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7:29:51

J2리그

J리그 디비전 2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J리그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J2리그/2024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20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
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
파일:V-파렌 나가사키 로고.svg
파일:사간 도스 로고.svg
파일:카탈레 도야마 로고.svg
파일:도쿠시마 보르티스 로고.svg
파일:미토 홀리호크 로고.svg
파일: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로고.svg
파일:베갈타 센다이 로고.svg
파일: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로고.svg
파일:몬테디오 야마가타 로고.svg
파일:레노파 야마구치 로고.svg
파일:에히메 FC 로고.svg
파일:RB 오미야 아르디자 로고.svg
파일:오이타 트리니타 로고.svg
파일:FC 이마바리 로고.svg
파일:이와키 FC 로고.svg
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
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
파일:후지에다 MYFC 로고.svg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파일:J3리그 로고(가로형).svg
}}}}}}}}}}}} ||

파일:일본축구협회 로고.svg
일본의 축구 리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J1리그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J2리그

파일:J3리그 로고(가로형).svg
J3리그

파일:일본 풋볼 리그 심볼.svg
JFL

파일:jrcl.png
일본 지역 축구 리그
}}}}}}}}}
J2リーグ
파일:J2리그 엠블럼.svg [1]
<colbgcolor=#007945><colcolor=#fff> 정식명칭 明治安田生命J2リーグ
메이지 야스다 생명 J2리그
영문명칭 J2 League
창설년도 1999년 (J리그 디비전 2)
2015년 (J2리그)
참가 팀 수 20개팀
상위 리그 J1리그
하위 리그 J3리그
타이틀 스폰서 파일:Meiji_Yasuda_Life_logo.png
최근 우승팀 시미즈 S펄스 (2024)
최다 우승팀 콘사도레 삿포로 (3회)
웹사이트 파일:J리그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1. 개요2. 출범 이후 팽창과정3. 우승 트로피4. 역대 시즌 결과
4.1. 2012 시즌
4.1.1. 2012 시즌 결과
4.2. 2013 시즌
4.2.1. 2013 시즌 참가팀4.2.2. 2013 시즌 결과
4.3. 2014 시즌
4.3.1. 2014 시즌 참가팀4.3.2. 2014 시즌 결과
4.4. 2015 시즌
4.4.1. 2015 시즌 참가팀4.4.2. 2015 시즌 결과
4.5. 2016 시즌
4.5.1. 2016 시즌 참가팀4.5.2. 2016 시즌 결과
4.6. 2017 시즌
4.6.1. 2017 시즌 참가팀4.6.2. 2017 시즌 결과
4.7. 2018 시즌
4.7.1. 2018 시즌 참가팀4.7.2. 2018 시즌 결과
4.8. 2019 시즌
4.8.1. 2019 시즌 참가팀4.8.2. 2019 시즌 결과
4.9. 2020 시즌
4.9.1. 2020 시즌 참가팀4.9.2. 2020 시즌 결과
4.10. 2021 시즌
4.10.1. 2021 시즌 참가팀4.10.2. 2021 시즌 결과
4.11. 2022 시즌
4.11.1. 2022 시즌 참가팀4.11.2. 2022 시즌 결과
4.12. 2023 시즌4.13. 2024 시즌
5. 연도별 결과6. 관련 문서7.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 프로축구 J리그의 2부격인 대회로 1999년에 도입되었다. 2013 시즌까지는 J리그 디비전 2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J2는 약칭이었으나 2014년부터 정식 명칭이 J2리그로 바뀌었다.[2]

과거 22개 구단이 참여했을 시절에는 팀당 경기가 정규리그만 포함해도 42경기나 되어서 상당히 빡빡한 일정을 소화했다. 이 때문에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감독이었던 윤정환은 2020 시즌을 소화하고 귀국한 뒤 자가격리 14일을 제외한 단 3일간만 가족들과 지낸 뒤 일본으로 출국했을 정도. # 2024년부터는 J1, J2, J3 모두 20개 구단이 참여하여 팀당 38경기를 가진다.

