회의주의자들도 잘못된 통념을 교정해 주겠답시고 또 다른 통념을 만들어내거나, 엄밀한 출처 확인 및 교차검증을 하지 않거나, 특정 대상에 대해서는 과도하게 비판을 꺼리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즉 회의주의자들의 주장 역시 완벽할 수 없으므로 이것까지 함께 고려해서 회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얘기다. 실제 사례 #1 #2

3. 대한민국의 과학적 회의주의

한국에는 약간 늦게 들어온 편인데, PC통신 시절부터 알음알음 지식인 계층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던 것이 2007년 샘물교회 선교단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이 터지면서 반종교적 움직임이 호응을 얻었고, 리처드 도킨스의 《 만들어진 신》 의 한국 출간과 더불어 비로소 대중적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교수들 사이에서는 물론 꽤나 예전부터 익숙하던 것으로, 2005년에 타계한 양신규 교수 같은 케이스가 대표적이다.

무엇보다도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한의학을 굉장히 싫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스켑틱 구독자들 중에 한의사가 많다. 이건 의외는 아닌 것이 한의학계에서는 어떻게든 과학적·의학적으로 인정받고 싶어한다. 단지 의대 커리큘럼 일원화를 할 경우 기존 한의사보다 문턱이 높아지고 정골의학처럼 입지가 줄어들 테니 반대할 뿐.

링크 그들이 의료일원화 운동에 목숨을 거는 이유가 바로 과학적 회의주의로 봤을 때 한의학이 근거없는 사이비이자 돌팔이 의학이라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 한의사들이 '한의학의 과학성'을 주장하는 반면, 한국의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은 사실상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흔히 말하는 양의학 vs 한의학 떡밥이 터졌을 때 가장 치열하게 한의학을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정치적으로 보아 우파 성향이 의외로 강하다는 것. 2008년 촛불집회 당시 광우병 논란이나 천안함 피격 사건을 거치며 보수 성향이 강해진다.[6][7] DC 무신론 갤러리에 올라온 관련글 물론 그렇지 않은 회의주의자들도 충분히 많다.[8] 한때 과학적 회의주의의 대표로 자리잡았던 스켑렙은 이런 내분으로 커뮤니티가 분열되었고, 본진은 더 이상 회의주의 커뮤니티로 보아야할지 의문이 들 정도로 변질했다. 이에 대해선 해당 문서 참고. 단,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이 광우병 논란과 천안함 피격 사건과 관련 좌파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드러났다고 해서 이를 과학적 회의주의자들의 우파 성향이나 보수 성향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좌파를 지적한다고 해서 다 우파 성향이나 보수 성향인 건 아니기 때문이다.[9]

4. 유명한 과학적 회의주의자들

4.1. 과학적 회의주의와 유사한 활동을 한 사람들

5. 바깥고리

6. 같이보기



[1] Scepticism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영국식 영어 표기법이다. [2] 2006년 이전에 쓰던 이름인 '초자연현상 주장들에 관한 과학조사위원회(CSICOP)'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풀네임은 Committee for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Claims of the Paranormal인데 너무 길어서 약어로만 불렸다. [3] 거꾸로 종교를 가진 과학적 회의주의자들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마틴 가드너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수학 퍼즐을 연재하던 인물로 유명하다. 그는 단순히 '심적인 위로와 안정'을 위해 종교를 믿을 뿐이라는 신앙주의적 의견을 밝힌 바 있다. 그래도 이 양반도 SCICOP 소속이다. 그 외에도 유신론적 진화론자로 거론되는 케네스 밀러도 있다. 이 양반은 스켑틱스 인콰이어리의 펠로우다. [4] 즉 아주 터무니없어 보이는 거짓말에는 신중한 데이터 분석 같은 것보다는 비웃음과 신랄한 풍자가 도리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5] 아인슈타이늄은 적어도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밀리그램 단위로 얻어진다. 게다가 몇십분의 일초만에 대부분 붕괴한다. [6] 초파리 연구로 대중에게 유명세를 얻은 유전학자인 김우재 교수도 한국의 과학적 회의주의의 역사를 검토하면서 " 모두 실패하거나 우경화됐다" 는 의견을 피력한 적이 있다. 물론 개인적인 비판적 견해이기는 하나, 그 본인이 한국에 몇 없는 과학대중화 운동가이자 과학적 회의주의 활동 이력도 있다 보니 이 주제에 합당한 전문성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7] 위에서 언급한 안티 한의학 운동도 변희재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8] 좌파성향을 표방하는 회의주의 커뮤니티 ' 자유사상가'가 한때 있었는데 워낙에 영세한 데다 내부분열로 인해 폐쇄되었다. 이 사이트의 탄생 자체는 앞서 제시된 DC 링크와도 무관하지 않다. [9] 대표적으로 앨런 소칼의 지적 사기 사건의 앨런 소칼 교수는 본인 스스로 마르크스주의 좌파라고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