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7 08:30:22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99 PKO에서 넘어옴
파일:온게임넷 스타리그 로고.svg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Daum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왕중왕전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신한은행 마스터즈
}}}}}}}}}}}} ||

파일:OSL_99_poster.jpg
리그 엠블럼

1. 개요2. 사용 맵3.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사 내 입지 논란4. 기타

1. 개요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오프닝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결승전 오프닝

자세한 대진은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

파일:OSL_99_poster.jpg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맵
파일:external/static2.wikia.nocookie.net/600px-Lost_Temple_SC1_Art1.jpg
파일:external/file2.instiz.net/d1f1c46c0f5ad8dc2bafbcbe545ee0c2.jpg
파일:스노우바운드.jpg
파일:아쉬리고.jpg
로스트 템플 쇼다운 스노우 바운드 아쉬리고

이 대회에서 우승한 최진우 선수는 저그를 베이스로 했지만 맵이나 상대에 따라서 테란이나 프로토스를 선택하기도 했다.[6] 당시 최진우를 상징하던 아이콘은 '물량'이었다. 매 경기 빠른 확장을 바탕으로 끝없이 나오는 저글링, 뮤탈, 히드라, 질럿, 시즈탱크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7]

참고로 당시 월간 깸에서 실시한 우승 후보 예상 투표에서는 378명이 응모하여 54.8%의 이기석이 1위, 2위는 각각 10.1%를 차지한 봉준구와 국기봉이, 4위는 이후 게임 해설가로 활동했던 김창선(8.2%)이 차지했다.

3.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사 내 입지 논란

99 PKO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1회 대회인가의 여부에 대해서 논쟁이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온게임넷과 PKO 측에서 서로 자기들 스타리그에 속한다고 주장하면서 논쟁이 있었고, 두 번째는 첫 번째 논쟁이 사그라든 다음에[8] 온게임넷 안에서 정식 스타리그에 포함시키느냐 아니냐는 논쟁이 있었다.

그러니까 초창기 온게임넷은 99 PKO를 자기들 역사에 어떻게든 끼워 넣으려 애쓰다가 이후엔 지우기를 시도했었다.

다른 스타리그와 달리 PKO 혹은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은 스폰서 명칭이 아니라 대회를 주관하던 회사 혹은 단체에 가까웠다. 테니스 골프에서 US 오픈, 프랑스 오픈 같은 대회 명칭이 일반적이듯, PKO는 스타크래프트에서도 이런 방식을 도입한 회사였다.

원래 투니버스[9]는 스타 대회를 만들 생각이 없었다. 당시 투니버스에서는 EA FIFA 월드컵98 컴붙이기 승부예측 중계[10]를 하였는데 이 프로그램 이름이 <예측!사이버 월드컵>이었다. 시뮬레이팅 목적이었지만 소재는 비디오 게임이었고, 더 나아가 '비디오 게임을 관전한다'라는 요소는 이때부터 포함되었기에, 당시 인기게임이었던 스타크래프트를 관전한다는 개념으로 이어졌다. 이를 계기로 게임중계에 발을 걸치기 시작, 초창기에는 다른 회사에서 주최되던 이런 저런 게임대회를 중계해주곤 했는데 99 PKO도 이런 대회들 중 하나였다. 사실 어떤 대회를 방송국이 주최 한다는 것 자체가 매우 생소한 개념이다.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농구 이런걸 방송국은 그저 중계를 할 뿐 직접 대회를 열지 않는 것을 생각해 보라. 어쨌든 PKO라는 회사에서 대회를 만들고 이를 투니버스를 통해서 중계를 하기로 하였는데 문제가 생겨서 중간에 PKO가 빠지게 되었고 온게임넷이 대회를 떠안게 되어버렸다. 엄재경의 말에 따르면 대회 시작전에 PKO가 빠졌고 투니버스 측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하였다고 주장하지만 그렇다면 왜 대회명에 PKO를 빼지 않았는지 여기에 대한 설명이 되지 않으며 실제 이 지적에 대해서 엄재경은 반박을 하지 못하였다. 엄재경은 프리랜서[11]지 온게임넷 직원도 아니기 때문에 제대로된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도 아니었다.

