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39호[1] | ← | 142호 | → | 143호 |
삼국지연의도 |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
진관사 소 삼존불상 (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2호 | |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興宣大院君 李昰應筆 墨蘭圖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 신문로 2가 2-1, 서울역사박물관)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사군자 / 란도 |
수량 / 면적 | 병풍 1틀(12幅) |
지정연도 | 2002년 3월 15일 |
제작시기 | 1891년( 고종 28년) |
|
<colbgcolor=#29176e>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2] |
[clearfix]
1. 개요
흥선대원군이 그린 묵란도 그림이다. 2002년 3월 1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받았다.2. 상세
1891년( 고종 28년)에 흥선대원군이 유씨 성을 가진 사람의 부탁으로 그린 그림이다. 흥선대원군은 젊은 시절부터 당숙인 추사 김정희에게 글과 그림을 배운 만큼[3], 당대 최고의 예술가로 유명했으며 특히 난을 잘 그리기로 유명했다. 그래서 흥선대원군의 작품에는 김정희의 영향이 많이 들어있는데, 말년으로 갈 수록 흥선대원군 자신만의 특징을 담아낸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 이 그림도 그 중 하나이다.
|
|
|
<colbgcolor=#29176e> 왼쪽부터 〈1 ~ 2폭〉, 〈3 ~ 4폭〉, 〈5 ~ 6폭〉이다.[4] |
|
|
|
<colbgcolor=#29176e> 왼쪽부터 〈7 ~ 8폭〉, 〈9 ~ 10폭〉, 〈11 ~ 12폭〉이다.[5] |
그림 속 난초잎은 위로 갈 수록 시원하게 힘껏 뻗쳐지다가 마지막에는 부드럽게 마무리 되었다. 또한 각 진 바위 여러 개가 겹쳐져 있고, 바위의 윗 부분은 넓고 아래로 내려갈 수록 폭이 좁아진다. 이는 동시기의 유명한 서화가 정학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각 폭 하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도장이 찍혀있는데 다 다른 도장이다.
[1]
140호 《용비어천가》 권3, 4는 2009년 2월 23일에 해제된 뒤 보물 1463-2호로 승격했고, 141호 흥선대원군 이하응 영정은 2006년 12월 29일 해제된 뒤 보물 1499호로 승격했다.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정확히는 법적인 진이당숙(아버지의 이종사촌)이다. 김정희의 양어머니와 흥선대원군의 양할머니가 서로 자매이기 때문에, 피 한 방울 안 섞였지만 법적으로는 당숙 - 조카가 되었다. 그 인연으로 김정희에게 예술을 배웠던 것.
[4]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