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9:25:17

2016년 일본 도쿄도지사 선거

일본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49회
2021년 10월 31일
50회
2025년 이전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보궐선거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28일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27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통일지방선거 20회
2023년 4월 9일 23일
21회
2027년 4월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2020년 7월 5일
2024년
2024년 7월 7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16년 일본 도쿄도지사 선거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4년 2월 9일
2014년 도쿄도지사 선거
2016년 7월 31일
2016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7월 5일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
투표율 59.73% ▲ 13.59%p
선거 결과
후보 [[무소속(정치)|
무소속
]]
고이케 유리코
[[무소속(정치)|
무소속
]]
마스다 히로야
[[무소속(정치)|
무소속
]]
도리고에 슌타로
득표율
44.49% 27.40% 20.56%
득표수 2,912,628 1,793,453 1,346,103
당선인
무소속
고이케 유리코

1. 개요2. 선거 일정3. 선거 전 상황4. 후보5. 개표 결과6. 정당별 성적7. 여담

[clearfix]

1. 개요

2016년 7월 31일에 치러진 도쿄도지사 선거. 2014년 도쿄도지사에서 당선된 마스조에 요이치 도쿄도지사가 정치자금 논란으로 인해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사퇴하여 치러졌다.

일본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도쿄도지사가 탄생한 선거이기도 하다.

2. 선거 일정

날짜 실시 사항
2016년 7월 4일 선거 공시
2016년 7월 31일 투표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3. 선거 전 상황

3.1. 자유민주당+ 공명당

자민당, 공명당은 친자민당 성향 마스조에 요이치 도지사가 정치자금 논란으로 사퇴하여 연속으로 자당이 지지한 도지사가 불명예스럽게 사퇴했기 때문에 불리한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후보를 물색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최종적으로 전 총무대신인 마스다 히로야를 공천했다. 한편 고이케 유리코 전 방위대신은 자민당을 탈당하고 독자 출마를 선언했다.

3.2. 민진당+ 일본공산당+기타 혁신야당

연속으로 친자민당 성향 도지사들이 낙마하여 높아진 자민당 심판론을 온전히 받을 수 있는지 주목된다.

민진당은 렌호 참의원 의원을 공천하려고 했으나, 렌호는 2016년 7월 10일에 치러지는 제24회 참원선 출마 문제 등으로 인해 출마를 고사했다. 대신 언론인인 도리고에 슌타로를 혁신정당 단일후보로 공천했다.

저번 선거에 출마한 우쓰노미야 겐지는 독자 출마를 선언했으나, 2016년 7월 13일, 우쓰노미야 겐지 후보가 도리고에 슌타로와 단일화했다.

초반에는 도리고에 슌타로 후보에게 유리한 상황이었지만, 십여년 전 한 제자에게 성추행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지지율이 급락했다.

4. 후보

도쿄도지사 선거 출마 후보
정당 이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다카하시 쇼고
高橋尚吾


[[무소속(정치)|
무소속
]]
다니야마 유지로
谷山雄二朗


[[무소속(정치)|
무소속
]]
사쿠라이 마코토
桜井誠


[[무소속(정치)|
무소속
]]
도리고에 슌타로
鳥越俊太郎
녹색당 그린스 재팬, 도쿄 생활자 네트워크 추천


[[무소속(정치)|
무소속
]]
마스다 히로야
増田寛也
추천


[[무소속(정치)|
무소속
]]
맥 아카사카
マック赤坂
국민주권회
야마구치 도시오
山口敏夫
미래창조경영실천당
야마나카 마사아키
今尾貞夫


[[무소속(정치)|
무소속
]]
고토 데루키
後藤輝樹


[[무소속(정치)|
무소속
]]
기시모토 마사요시
岸本雅吉


[[무소속(정치)|
무소속
]]
고이케 유리코
小池百合子


[[무소속(정치)|
무소속
]]
우에스기 다카시
上杉隆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나나미 히로코
七海ひろこ


[[무소속(정치)|
무소속
]]
나카가와 초조
中川暢三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세키구치 야스히로
関口安弘


타치바나 타카시
三宅紀昭


[[무소속(정치)|
무소속
]]
미야자키 마사히로
宮崎正弘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마오 사다오
今尾貞夫


[[무소속(정치)|
무소속
]]
모치즈키 요시히코
望月義彦


[[무소속(정치)|
무소속
]]
다케이 나오코
武井直子


[[무소속(정치)|
무소속
]]
나이토 히사토
内藤久遠

5. 개표 결과

<rowcolor=#000> 도쿄도지사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고이케 유리코
(小池百合子)
2,912,628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4.49% 당선
마스다 히로야
(増田寛也)
1,793,45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1]
27.40% 낙선
도리고에 슌타로
(鳥越俊太郎)
1,346,10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2]
19.64% 낙선
우에스기 다카시
(上杉隆)
179,63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4% 낙선
사쿠라이 마코토
(桜井誠)
114,17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4% 낙선
맥 아카사카
(マック赤坂)
51,056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8% 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 나나미 히로코
(七海ひろこ)
28,809 7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0.44% 낙선
파일: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로고.png 타치바나 타카시
(三宅紀昭)
27,242 8위


0.42% 낙선
다카하시 쇼고
(高橋尚吾)
16,664 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25% 낙선
나카가와 초조
(中川暢三)
16,584 10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25% 낙선
国民 야마구치 도시오
(山口敏夫)
15,986 11위
국민주권회
0.27% 낙선
기시모토 마사요시
(岸本雅吉)
8,056 1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2% 낙선
고토 데루키
(後藤輝樹)
7,031 1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1% 낙선
다니야마 유지로
(谷山雄二朗)
6,759 1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0% 낙선
다케이 나오코
(武井直子)
4,605 1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7% 낙선
미야자키 마사히로
(宮崎正弘)
4,010 1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6% 낙선
모치즈키 요시히코
(望月義彦)
3,332 1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5% 낙선
未来 야마나카 마사아키
(今尾貞夫)
3,116 18위
미래창조경영실천당
0.05% 낙선
이마오 사다오
(今尾貞夫)
3,105 1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5% 낙선
나이토 히사토
(内藤久遠)
2,695 20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4% 낙선
세키구치 야스히로
(関口安弘)
1,326 2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2%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6,546,362 투표율
59.73%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11,083,306

6. 정당별 성적

6.1. 자유민주당+ 공명당

마스다 히로야 후보가 자민당 심판 여론을 극복하지 못하고 고이케 유리코 후보에게 밀리며 낙선했다. 그래도 혁신야당 단일 후보 도리고에 슌타로 후보보다 높은 득표율을 얻은 점은 위안이 될 수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출마한 고이케 유리코 후보는 무당층과 여성층을 흡수하는데 성공하여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마스다, 도리고에 후보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

6.2. 민진당+ 일본공산당+기타 혁신야당

혁신야당 단일 후보인 도리코에 슌타로는 낮은 인지도와 더불어 선거 동안 불거진 성추행 논란으로 인해 개표 결과 마스다 히로야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낙선해 이번 선거의 최대 패자가 되었다.

7. 여담



[1] 추천 [2] 녹색당 그린스 재팬, 도쿄 생활자 네트워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