무엇보다 PKO는 투니버스와 결별한 이후에도 여러 방송국들과[12] 스폰서를 통해서 자신들의 대회를 계속 열어나갔다. 99 PKO의 후속 대회로 2000 PKO도 있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양대리그라고 하면 온게임넷 스타리그 MBC GAME 스타리그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 PKO와 KIGL[13]을 말했다. PKO와 KIGL은 참가 선수들의 반이상이 기업 스폰서가 붙어있었고 경기 숫자도 훨씬 많았고 상금도 온게임넷의 몇 배나 많았다. 당시 PKO와 KIGL의 상금규모[14]가 2억 5천정도 되었는데, 온게임넷이나 MBC GAME에서 이 정도 상금으로 대회를 한 적은 스타판이 문을 닫을 때까지 한 번도 없었다.[15] 심지어 양대리그가 아니라 3대 리그를 말할 때도 KGL이라는 다른 대회가 꼽혔지, 온게임넷은 이름을 올리지 못할 정도였다.[16] 게다가 이 당시에는 케이블 방송 보급률이 지금만큼은 아니었으며, 위에서 말한 지상파 중계는 물론, 지역민방이었던 iTV[17]에서 방영했던 iTV 랭킹전보다도 접하기 어려웠다.

이 PKO가 PKO라는 명칭으로 후속 대회를 계속 이어나갔고 PKO측에서는 99 PKO를 자신들의 1회 대회라고 주장하였기 때문에 어느 쪽으로 승계되는지 애매해져 버린 것이다. 이 당시만 해도 온게임넷 측의 주장이 인정받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PKO 쪽 대회들이 계속 이어졌고 더 크게 흥했기 때문이었다.[18] 그러나 PKO가 한순간에 망해버렸고[19], 이후 온게임넷 측 주장에 반박할 단체가 사라지면서 온게임넷 스타리그 1회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초기에 온게임넷은 99 PKO를 투니버스배 스타리그라고 부르면서 PKO를 계승했음을 주장함과 동시에 제1회 스타리그로 쳐주고 실제로 홍보도 그런 식으로 했다. 그 증거로 3회 대회까지의 우승자/준우승자 6명만 불러서 진행한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에서는 최진우 국기봉을 제1회 대회 우승자/준우승자 자격으로 참가시켰다. 또한 2003 마이큐브 스타리그 결승전에서는 경기전 이벤트 매치로 역대 우승자들 중 4명을 불러 팀밀리 경기를 한 적이 있는데 이때 최진우도 제1회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불려와서 경기를 했다. (이 경기는 최진우/ 이윤열vs 임요환/ 김동수 조합의 팀밀리 경기였다.) 그리고 2005년의 역대 우승자 단체사진에도 최진우가 포함된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이 사진.[20] 물론 이는 e스포츠 언론사에서 찍은 사진이긴 하지만, 온게임넷에서 적어도 그때까지는 제1회 대회로 지속적으로 홍보를 해왔기 때문에 그 영향인 것이다.

이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를 진행하면서 온게임넷이 99 PKO를 1회 대회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다가[21], 나중가서는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는 은근슬쩍 다시 1회 대회로 쳐주는 분위기로 흘러갔다.

2009년 10월에 스타리그 2,000번째 경기를 카운트하면서, 2,000번째 기념 경기 영상에서 스타리그 1번째 경기를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으로 온게임넷이 공식 규정함으로써 역대 첫 스타리그로 정식 확정되는 듯 했으나,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결승전 엔딩 크레딧에서 1회 대회를 99 PKO가 아닌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로 표기함으로써 여전히 애매한 위치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종료 후 영상에서는 첫 스타리그로 99 PKO를 인정했다. 또한 서울 OGN e스타디움에 있던 명예의 전당[22]에도 99 PKO 우승자부터 올라와 있다.

온게임넷 측이 처음에는 자신들의 정통성과 역사성을 주장하기 위해서 최초의 OSL이라고 주장하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99 PKO를 빼더라도 역사성과 정통성이 충분할 정도가 되자 애매한 99 PKO를 지우려고 하였으나 이전까지 초대 대회로 주장하였던 것을 번복하기는 힘들어서 다시 인정하는 쪽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기타



