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3:27:17

환세취호전/등장 몬스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환세취호전
1. 동물계
1.1. 원숭이계1.2. 멧돼지계1.3. 박쥐계1.4. 뱀계
2. 슬라임계3. 드래곤4. 권사계
4.1. 숙련권사계4.2. 대회권사계4.3. 암각권사계4.4. 사범계
5. 해골계6. 성령계7. 오니계8. 카피계9. 마수계10. 신수계


환세취호전에 등장하는 몬스터.

스토리상 상대하게 되어 전용 BGM이 출력되는 적은 ◎, 반드시 이겨야만 스토리 진행이 되는 보스들은 ☆로 표시. 괄호 속 HP는 10장에서 만날 시점의 HP.

1. 동물계

아타호의 맹호의 울부짖음, 린샹의 고양이달래기에 추가 데미지를 받는다.

1.1. 원숭이계

サル系.

게임의 가장 기본적인 잡몹들. 최종 버전인 원숭이 삼형제도 만날 시점엔 경험치 1 언저리나 주는 잡몹 신세이다.

1.2. 멧돼지계

イノシシ系.

원숭이류에 비해 회피력과 방어력이 높다. 기본기부터 일정 확률로 상태이상을 부여하는 등 확실히 원숭이보다는 까다로운 상대.

1.3. 박쥐계

コウモリ系.

체력이 낮은 대신 회피력이 높은 편. 선공률도 상당히 높으며, 동시에 설정된 레벨이 높아서 다른 몹들은 잘해야 경험치 1을 얻는 상황에서도 꽤 괜찮은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공중에 떠 있기 때문에 지면 기술이 통하지 않는다.

1.4. 뱀계

ヘビ系.

멧돼지류에 비해 공격력이 강하고 회피력도 상대적으로 높아 이쪽이 공격할 때에는 미스가 잘 뜨는데다 선제공격 빈도가 높아서 처음 만날 즈음에는 꽤 강력한 적에 속하는 몬스터. 다만 중후반에 등장하는 강화형인 화사/수사/뢰사가 뜰 즈음에는 몬스터 레벨에 비해 플레이어 레벨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라 경험치도 얼마 안주는 귀찮은 잡몹 수준으로 위상이 추락한다.

2. 슬라임계

スライム系.

체력과 방어력이 높은 편. 대신 선제공격기가 없다. 레벨에 비해서 잡을 시 주는 경험치와 골드가 짜다.

3. 드래곤

ドラゴン系.

체력, 공격력, 방어력 모두 일반 몹의 배 이상인 최상급 몬스터군. 공통적으로 전체공격기인 지진과 물어뜯기를 구사하며, 이 중 특히 지진은 선제율이 가장 높은데다 꽤 높은 확률로 넘어짐을 유발한다.

4. 권사계

拳士系.

인간형 몬스터. 공통적으로 기본기로 정권을 사용하며, 그 외에 분파마다 사용하는 기술들이 다르다. 주작권/창룡권/현무권 소속 권사들은 전체 공격기를 가지고 있지만 무소속 권사들은 개인 공격기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특징.

주작/창룡/현무의 시련 내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작권/창룡권/현무권 권사+숙련권사들만 출현한다. 또한 각각의 시련을 받기 위해서는 중간보스격으로 각 권법의 숙련권사 3명을 상대해야 한다. 다른 잡몹에 비해서는 강한데다 3명을 동시에 상대해야 하므로 18레벨 이하라면 패배할 수도 있다.

4.1. 숙련권사계

熟練拳士系.

4.2. 대회권사계

大会拳士系.

4.3. 암각권사계

暗刻拳士系.

4.4. 사범계

師範系.

5. 해골계

ガイコツ系.

언데드. 전반적으로 타격 공격에 약한 대신 원소 계열에 대한 내구가 약간 높다.

6. 성령계

聖霊系.

지니를 연상시키는 형태의 몬스터로, 동레벨대 몬스터에 비해 공격력이 높은 편이다. 공통적으로 기본공격인 때리기, 3연타 공격인 천수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 각각의 속성에 맞는 원소 공격을 한다.

