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14:42:18

배수(수학)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 배수 배수 · 약수( 소인수) · 소인수분해( 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잉여역수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 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 대수적 정수론/심화)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 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1. 개요2. 배수 판별법
2.1. 법칙
3. 관련 문서

1. 개요

/ Multiple

어떤 정수의 ‘정수 배’가 되는 정수.[1] 예를 들어, [math(4)]는 [math(2)]의 두 배이므로 [math(4)]는 [math(2)]의 배수가 된다. 수학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초적인 것은 5학년 올라와서 배우지만, 중학교 입학하게 되면 더 심화된 내용으로 나온다.
정수 [math(a)]가 정수 [math(b)]의 배수가 된다는 것은 어떤 정수 [math(k)]가 존재하여 [math(a = kb)]가 성립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수는 음수에 대하여도 정의된다.[2] 예를 들면, [math(-6)]은 [math(3)]에 [math(-2)]를 곱한 것이므로 [math(-6)]은 [math(3)]의 배수이다. [math(0)]은 [math(3)]에 [math(0)]을 곱한 것이므로 [math(0)]도 [math(3)]의 배수가 된다. 그리고 원래 [math(0)]은 모든 정수의 배수이다. 왜냐하면 임의의 정수 [math(b)]에 대하여 [math(b * 0 = 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math(0)]의 배수는 정의되지 않는다.

정수 [math(a)]가 정수 [math(b)]의 배수이면 [math(b)]는 [math(a)]의 약수이다.

두 개의 정수 [math(a)]와 [math(b)]에 대해서, [math(a)]가 [math(b)]의 배수이면, [math(b)]|[math(a)]로 표기한다.

2. 배수 판별법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소수의 거듭제곱이 아닌 합성수의 판별법은 특별한 방법(두 수 이상의 공배수임을 이용하는 것 이외의 방법)이 없는 한 서술하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소수의 거듭제곱이 아닌 합성수의 판별법은 특별한 방법(두 수 이상의 공배수임을 이용하는 것 이외의 방법)이 없는 한 서술하지 않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어떤 자연수의 배수들은 공통된 성질을 띄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직접 나누기에는 큰 정수가 어떤 자연수의 배수인지 아닌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정수 0은 모든 정수의 배수기도 하고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래의 방법에서 제외한다. 두 자리 이상의 합성수 배수(2의 거듭제곱수, 10 제외)에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였다.

다음 제공되는 수를 약수로 가지면서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 작성하지 않았다.
어떤 수가 합성수의 배수인지 아닌지 판정하려면 해당 수의 유니타리 약수[3]의 배수 판정법들을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84의 경우는 2^2(=4), 3, 그리고 7의 공배수임을 이용하면 된다.
끝 자리와 관련된 판별법

자릿수 각각의 합/차와 관련된 판별법



초중생 학습서에서 배수 판정법을 소개할 때 7의 배수 판정법은 없다고 못박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있다. 다만, 7의 배수판정법은 까다로움이 13 이상의 큰 소수의 배수판정법과도 맥을 같이 하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이다. 7의 배수 판정법을 소개한 네이버캐스트 수학산책의 글

한편, 임의의 수를 소수의 곱 꼴로 바꿀 수 있는데 이를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달리 말하면 배수는 소인수분해의 이다.

2.1. 법칙

배수 판정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성립한다.

3. 관련 문서



[1] 유리수부터는 [math(0)]을 제외한 모든 수가 배수가 된다. [2] 단,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양의 정수로 한정하고 있다. [3] 해당 수의 약수로 나눈 몫이, 그 약수와 서로소일 때에 부르는 이름이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4] 달력에서 윤년 판별도 이것을 가지고 한다. 여기에 해당되는 해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2월 29일이 있다. [5] 예를 들어 64는 십의 자리를 2배하면 6×2=12이고 여기에 4를 더하면 16인데 백의 자리가 없고 16이 8의 배수이므로 64는 8의 배수다. 또, 768은 십의 자리를 2배해서 일의 자리를 더하면 6×2+8=20인데 백의 자리(7)가 홀수이고 20이 4의 배수이되 8의 배수가 아니므로 768은 8의 배수다. [6] 예: 이 방법으로 65536이 16의 배수인지 확인한다면 a는 끝의 두 자리인 36으로 b는 끝의 네 자리 중 앞의 두 자리인 55로 놓는다. 55를 4로 나눈 나머지는 3이므로 그 3에 4를 곱한 12를 a에 더하면 36+12=48. 그리고 48은 16의 배수이므로 65536은 16의 배수임을 알 수 있게 된다. (65536÷16=4096) [7] 이래서인지 10의 배수가 제일 간단하다, 다르게 보자면, 5의 배수 중 짝수인 수, 즉 2와 5의 공배수다. [8] 예를 들어 825는 각 자릿수의 합이 8+2+5=15이고, 15가 3의 배수이므로 825는 3의 배수다. 그러나 961은 각 자릿수의 합이 9+6+1=16이고, 16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961은 3의 배수가 아니다. [9] 예를 들어 765는 각 자릿수의 합이 7+6+5=18이고, 18이 9의 배수이므로 765는 9의 배수다. 그러나 573은 각 자릿수의 합이 5+7+3=15이고, 15가 9의 배수가 아니므로 573은 9의 배수가 아니다. [10] 9581=11×871, (9+8)-(5+1)=11 [11] 참고로 이것은 짝수 자릿수를 가진 대칭수가 모두 11의 배수인 이유인 동시에 짝수 자릿수를 갖는 회문 소수는 11이 유일한 이유이기도 하다. [12] 예를 들어 165는 16-5=11, 253은 25-3=22 등 [13] 큰 수의 경우 3의 배수처럼 계속 반복해도 되는데, 일의 자리를 빼서 나온 수가 11의 배수라면 그 수 역시 다시 일의 자리수를 뺀 값이 11의 배수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11^6=1771561의 경우 177156-1=177155. 다시 17715-5=17710. 17710은 그대로 1771. 177-1 = 176이고 17-6=11 식이다. [14] 예를 들어 876은 각 자릿수의 합이 8+7+6=21인 3의 배수이면서 짝수이므로 876은 6의 배수다. 그러나 315는 각 자릿수의 합은 3+1+5=9인 3의 배수이지만 홀수이므로 6의 배수가 아니다. 또한 346은 짝수이지만 각 자릿수의 합이 3+4+6=13으로 3의 배수가 아니므로 346은 6의 배수가 아니다. [15] 이 방법은 '스펜스의 방법'이라고도 불린다. [16] k는 임의의 수로 정해지지 않은 불특정 수이다. [17] 1001로 예시를 든다면 1001 → 100-(1×2) = 98 = 7×14 [18] 이 방법은 7이 1001의 약수임을 이용한 것으로 1001 및 1001의 다른 약수인 11, 13, 77, 91, 143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19] 6579로 예시를 든다면 65-(79×3) = 65-237 = -172 = 43×-4. [20] 235로 예시를 든다면 2×6+35=47 [21] 이런 수는 n진법에서 역수를 소수(decimal number)로 표기하면 순순환소수로 나온다. 그리고 그 순환마디를 그 수에 곱하면 nk-1가 나온다. [22] 예를 들어 10진법에서 23의 배수 판정법을 이런식으로 판별하려면 1÷23의 순환마디가 22자리이므로 22자리씩 끊어야 된다. [23] 예를 들면 97의 경우 역수의 순환마디가 96자리이므로 이 방법을 적용하려면 48자리씩 끊어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