[1] 조작한 프로게이머 김성기와는 동명이인. [2] 프로토스 유저로 패스트 캐리어의 개발자라는 설도 있다. [3] Digamma라는 아이디를 쓰는 프로토스 고수 신길재 선수가 진출해서 박상규와의 1경기를 진행했었다고 한다. 아무튼 그 후 학업 문제로 대회를 포기하고 이기석 선수가 투입됨. 이기석이 처음부터 출전하지 않은 이유로는 예선에서 광탈했다는 말도 있고 방송촬영 일정으로 인해 참가를 못했다는 말도 있다. [4] 저그 유저로 봉준구의 라이벌로 유명했다. 둘이 같은 동네 친구였는데 장경호가 원래 훨씬 잘했고 PC방 가도 유명인이었던 장경호는 돈도 안받았는데 봉준구 한테는 돈을 받았다고 한다. 봉준구는 장경호를 이기기 위해서 기를 쓰고 스타를 했다고... [5] 당시에는 온게임넷 설립 전이다. [6] 당시 특정 맵이 특정 종족에게 너무 유리한 경우가 있었다. 스노우 바운드는 프로토스, 쇼다운은 테란에게 유리하다고 알려 졌기 때문에, 다른 선수들도 맵에 따라, 또는 상대에 따라 다른 종족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7] 물론 이 당시의 물량은 이후의 프로게이머들이 뽑아내는 물량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스타 전술은 계속 발전해 왔다. [8] 정확히는 PKO라는 회사가 망해서 논쟁 상대가 사라짐. [9] 당시 1999년에는 온게임넷은 개국하지 않았고 투니버스에서 게임 방송을 진행하였다. 온게임넷은 그 다음 해에 개국하였다. [10] 대진을 진짜 당시 월드컵처럼 해놓았다. 단순한 컴붙이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좀 어폐가 있는게, 목적은 시뮬레이팅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EA 스포츠 출전 선수 라이센스에 많이 신경을 썼기 때문에 선수 능력치 고증도 비교적 꼼꼼했다고 한다. [11] 참고로 엄재경의 본업은 만화가이다. 사실 투니버스에서 게임 중계를 하게 된 것도 까꿍의 애니화 작업 도중 평소 친분이 있던 황형준 PD를 이곳에서 만나게 돼서 맺어진 것이라고. [12] SBS를 통해서 케이블 방송이 아닌 지상파 중계까지 하였다. [13] 배틀탑이라는 사설 서버가 있는 것으로 유명했고 당시 최고 상금, 최대 규모의 대회였으며, 개인리그와 팀리그의 중간형식을 취했으며 춘하추동 계절별 리그와 계절리그 입상자들 끼리 최강자를 가리는 왕중왕전 방식으로 유명했으며 이 왕중왕전 우승자로 이름을 알린 사람이 다름 아닌 임요환이었다. 온게임넷, MBC GAME과 달리 여기선 왕중왕전이 이벤트전이 아니라 정규리그보다 급이 높은 대회였다. 사실 온게임넷과 MBC GAME이 특이한 것이고 보통의 경우 왕중왕전이 정규 리그보다 상위리그인 경우가 일반적이긴 하다. [14] 1위부터 꼴등까지 상금 전부를 합친 액수 [15] 온게임넷이나 MBC GAME이 제일 상금이 많았을 때에도 총상금 1억 1천~1억 2천 정도였고, KIGL이나 PKO가 건재하던 당시의 온게임넷 총상금은 2천에서 5천 정도 수준이었다. 이러니 당시 유명 선수들은 온게임넷보다 이들 대회를 우선시 했던건 매우 당연했다. [16] KGL의 총상금 규모는 1억 5천 정도였다. [17] 당시 iTV는 유선 방송으로 전국적으로 수신되었다. [18] 20년전에 망한 대회이기 때문에 지금 인지도가 낮은 건 당연하나 당시엔 아니었다. 강도경이나 김동수도 PKO 후속 대회를 통해서 유명해진 케이스. [19] PKO가 망하면서 선수들 상금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할 정도 였고 야반도주를 했다는 소문까지 있었다. PKO 말기에 활약하던 대표적인 선수가 굿게임맨 박현준이었고 상금을 받지 못했다고 PGR21에 글을 쓰기도 하였다. [20] 물론 전부 모인 건 아니다. 당시 시점에도 이미 우승자인 박정석, 강민, 변길섭이 없다. KTF 매직엔스 소속 선수들은 스케줄상 참여하지 못한 듯. [21] 이미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당시 스타리그 1,000번째 경기 카운터 기념 인터뷰에 우승자 최진우가 나왔기는 했다. [22] 본래 용산 e-Sports 스타디움에 있던 것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23] 방송사의 자체 맵 제작이라는 개념 자체가 아직 잡히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인데, 이 당시에는 블리자드의 공식 대회는 물론이고, iTV 열전 게임챔프라는 프로그램에서 주관한 스타크래프트 경기나 같은 방송사에서 주관한 스타크래프트 랭킹전, 고수를 이겨라 등도 블리자드의 공식 래더 맵으로 경기를 치렀었다. 참고로 iTV는 자체 맵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가 다른 방송사에 비해 굉장히 늦었다는 점. [24] 99 PKO나 KPGL 혹은 기타 해외 리그를 우승한다 쳐도 그 나라의 챔피언일 뿐이지만 래더 토너먼트를 우승 하면 세계 챔피언이 된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WCS Global Finals과 비슷하다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