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08:15:55

과잉수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 배수 배수 · 약수( 소인수) · 소인수분해( 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잉여역수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 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 대수적 정수론/심화)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 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약수의 합에 따른 자연수의 분류
자기 자신과의 비교 과잉수 완전수 부족수
일부의 합 사슬 주기 1 주기 2 주기 3 이상
진약수의 합 완전수 <colbgcolor=#fff,#1c1d1f> 친화수 <colbgcolor=#ddd,#333> 사교수
비자명 진약수의 합 <colbgcolor=#000> 준완전수 혼약수 준사교수
진약수의 합의 약수 초완전수 ? ?
기타 반완전수 괴짜수 불가촉 수



1. 개요2. 성질
2.1. 과잉수의 합과 차로 표현되는 정수2.2. 약수의 개수가 n인 과잉수2.3. 자연수 n과 서로소인 과잉수2.4. 과잉수의 비율
3. 기타
3.1. 1000 이하의 과잉수 목록

1. 개요

/ abundant number

자연수 [math(n)]에 대하여, [math(n)]의 모든 진약수[1]들의 합이 [math(n)]보다 크면 [math(n)]을 과잉수라고 한다. 즉, 약수의 합이 [math(2n)]보다 크면 과잉수인 것이다. 약수 함수(divisor function)를 이용해 나타내면 다음을 만족하는 자연수 [math(n)]을 말한다.

[math(n<\sigma_1\left(n\right)-n)][2]

또는 이 식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2n<\sigma_1\left(n\right))]

2. 성질

2.1. 과잉수의 합과 차로 표현되는 정수

여기서 a, b는 2 이상의 자연수이다.

2.2. 약수의 개수가 n인 과잉수

약수의 개수가 n인 과잉수는 n의 값에 따라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유한히 존재할 수도, 무수히 많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a, b, c, d, e는 소수이고, a≠b, c>2, e>3이다.)

2.3. 자연수 n과 서로소인 과잉수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n과 서로소인 과잉수는 무수히 많다. 다만 n을 적절히 잡는 순간 가장 작은 과잉수는 무시무시하게 커진다. 예를 들어 n = 2인 최소의 과잉수는 945이지만, n = 6[17]일 때는 5,391,411,025이고, n = 30[18]일 때는 20,169,691,981,106,018,776,756,331이며, n = 210일 때는 무려 49,061,132,957,714,428,902,152,118,459,264,865,645,885,092,682,687,973이다.

2.4. 과잉수의 비율

1부터 n까지의 과잉수의 개수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 과잉수의 개수 비율
100 22 22%
200 46 23%
500 121 24.2%
1,000 246 24.6%
2,000 493 24.65%
5,000 1,239 24.78%
10,000 2,488 24.88%
20,000 4,953 24.77%
50,000 12,394 24.79%
100,000 24,795 24.80%
200,000 49,481 24.74%
500,000 123,779 24.756%
1,000,000 247,545 24.755%
2,000,000 495,036 24.752%
5,000,000 1,238,015 24.760%
10,000,000 2,476,737 24.767%
20,000,000 4,953,984 24.770%
50,000,000 12,382,841 24.766%
100,000,000 24,760,668 24.761%

과잉수의 비율은 처음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 거의 늘어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값에 수렴한다. 이 값은 0.2474 이상 0.2480 이하로 알려져 있다. 수가 커질 때 소인수가 많아지면서 과잉수의 비율도 늘어나려다가 갑자기 줄어들기도 할 것이라는 직관과 충돌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렇진 않다.

과잉수의 비율이 1/6 이하로 떨어지지 않음을 보이는 것은 쉬운데, 완전수인 6을 제외한 6의 배수는 모두 과잉수임을 이용하면 된다. 실제로 n = 24에서 과잉수의 비율이 최초로 1/6 이상이 된 이후로, n = 40에서 비율이 1/6을 초과하면서 더이상 1/6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과잉수의 비율은 n = 7254에서 최대가 되며, 이후 비율은 수렴값을 기준으로 불규칙하게 진동한다. 극대와 극소를 기준으로 과잉수의 개수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 과잉수의 개수 비율
7,254 1,810 24.952%
222,065 54,927 24.735%
16,880,388 4,181,307 24.770%
159,583,505 39,512,681 24.760%

3. 기타

3.1. 1000 이하의 과잉수 목록




[1] 자신을 제외한 모든 양의 약수 [2] [math(\sigma_1\left(n\right))]은 [math(n)]의 모든 약수들의 합. 즉, n의 모든 약수의 합에서 n을 빼므로, 진약수의 합이다. [3] 즉 2도 과잉수가 될 수 없다. 참고로 2의 경우에는 소수 중 유일한 짝수이며, 1은 소수에 해당되지 않는다. [4] 진약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진약수의 합을 0으로 보기 때문이다. [5] 6은 합성수이지만 완전수이며, 9는 합성수이지만 부족수다. [6] 동시에 홀수의 첫 번째 반완전수이다. [7] 반완전수는 진약수의 합으로 표기될 수 있는 경우가 한두 가지 밖에 없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어떤 과잉수 자기자신과 동일하게 만드는 방법이 3가지 이상인 것도 많이 있다. 즉 괴짜수는 그러한 방법이 단 한 가지도 없는 과잉수이다. [8] 6n(n은 2이상의 자연수)은 반드시 진약수로 1, 2, 3, 6, n, 2n, 3n을 가지므로 이들의 합만 해도 이미 1+2+3+6+n+2n+3n=6n+12>6n이다. [9] 원시 과잉수 [10] 가장 작은 원시 과잉수는 20이다. [11] 원시 반완전수 [12] 2n-1×p [13] 2개 이상의 과잉수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한 가장 작은 수는 24, 서로 다른 과잉수의 합으로만 한정하면 30이다. [14] 후술하겠지만 977은 945+20+12로 나타낼 수 있다. [15] a=2이면 997 [16] b=2이면 977 [17] 홀수이면서 3의 배수가 아닌 수 [18] 홀수이면서 3의 배수도 아니고 끝자리가 5가 아닌 수 [19] 메르센 수 M(12)=212-1로, 메르센 수 중 첫 과잉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