2008시즌까지 J리그 승강결정전이라 하여 J리그 16위팀과 J2리그3위팀이 홈&어웨이 경기를 펼쳐 승자가 J리그에 잔류(혹은 승격)하는 경기가 있었다.
하지만 2009시즌 J2리그 팀이 18개팀으로 늘어나자 플레이오프 없이 승격직행/강등직행으로 제도가 변화되었다. 2012시즌엔 J2리그 팀이 22개팀으로 되면서 잉글랜드 풋볼 리그 챔피언십처럼 상위 2개 팀은 J1 승격직행하고 차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승격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승격 PO에선 무승부시 연장전과 승부차기가 없고 정규리그 순위가 높은 쪽이 이긴 걸로 친다고.

2018시즌부터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처럼 J1-J2 승강 플레이오프를 도입, 1,2위 팀들은 J1리그의 17위 18위팀들과 다이렉트로 자리를 바꾸게되고 J2리그 플레이오프를 거쳐 우승한 팀이 J1리그의 16위팀과 한번 더 싸워서 이겨야 승격하도록 제도가 바뀌었다.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가 K1-K2 간에는 홈 앤 어웨이로 양팀이 동등한 조건에서 치러지는 것는 다르게 J1-J2 승강 플레이오프는 J1 플레이오프 참가팀이 홈팀인 단판승부로 치러지고 무승부시 J1 플레이오프 참가팀의 잔류가 된다. 따라서 2018 시즌 이후 도입된 J1-J2 승강 플레이오프는 J1 팀이 유리하다.
2018시즌은 이와타가 도쿄 베르디에게 압승을 거뒀기에 조용히 넘어갔지만, 2019시즌 승강 결정전에서는 논란이 일어났다.
2019시즌 플레이오프 승강 결정전에서 J1쇼난과 J2도쿠시마가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쇼난이 잔류하게 되었는데 도쿠시마의 감독 로드리게스는 큰 불만을 제시했다. 본인들이 리그에서의 승리도 더 많고[3]플레이오프에서 2경기를 더 치르고 왔는데 승강 결정전도 원정에서만 단판으로 치러지고 무승부만 거둬도 승격에 실패하는것은 가혹하다는 것. 일본 축구팬들은 J1리그 팀에게 어드벤티지를 주는건 맞지만, 본인들 홈구장에서 단판으로 경기하는것이 이미 어드벤티지가 주어진 것이니 무승부라면 연장이나 승부차기까진 가야하지 않냐는 의견이 많다. 또한 우리나라와 독일같이 J1어드벤티지를 없애버리고 중립지역 단판이나 홈, 원정 모두 치르는 게 어떻냐는 의견도 많다.[4]
J리그 협회는 이러한 비판을 인식했는지 승강전 제도의 변경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지만, 2020시즌은 현 제도를 유지하는게 확정되었다.

2012시즌부터 J1 라이센스제가 도입되어 J1 라이센스를 취득해야만 승격이 가능하도록 규정되었다. J1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한 팀은 성적상 승격이 가능하더라도 승격할 수도 없고 승격 플레이오프도 참가하지 못한다. J1 라이센스 미취득 팀이 승격권 안에 들어가도 자동 승격권 또는 승격 PO 참가 자격이 차순위 팀에게 승계되지 않는다.
실제 사례가 두 건 있다. 2014시즌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정규 시즌을 5위로 마쳐서 성적상으로만 본다면 승격 PO 참가가 가능했는데도 J1로 승격하기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J1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하여 승격 PO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자리는 정규 시즌 7위를 차지한 오이타 트리니타에게 승계되지는 않고 그 대신 정규 시즌 3위를 차지한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를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시키는 것으로 처리되었다. 2018년에는 J1 라이센스가 없는 마치다 젤비아가 4위를 차지하는 바람에 승격 플레이오프가 3위 요코하마 FC가 5위 오미야 아르디자와 6위 도쿄 베르디의 승자와 경기를 갖는 식으로 바뀌었다.

하부리그인 J3리그와의 승강제를 실시하고 있다.(그 전에는 JFL리그와의 승강제 시행) 2017년부터 21~22위는 곧바로 J3리그 1~2위와 자리를 맞바꾼다. (그 전까지는 J2 21위-J3 2위 간 승강 플레이오프 실시) 단, J3리그 우승팀이나 준우승팀 중 어느 한 팀 이상이 J2 라이센스가 없어서 승격할 수 없는 경우 이렇게 처리된다.
평균관중수는 2018년에 7천명을 돌파했다.

