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2월 23일 (일)3.2. 2월 25일 (화)3.3. 2월 26일 (수)3.4. 2월 27일 (목)3.5. 2월 28일 (금)3.6. 2월 29일 (토)3.7. 3월 1일 (일)3.8. 3월 2일 (월)3.9. 3월 3일 (화)3.10. 3월 4일 (수)3.11. 3월 5일 (목)3.12. 3월 6일 (금)3.13. 3월 7일 (토)3.14. 3월 8일 (일)3.15. 3월 9일 (월)3.16. 3월 10일 (화)3.17. 3월 11일 (수)3.18. 3월 12일 (목)3.19. 3월 13일 (금)3.20. 3월 14일 (토)3.21. 3월 15일 (일)
TV조선 뉴스특보 시절때는, TV조선 뉴스특보가 아닌 뉴스 프로그램들도 정치 이슈가 하나라도 있다면 어김없이 뉴스특보로 편성되고,
TV조선 저녁 뉴스 7를 비롯한 일부 뉴스 프로그램도 어쩌다가 원래의 뉴스 제목으로 방송되어도 왼쪽 위나 왼쪽 아래의 뉴스 이름 로고가 뉴스특보로 바뀌는 등 은근슬쩍 뉴스특보로 전환된다. 이런 경우는 원래 제목의 뉴스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를 제공하지만 가끔씩 원래 뉴스가 없는 시간대에도 뉴스특보를 편성하는 때가 있어서, 뉴스특보 전용 홈페이지를 따로 두고 있다.
그런데 정말 시시콜콜한 내용도 긴박하게 보도한다.
앵커의 목소리 톤 뿐만 아니라 뉴스특보에 출연하는 패널들까지 그 어떤 내용도 매우 긴박하게 보도한다. 시시콜콜한 뉴스를 과장시켜 표현하고, 긴급상황 처럼 포장하는 능력 덕분에 진짜 아무래도 상관없는 내용조차 긴장의 끈을 붙잡고 시청할 수 있다.
TV조선에서 뉴스특보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2011년 개국 이후 2012년까지 종편 중 평균 시청률 4위를 기록하던 TV조선은 2012년 하반기에 이른바 '대선전문채널'을 표방하면서 대선 관련 뉴스특보의 비중을 늘렸는데, 당시
JTBC를 제치고 평균 시청률 3위로 올라서는 등의 시청률 상승 효과를 얻었다. 이에 TV조선은 2013년에 마침
2013년 북한의 전쟁 위협 등 정치이슈가 풍부해지자
엄성섭 앵커와 기자들을
아낌없이 갈아넣어(…) 거의
보도전문채널에 준할 정도로 뉴스특보의 편성을 늘렸고, 보수 성향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어 주목을 끄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다른 종편들과 지상파[1]까지 TV조선식 뉴스특보를 따라하기 시작하고,
북한얘기를
사골처럼 우려내다 보니, 사람들의 관심까지 멀어지기 시작했다. 그렇게 2014년 초반에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으나,
세월호 참사로 주목을 받게 된
유병언과
구원파소스로 다시 확 뜨게된다.
프로그램 특성상 보수 성향의 중장년층을 결집시켜 TV조선의 시청률 상승을 이끌었으나, 진보 성향의 시청자들에게 매우 큰 반감을 사고 있기도 하다. 다만 웬만한 보수 성향의 시청자들도 마음에 들어하진 않고, 심지어 극우들은 좌파 성향의 방송이라고 까고있다.
2017년 전후로 채널 성향 자체가 온건해 지면서, 기존의 노선과는 다르게 뉴스특보를 자제하고 있다. 정말 급박한 상황이 아니면 뉴스특보도 잘 안해주는 상황. 현재는 비교적 가벼운 대통령 축사나 코로나 바이러스 발표 등의 상황에는, 지상파보다 뉴스특보를 잘 안해주다 보니, 한국판
TV 도쿄라는 소리까지 나올 정도.
재허가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인지라, 뉴스특보를 자제하며 보도 량을 평소와 같이 유지하고 있었지만 사태가 점점 커지면서 뉴스특보의 분량이 늘어났다. 3월 12일부터는 주중 오후 1시부터 6시간 연속으로 편성하던 뉴스특보를 없앴다. 아무래도 재허가 시점이 얼마남지 않아서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