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ab00><bgcolor=#ffab00><color=#0044bd>
국가지원지방도 ||
횡축 | 22 여수 - 순천 · 28 영주 - 동해 · 30 사천 - 대구 · 32 대전 - 문경 · 56 김포 - 인제 · 58 나주 - 부산 · 60 무안 - 기장 · 68 서천 - 경주 · 70 청양 - 춘천 · 78 김포 - 포천 · 82 평택 - 평창 · 84 강화 - 원주 · 86 남양주 - 춘천 · 88 하남 - 영양 · 96 태안 - 청주 |
종축 | 13 신지 - 완도 · 15 고흥 - 영광 · 20 포항 - 영덕 · 23 천안 - 서울 · 37 남원 - 거창 · 39 양주 - 동두천 · 49 해남 - 원주 · 55 해남 - 금산 · 57 대전 - 안양 · 67 통영 - 칠곡 · 69 부산 - 울진 · 79 창녕 - 안동 · 97 서귀포 - 제주 · 99 서귀포 - 제주 |
순환 | 90 울릉 · 98 수도권 |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30 |
}}} | ||
시점 |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수석삼거리 | |||
종점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 | |||
총 구간 | 142.4km | |||
경유지 |
경상남도
사천시,
진주시,
고성군 경상남도 함안군, 창원시 경상남도 창녕군,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
1. 개요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출발하여 대구광역시 서구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대구광역시에서 30번 국도와 만나지만 30번 지방도는 30번 국도와 다르게 주로 남북 방향이다.
대구시내 구간은 지방도로 제대로 표시되지 않아 가창면 용계리가 종점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은근 많다. 또한 경남 구간은 대부분 구간이 다른 지방도나 국도와 중첩되는 구간이다.
함안 ~ 마산 구간과 대구 구간은 교통량이 많다.
2. 노선
2.1. 경상남도
2.1.1. 사천시
2.1.2. 진주시
2.1.3. 고성군
-
영회로
영오교차로에서 연화산 나들목을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오서교차로에서 1009번 지방도와 만난다.
영오면 영오사거리에서 1007번 지방도와 교차
개천면 가천저수지 앞에서 1037번 지방도와 만난다. -
오봉산로
개천면의 청광사거리에서 좌회전. 1002번 지방도와 헤어져서 고성군 개천면 ~ 진주시 이반성면 ~ 함안군 군북면까지 이어진다. 특해 개천면과 이반성면 사이 고개는 헤어핀이 3번 씩이나 나오니 주의해서 넘어야 한다.
2.1.4. 진주시
-
오봉산로
이반성교차로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반성면소재지를 지나고, 억시령을 넘는다. 포털 사이트에는 억시령으로 나와있지만, 참고로 이 곳은 자료에 따라 이름이 중구난방인 고개다. 억시령은 어씨재의 한자 차음 같다. 제산령이라 쓰인 자료도 있고, 확실한 건 그 동네 사람들은 어씨재라고 부른다. 소어석터널 문서 참고. 어씨재는 진주와 함안의 경계로 옛 경전선 철로가 지나갔다. 참고로 이 도로는 이반성면사무소, 이반성교차로 방면으로 가는 지라 함안에서 진주로 갈 때 이 도로를 사용하면 진주시내 갈 때 둘러가 잘 이용하지 않는다. 이 지역의 메인 교통로는 1004번 지방도로, 1004번 지방도는 인근의 사봉면을 거쳐 사봉고개로 지나간다. 참고로 도로 자체는 30번 지방도보다 험하다.
2.1.5. 함안군
- 오봉산로
-
사군로
태실삼거리에서 1004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
함마대로
함안군 군북면부터 가야읍까지는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군북면내를 통과한다.
가야읍에서 79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함주교 앞에서 1011번 지방도와 만난다.
산인면 산인삼거리에서 1021번 지방도와 만난다.
산인역(폐역) 근처 문암삼거리에서 1021번 지방도와 만난다.
2.1.6. 창원시
-
함마대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서 5번 국도와 교차하나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내서JC를 통해 남해고속도로제1지선과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진출입할 수 있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북성로
- 삼호로
-
3.15대로
여기부터 14번 국도와 중복된다.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마산역을 통과한다. -
의창대로
창원역을 통과한다. -
신동읍대로
동읍로 구간은 과거 2차로인데다 스쿨존이 포함되어 시속 30km으로 저속 운행하여야 하여 불편이 많았으나, 2023년 2월 주남저수지를 우회하는 4차로 도로가 완공되어 본포교 앞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의창구 동읍삼거리에서 14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본포교차로에서 60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본포교. 낙동강을 건너가며 창원시 의창구 동읍과 창녕군 부곡면의 경계이다.