2. 출범 이후 팽창과정

1999년 처음 10개팀 규모로 창설되었다. 1998시즌 J리그에서 강등된 콘사도레 삿포로와 1998시즌 JFL에서 승강 결정전에 나갔다가 승격에 실패한 가와사키 프론탈레, 그리고 JFL 시즌을 소화했던 나머지 15팀 중 프로화를 한 8팀이 신규로 참여하며 구성되었다. 다음은 원년 J2리그 10개팀 목록이다.
1999 J리그 디비전 2 구성 멤버
JFL 우승 JFL 2위[5] JFL 3위 JFL 4위 JFL 6위
FC 도쿄 가와사키 프론탈레 몬테디오 야마가타 반포레 고후 오이타 트리니티
舊 도쿄가스 축구단 舊 후지쯔 SC 舊 NEC 야마가타 SC 시민구단 사회인 축구단 모체
JFL 7위 JFL 8위 JFL 11위 JFL 12위 1998 J리그 강등팀
베갈타 센다이 사간 도스 알비렉스 니가타 오미야 아르디자 콘사도레 삿포로
舊 브럼멜 센다이 舊 도스 퓨처스 舊 니가타 일레븐 SC 舊 NTT 간토 SC -


도쿄가스 축구부, 몬테디오 야마가타, 반포레 고후, 오이타 FC, 브럼멜 센다이, 도스 퓨쳐스, 알비렉스 니가타, 오미야 아르디자가 JFL에서 합류했으며 도쿄가스 축구부는 FC 도쿄, 오이타 FC는 오이타 트리니타, 브럼멜 센다이는 베갈타 센다이, 도스 퓨쳐스는 사간 도스로 구단명을 바꾸고 프로화했다. 당시 성적순으로 상위 9개팀에게 우선적으로 J리그 디비전 2 참가 권한을 주었지만 1998시즌 JFL 리그 5위를 차지한 혼다 자동차와 9위 오츠카 FC 보르티스 도쿠시마가 프로화에 난색을 표했고, 이어 기회를 얻은 10위 덴소 SC도 프로화를 포기, 알비렉스 니가타와 오미야 아르디자가 원년 구단으로 프로 2부리그에 참여할 수 있었다.[6]

출범 후 J리그 디비전 2는 신규팀이 빠르게 늘며 팽창하게 된다. 모두 JFL에서 그 전시즌 일정수준의 성적을 내고 프로화 심사를 통과한 팀들이다. 2009년에 18팀까지 늘어나며 1부리그와의 팀 수를 맞췄고, 2012년에 22개팀 체제가 되어 지금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또한 2012년 JFL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도입하며 리그 최하위가 실업축구인 JFL로 강등될 수 있게 변화했고, 2014년 J3리그가 출범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따라서 2013년 승강플레이오프를 이기고 올라온 카마타마레 사누키가 마지막으로 JFL에서 J2리그로 직행하는 팀이 되었다. 이후의 신규팀들은 J3리그부터 시작하게 된다.

3. 우승 트로피

파일:18943.width-1200.format-webp-lossless.webp

4. 역대 시즌 결과

4.1. 2012 시즌

4.1.1. 2012 시즌 결과

4.2. 2013 시즌

4.2.1. 2013 시즌 참가팀

2013년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표시는 2013년 JFL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3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이상 22개 클럽이 2013 J리그 디비전 2에 참가하게 된다.

4.2.2. 2013 시즌 결과

4.3. 2014 시즌

4.3.1. 2014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3년 JFL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3 J리그 디비전 1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3.2. 2014 시즌 결과

4.4. 2015 시즌

4.4.1. 2015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4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4 J리그 디비전 1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4.2. 2015 시즌 결과

4.5. 2016 시즌

4.5.1. 2016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5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5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5.2. 2016 시즌 결과

4.6. 2017 시즌

4.6.1. 2017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6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6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6.2. 2017 시즌 결과

4.7. 2018 시즌

4.7.1. 2018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7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7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7.2. 2018 시즌 결과

4.8. 2019 시즌

파일:j2_2019_eng.png

4.8.1. 2019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8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8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8.2. 2019 시즌 결과

강등되었음에도 스쿼드를 잘 보존했고 예전에 팀을 지휘했던 넬싱요 감독의 복귀로 가시와 레이솔이 압도적인 성적으로 승격에 성공했다.
치열했던 2위 다툼의 승자는 요코하마 FC가 되었고 항상 승격권을 눈앞에 두고 미끌어진 오미야는 또다시 승격에 실패했다.
2부에서는 줄곧 상위권을 유지했던 후쿠오카가 제대로 몰락했으며 스폰서를 등에 업은 마치다도 전시즌 플레이오프권에 위치했던것과 다르게 시즌 내내 강등권에만 위치했다.
류큐는 홈구장의 이점으로 초반 상위권까지 올라갔으나 이후에는 얇은 스쿼드로 추락하면서 겨우 잔류에 성공했고 류큐를 이끌었던 김종성 감독을 영입한 가고시마는 승격 한 시즌만에 강등당했다.

