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08

게티어 문제

어떤 사람이 주어진 명제 안다는 것의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가 근 수 년간 이루어진 바 있다. 그 시도들은 대개 다음 형식과 유사하게 제시될 수 있다:

(a) S가 P를 안다 iff (i) P가 이다 (ii) S가 P를 믿는다 (iii) S가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

나는 (a)의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것이 곧 S가 P를 안다는 명제가 참이 되기 위한 충분조건을 구성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a)가 거짓임을 논하겠다.

나는 (a)에 제시된 조건들이 어떤 명제에 관하여 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사람이 그 명제를 안다는 것은 거짓인 사례 두 가지를 제시해보겠다.

1. 개요2. 의 JTB 조건
2.1. 반례 12.2. 반례 2
3. 영향4. 둘러보기

1. 개요

Gettier Problem, The JTB Theory[1]

미국 철학자 에드먼드 게티어(Edmund Gettier, 1927~2021.03.23)가 1963년에 학술지 『Analysis』에 게재한 논문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지식인가?(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2] 한국어 번역은 여기서 볼 수 있다]에 등장하는 영미 인식론의 난제 혹은 역설. 게티어는 이 적은 분량의 논문에서 새로운 개념의 인식론 문제를 제시하였다. 다만 이와 비슷한 문제제기가 가까이는 버트런드 러셀, 멀게는 8세기 인도 철학자인 다르못타라나 14세기 이탈리아 철학자인 만토바의 피에트로 알보이니를 통해 이미 이루어진 바 있다는 철학사적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3]

저자인 에드먼드 게티어가 남긴 저작은 이 논문을 제외하면 거의 없지만 그 이름은 철학사에 영원히 남게 되었다.[4]

2. 의 JTB 조건

게티어는 플라톤의 『 테아이테토스』 및 『 메논』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 혹은 " 지식"의 전통적인 정의가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라고 파악한다. 위의 세 가지 조건("justified", "true", "belief")의 앞 글자를 각각 따서 만든 줄임말이 이른바 지식의 "JTB 조건"이며, 앎은 이 JTB 조건과 필요충분조건의 관계에 있다고 믿어졌다.

하지만 게티어는 이런 JTB 조건은 만족하지만, 앎이 아닌 사례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즉 JTB 조건의 진리집합을 A, 앎의 진리집합을 B라 하였을 때, A-B에 속하는 반례가 있다고 말한 것이다.

2.1. 반례 1

스미스와 존스가 입사 시험을 보고 있는 중이다. 그 와중에 스미스는 면접관이 존스를 뽑을 거라고 말하는 것을 엿들었다. 그리고 스미스는 존스의 호주머니에 동전이 10개 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스미스는 이렇게 생각했다:
(가) '일자리를 잡는 사람의 호주머니 안에는 동전이 10개 있다'
그런데 사실 알고 보니 면접관이 실제로 뽑기로 결정한 사람은 스미스였다. 그리고 스미스 자신은 몰랐지만 스미스 호주머니 안에도 동전이 10개 들어 있었다. 이때 명제 (가)는 JTB 조건들을 모두 만족한다. 하지만 현 사례에서 스미스가 (가)를 "알았다"고 보는 것은 직관적으로 부당해보인다. 따라서 현 사례는 JTB가 앎의 충분조건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례가 된다.

2.2. 반례 2

스미스는 존스가 포드 차를 몰고 다니는 것을 자주 봤고 최근에 차를 얻어탄 적도 많아 존스한테 포드 차가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스미스 친구 중에 방랑벽이 있어 도통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브라운이라는 친구가 또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미스는 무작위로 한 장소를 정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나) '존스가 포드 차를 갖고 있거나, 혹은 브라운은 지금 바르셀로나에 있다'
그런데 사실 존스의 포드는 렌트카였다. 그리고 사실 어쩌다 보니 브라운은 정말로 바르셀로나에서 여행중이었다. 이때 명제 (나)는 JTB 조건들을 다 만족시키는 것 같다. 하지만 스미스가 (나)를 "알았다"고 보는 것은 직관적으로 부당해보인다. 따라서 현 사례 또한 JTB가 앎의 충분조건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례가 된다.

3. 영향

그저 사소한 개념적 퍼즐 혹은 말장난이라고 보일 법한 이 사안은 시간이 갈 수록 점점 큰 파급력을 낳기 시작했다. 왜냐면 위와 같은 반례를 차단하기 위하여 JTB 조건을 강화하거나, 혹은 JTB 조건 외의 제 4의 조건을 추가할 때마다 예측하지도 못했던 온갖 부적합한 귀결들이 튀어나오는 불상사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에 해당 난제는 그냥 학계에서 "게티어 사례(Gettier Case)", 혹은 "게티어 문제(Gettier Problem)" 같은 말로 통한다.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 십년에 걸친 이런 몸부림의 역사는 현대 인식론 관련 교과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다.

이를테면 게티어 사례를 접했을 때 제일 먼저 나올법한 진단은 "거짓인 전제나 증거가 있어서는 안된다."라는 제4의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다.[7] 종종 "거짓 전제 부재 조건"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제4의 조건은 게티어가 처음으로 제시한 두 사례 (ㄱ)과 (ㄴ)을 성공적으로 차단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JTB+거짓 전제 부재 조건)이 앎의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면서도 원 게티어 사례와 충분히 유사한 여러 반례들이 제시되었다. 이로써 거짓 전제 부재 조건이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은 일찌감치 널리 받아들여졌다.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해당 항목 참조.

관련하여 연구가 하도 오래, 그리고 많이 이루어진 나머지 21세기 현재에는 게티어 문제와 관련된 담론들을 "게티어학(Gettierology)"라고 부르며 아예 쉰 떡밥으로 간주하는 시각도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게티어 문제로부터 '인식적 정당성', '지식' 같은 여러 인식론적 개념들 자체에 관하여 전혀 새로운 인식론적 시각들과 논쟁들이 촉발되었다는 점만큼은 대부분이 인정하는 점이다.

4. 둘러보기


[1] Justified True Belief. [2] Edmund L. Gettier,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Vol. 23, pp. 121–23 (1963) 전문은 이 링크에서 읽을 수 있다 [3] 스탠퍼드 철학 백과 Samir Chopra 교수의 글 [4] 역설적이게도, 게티어 본인은 사실 '게티어 문제'를 딱히 중대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1963년 논문도 연구 업적 재촉 때문에 마지못해 출판한 것에 가깝다고 알려져 있다. # 비록 출판된 저작은 거의 없지만, 게티어의 주 연구주제는 양상논리와 관련된 다양한 철학적 주제들이었으며 이러한 연구 성과들은 여러 제자들에게 계승되었다. # [5] 현대에는 '인식적 정당화에 대한 오류가능주의(fallibilist) 전제'라고 자주 불린다. [6] 현대에는 '인식적 폐쇄성(epistemic closure) 원리'로 자주 불린다. [7] 이는 실제 철학사에서도 게티어의 논문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나온 반응이다. Clark, Michael, 1963, “Knowledge and Grounds. A Comment on Mr. Gettier’s Paper”, Analysis, 24(2): 46–48. doi:10.2307/332706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