2.1.7. 창녕군
2.1.8. 밀양시
-
사명로
무안면에서 1080번 지방도와 만난다.
무안면 신법삼거리에서 1080번 지방도와 만난다. -
창밀로
무안면 동산삼거리에서 24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요고길
원래대로라면 밀양시 청도면에서 청도군 각남면까지 이어저야 되는데 이 구간은 비포장도로다. 소태길, 옥산길이라고 하는 건티재를 넘는 산길로 연결되어 있긴 한데 차량으로 일주 중이었다면 24번 국도와 20번 국도로 우회하거나 비포장도로를 타야 한다.
2.2. 경상북도
2.2.1. 청도군
- 한재로
- 청려로
-
이서로
팔조령터널 - 원래 팔조령을 넘는 길이었으나 팔조령터널을 뚫었다. 이로 인해 대구에서 이서, 풍각 방면으로 갈 때 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 단, 오토바이 및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농기계, 우마차류의 마차, 자전거 이외 원동기, 보행자 등의 통행은 금지되며 팔조령 옛길로 가야한다. 자동차전용도로 지정은 없으나 대구경찰청장 및 경북경찰청장이 도로교통법 제6조를 근거로 통행을 제한한 것이다. 이로 인해 팔조령 옛길은 대구 자덕들의 성지화가 되었지만,[1] 터널을 이용할 수 없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은 불만이 많다. 경찰 측에서는 안전을 이유로 터널 진입을 금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산길로 가는 것이 더 위험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부조리라며 불평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 산길은 가로등도 없고 경사도 높고 커브길도 급격해서 이륜자동차가 다니기 힘든 구간이다. 청도에서 경산가는 25번 국도가 고속화도로 임에도 불구하고 오토바이 통행이 가능한 것을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2.3.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간은 가창로다. 이후 수성구, 남구, 서구를 거쳐 서구에서 5번 국도와 중복되어야 하는데, 대도시 구간이라 노선이 명확하지 않다. 일단 위키백과에서는 가창 - 파동 - 수성못오거리 - 상동교 - 중동교 - 팔레스호텔 - 남구청네거리 - 영대병원네거리 - 서부정류장 - 성당못 - 두류공원네거리 - 이월드 - 두류네거리로 안내하고 있다. 5번 국도를 통해 30번 국도와 간접적으로 이어진다.대구 시내의 다른 국도가 대구 3차 순환선을 따라 지정되어 있는 걸 보면 얘도 신천동로 중동교부터 3차 순환선을 따라가다가 두류공원에서 5번 국도와 만나야 할 것 같지만, 캠프 워커로 인해 중간 구간이 단절된지라.
3. 고속도로/국도 연결 여부
고속도로는 고성군 금곡면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연화산IC와 연결되며, 이후 군북까지는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난다. 이후 남해고속도로 함안IC와 간접연결된다음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과 평행하게 가다가 내서에서 내서IC를 통해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남해1지선과는 기점부터 종점까지 평행하게간다. 이후 의창구 동읍부터 종점까지는 고속도로 음영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고속도로와 연결되지 않는다.국도와는 수석삼거리에서 3번 국도와 분기되며 시작하고, 이후 33번 국도와 교차하고 이반성면까지 국도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반성교차로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하고 함안군북에서 함안읍내까지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마산과 창원시내 구간에서는 14번 국도와 중첩되고 동읍부터 밀양 무안까지는 국도 음영지역을 지난다. 이후 내진리에서 소태리까지 24번 국도와 중첩되고 건티재 넘어 각남에서 이서까지 20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두류네거리에서 5번 국도와 교차하고 26번 국도와는 같은 종점에서 교차하고 30번 국도와 직결되며 끝난다.
3.1. 요약
고속도로는 통영대전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직접교차혹은 간접교차한다.국도는 3번 국도, 33번 국도, 2번 국도, 79번 국도, 14번 국도, 24번 국도, 20번 국도, 5번 국도, 26번 국도, 30번 국도와 간접교차하거나 직접교차하거나 같이 간다.
[1]
실제로 대구 자덕들 사이에서 자전거 중수 통과 의례가 헐티재와 팔조령을 자전거로 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