4.9. 2020 시즌

4.9.1. 2020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20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20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4.9.2. 2020 시즌 결과


리그내내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 도쿠시마가 승격에 성공했다.
시즌초 나가사키와 기타큐슈, 도쿠시마가 승격 3파전을 벌였지만 기타큐슈는 승격팀이라는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일찌감치 승격 전쟁에서 탈락했다. 나가사키가 9월에 무승이라는 처참한 결과를 거둘때 후쿠오카가 치고 올라왔고 결국 후쿠오카가 승격에 성공했다.
마지막 라운드가 후쿠오카와 도쿠시마의 맞대결이었고 둘의 승점차가 3점 차이었던지라 후쿠오카가 승리하면서 승점 동률을 이뤘지만, 그동안의 골득실 차이가 너무 커서 도쿠시마가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내내 수도권 팀들의 부진이 계속되었다. 항상 2부에서는 상위권에 위치했던 오미야가 완전히 몰락하며 감독 교체를 준비중이고 많은 기대를 받으며 입성한 치바의 윤정환 감독은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신 스타디움을 개장한 교토, 전통 명문 이와타, 리그 최고 인기팀인 니가타, 마쓰모토 역시 승격에 실패했다.

강등권의 에히메와 야마구치는 시즌내내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잔류권과의 승점차가 10점 이상까지 벌어졌지만, 강등 면제 제도로 운좋게 살아남았다. 다만 2021시즌은 4팀이 강등될 예정이고 J3리그에서 승격한 아키타가 J2에서도 우승할 수 있는 엄청난 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 전력 보강에 집중해야되는 상황이다.

J1으로 2팀 승격, J3로 4팀이 강등되는 내년 시즌의 변칙 운영덕분에 2021시즌에도 승격 플레이오프는 치러지지 않을 예정이다.

4.10. 2021 시즌

4.10.1. 2021 시즌 참가팀

2021년 2월 27일 개막하여, 2021년 12월 5일 폐막하는 일정으로 진행
총 22개 팀이 참가하며, 우승과 준우승 2개 팀은 J1리그로 승격, 하위 4개 팀은 J3리그로 강등된다.

4.10.2. 2021 시즌 결과

4.11. 2022 시즌

4.11.1. 2022 시즌 참가팀

2022년 2월 19일 개막하여, 2022년 10월 23일 폐막하는 일정으로 진행
총 22개 팀이 참가하며, 우승과 준우승 2개 팀은 J1리그로 승격, 3위부터 6위까지 J1리그 승강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하위 2개 팀은 J3리그로 강등된다.

4.11.2. 2022 시즌 결과

4.12. 2023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J2리그/2023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2024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J2리그/2024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도별 결과

