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0:43:44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노선

GTX-G에서 넘어옴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미개통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건설 중인 노선
GTX-B GTX-C
신안산선 동북선 위례선
건설이 확정된 노선
(기본계획 승인)
민투심 통과 노선
동탄 도시철도 대장홍대선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노선
면목선
추진 중인 노선(기본계획 미승인&예타 미통과)
GTX-D GTX-E GTX-F GTX-G
GTX-H 서부선
목동선
부천트램
송도트램 영종트램
기존 노선의 연장선 및 지선 건설 계획은 각 노선 연장 문서 참조.
개통된 전철 노선 보기
}}}}}}}}}

파일:GreatTraineXpress.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A노선부분개통 B노선건설 중 C노선건설 중 D노선추진 중
E노선추진 중 F노선추진 중 G노선추진 중 H노선추진 중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파일:GreatTraineXpress_G.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노선
首都圈 廣域急行鐵道 G路線
GTX Line G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미정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gtxplus.jpg
노선 정보
분류 간선철도, 일반철도
광역철도
지정구간
전구간( 광역급행철도)
차량 분류 중전철( 광역급행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기점 송우역
종점 숭의역
역 수 11개(예정)
구성 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개업일 미정
소유자 미정
운영자 미정
사용차량 미정
차량기지 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 84.7 km
궤간 미정
선로구성 미정
사용전류 미정
신호방식 미정
최고속도 미정
영업속도 미정
표정속도 미정
지상구간 미정
통행방향 미정
개통 예정 미정

1. 개요2. 역사
2.1. 신규노선 계획
3. 신규노선 계획(노선도)4. 상세5.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경기도에서 제안한 수도권 동북부~서부를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2. 역사

2.1. 신규노선 계획

관련기사 2024년 4월 1일 경기도의 GTX 플러스 노선 발표에서 H노선 추가, C노선 오이도역 까지 연장과 함께 공개됐다.

3. 신규노선 계획(노선도)

파일:gtxplus.jpg

4. 상세

논현역에서 건대입구역, 동의정부역에서 포천송우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 구리역에서 별내역은 서울 지하철 8호선의 기존 혹은 건설 중인 구간을 따라간다.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타 GTX 노선처럼 선로 공용 가능성이 점쳐진다. 선로 공유가 현실화될 경우 청담역 가운데 선로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 외에는 급행 대비가 전혀 없는데다 도심구간 배차간격이 좁아서 이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데, 7호선 문서에 나오듯 급행화 논의가 있긴 하다.
숭의역~광명역 구간이 월곶판교선 및 수인선을 따라가지만 신천역을 경유하여 월곶판교선과 선로공용이 불가능하다. 광명시흥지구를 경유하기 위해 이런 계획을 한 것이겠지만 광명시흥지구 구간을 인천 2호선 서울 연장으로 대체하고 이 노선은 경강선 공유로 바꿀 가능성도 있다. 특히 예타 통과가 어려울 경우 B/C값을 높이기 위해 이 방법으로 건설비를 줄이려 할 수 있다.
숭의역에서 끝나는 만큼 제2공항철도와의 직결 가능성이 있는데, 될 경우 제2공항철도의 영종도 구간만 타는 GTX-D, GTX-E와 달리 이 노선은 제2공항철도의 전 구간을 이용하게 된다.[1]

5. 역 목록

역번호 역명 환승
X701 송우역
X702 동의정부역
X703 별내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GTX-B
X704 구리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GTX-E
X705 건대입구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GTX-H
X706 논현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신분당선
X707 사당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GTX-D
X708 광명역 신안산선
경강선
X709 광명시흥역
X710 신천역 서해선
GTX-F
X711 숭의역 수인·분당선

[1] 수도권 전철 1호선 또는 수인분당선은 구배 문제로 직결이 어려울 수 있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구조상 제2공항철도로 직결되는 열차는 신포역을 무정차 통과해야 할 수도 있다. 차라리 이런 문제가 없는 GTX를 제2공항철도와 직결하는 방안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