연도 우승 준우승 기타 승격팀
1999 가와사키 프론탈레 FC 도쿄 -
2000 콘사도레 삿포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2001 교토 퍼플 상가 베갈타 센다이 -
2002 오이타 트리니타 세레소 오사카 -
2003 알비렉스 니가타 산프레체 히로시마 -[16]
2004 가와사키 프론탈레 오미야 아르디자 -[17]
2005 교토 퍼플 상가 아비스파 후쿠오카 방포레 고후(3위)
2006 요코하마 FC 가시와 레이솔 비셀 고베(3위)
2007 콘사도레 삿포로 도쿄 베르디 1969 교토 상가(3위)
2008 산프레체 히로시마 몬테디오 야마가타 -[18]
2009 베갈타 센다이 세레소 오사카 쇼난 벨마레(3위)[19]
2010 가시와 레이솔 반포레 고후 아비스파 후쿠오카(3위)
2011 FC 도쿄 사간 도스 콘사도레 삿포로(3위)
2012 반포레 고후 쇼난 벨마레 오이타 트리니타(6위)[20]
2013 감바 오사카 비셀 고베 도쿠시마 보르티스(4위)
2014 쇼난 벨마레 마쓰모토 야마가 몬테디오 야마가타(6위)
2015 오미야 아르디자 주빌로 이와타 아비스파 후쿠오카(3위)
2016 콘사도레 삿포로 시미즈 S펄스 세레소 오사카(4위)
2017 쇼난 벨마레 V-파렌 나가사키 나고야 그램퍼스(3위)
2018 마쓰모토 야마가 오이타 트리니타 -[21]
2019 가시와 레이솔 요코하마 FC -[22]
2020 도쿠시마 보르티스 아비스파 후쿠오카 -[23]
2021 주빌로 이와타 교토 상가 FC -[24]
2022 알비렉스 니가타 요코하마 FC -[25]
2023 FC 마치다 젤비아 주빌로 이와타 도쿄 베르디(3위)
2024 시미즈 S펄스 요코하마 FC 파지아노 오카야마(5위)

6. 관련 문서

7. 둘러 보기



[1] 가로 로고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2] 거의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사실이지만 J리그 또한 정식 명칭은 어디까지나 '일본프로축구리그'이다. [3] 물론 이 발언은 실언에 가깝다는게 일본 축구팬들의 의견이다. 애초에 붙는 상대들의 수준이 다른데. [4] 앞서 J2팀은 플레이오프에서 2경기를 치르기 때문에 J1팀의 어드벤티지가 아예 없는 것도 아니다. [5]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6] 이 중 혼다 FC는 지금까지도 프로화를 거부하며 JFL 무대에서 최강팀으로 군림하고 있다. 덴소 SC는 뒤늦게 J리그 합류를 추진하는 FC 카리야로 인수 재창단되었지만 현재 지역리그에 머무르고 있다. [7] 2012년부터 바뀐 규정에 의하면 3위부터 6위까지 승격 PO에 진출하는데 6위가 승격하기 가장 불리하다. 경영난으로 자금 융자를 받은 어려움을 딛고 PO에서 우승한 것. [8] 우승팀인 나가노 파르세이루는 그 당시 J2 라이센스가 없었다. [9] J3리그 준우승팀 나가노 파르세이루와 승강플레이오프. 사누키가 1승1무를 기록하며 잔류하였다. [10] 1차전 2:1 FC 마치다 젤비아 승, 2차전 0:1 오이타 트리니타 패. 합계 3:1로 패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 좌측이 홈 [11] J3리그 우승팀인 블라우블리츠 아키타가 J2 라이센스를 보유하지 않아 21위를 기록한 로아소 구마모토는 잔류하게 되었다. [12] 우승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는 J2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해 승격에 실패했다. [13]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J1 16위 쇼난 벨마레의 승리로 승격팀은 2팀. [14] 코로나 19사태로 승강 플레이오프가 없어지면서 상위 2팀만 승격 [15] 코로나 19사태로 승강 플레이오프가 없어지면서 상위 2팀만 승격 [16] 이 시즌까지는 결승 진출 팀만 승격할 수 있었다. [17] 처음으로 3위 팀에게도 승격 기회가 주어졌다. 실제 결과는 아비스파 후쿠오카(3위)가 가시와 레이솔(J1 16위)에게 패배하여 승격 실패. [18] 베갈타 센다이(3위)가 주빌로 이와타(J1 16위)에게 패배하여 승격 실패. 2009년부터 2017년까지는 J1 16위와의 승강플레이오프가 폐지되었다. [19] 이 시즌부터 3시즌 동안은 J2 3위 팀이 자동으로 승격하였다. [20] J2 3위 팀의 자동승격을 폐지한 첫 시즌으로 승격 플레이오프를 도입하여 6위 팀에게까지 승격 기회가 주어지게 되었다. [21] 베르디 도쿄(6위)가 주빌로 이와타(J1 16위)에게 패배하여 승격 실패. [22] 도쿠시마 보르티스(4위)가 쇼난 벨마레(J1 16위)에게 비겨 승격 실패. [23]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강등제도 미실시로 승강 플레이오프 없음. [24]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승강팀수 조정으로 승강 플레이오프 없음. [25] 로아소 구마모토(4위)가 교토 상가 FC(J1 16위)에게 비겨 승격 실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