주작/창룡/현무의 3종 성령은 기본적으로 진 호혈의 각 시련에서 3마리를 동시에 상대하게 되며, 이들을 쓰러뜨리면 각 시련에서 제공하는 아이템과 장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진 호혈 가장 아래층에서 최종 테스트로 주작/창룡/현무 정령이 하나씩 등장에 셋을 동시에 상대하게 되며(☆), 이들을 쓰러뜨리면 호랑이 동굴의 수련을 완료했다는 인정서를 얻을 수 있다.

7. 오니계

鬼系.

가면을 쓰고 쌍검을 든 검사 형의 몬스터. 공격력, 방어력, 회피력이 드래곤에 필적하는 수준의 강적으로 후반부의 고렙 던전에서만 출현한다.

8. 카피계

コピー系.

8장 지옥 수련장 간단한 코스의 보스로 주인공 3명의 모습으로 변한다. 각각 A는 아타호, R은 린샹, S는 스마슈로 변한다. HP는 A 200, R 166, S 202이고 기술 역시 주인공들의 기술과 동일한 기술을 장기 레벨로 사용한다. 난이도는 투귀나 지옥의 마인보다 약한 편. 약한 데 반해 경험치는 많이 주는 편이며, 보스가 3마리인 점을 이용, 2마리만 잡고 도주하기를 반복하여 경험치를 계속 얻을 수 있다. 경험치 자판기 지옥 각 단계의 보스들은 모두 도주 시 아타호 일행 삼인방의 만담이 나오는데 대사를 읽어보면 꽤나 코믹하다.

9. 마수계

魔獣系.

10. 신수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행동정지] 일정 확률로 행동정지 효과 [2] 리마스터 판인 플러스에서는 파란 옷에 얼굴에 취기가 오른 모습으로 차별화되었다. [숨기] 회피율 증가 [행동정지] [넘어짐] 일정 확률로 넘어짐 효과 [6] 호혈(虎穴)을 호랑이'구멍'이 아닌 호랑이'동굴'로 번역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 녀석도 '구멍'멧돼지보다는 '동굴'멧돼지라 번역하는 것이 더 적절했을 것이다. [넘어짐] [8] 혹멧돼지라는 뜻이다. [넘어짐] [휙날아감] 일정 확률로 휙 날아감 효과 [넘어짐] [휙날아감] [독] 일정 확률로 독 효과 [독] [독] [마비] 일정 확률로 마비 효과 [독] [마비] [19] 멧돼지가 쓰는 기본기와 이름이 같다 [독] [마비] [마비] [마비] [마비] [마비] [26] 일본어판에서는 얼음슬라임이다. [마비] [마비] [마비] [마비] [독] [32] 직역하면 "움직이는 석상" [넘어짐] [넘어짐] [넘어짐] [넘어짐] [넘어짐] [38] 넘어짐 [39] 일본어판에서는 "데스드래곤"이다. "데드드래곤"은 "죽은 용"이 되어 버리므로 오역. [40] 다른 몬스터는 한번 쓰러뜨리면 이후에 HP가 표기되는데, 데드드래곤과 두개골은 재차 격파해도 HP가 계속 ???로 표시된다. 플러스에서는 HP가 표기된다. [독] [장궁] 오역으로, 원래는 "장기"다. [43] 두개골은 수경을 사용하면 완전히 대미지를 상쇄시킬 수 있지만, 데드드래곤은 그렇지 않다. [44] 일본어판에서는 권투가다. [45] 일본어판에서는 승천파다. [넘어짐] [47] 전투 시 화면엔 그냥 권법가로 나온다. 일본어판에서는 "권사"다. [48] 한국어판에는 이렇게 나오지만 '오역'이다. 원문을 보면 17회 도전했으나 실패했다고 나온다. [49] 성령 3인방과 싸워 인정서를 다시 얻을 수도 있지 않나 싶지만, 가 보면 상자가 텅 비어 있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50] 너프된 상태라 아타호 일행이 당연히 이기는 데 문제가 없지만, 만약 여기서조차 지게 될 경우 처참하게 널부러지면서 이길 때까지 재도전할 수 있다. 뭔가 영 찝찝한건 넘어가자. [51] 스마슈의 흑장속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 [넘어짐] [53] 시작할 때 '결봉'전이라 나오는데 이는 오역으로 원문을 보면 '차봉'이 맞다. [54] 핀푸는 오역이고 "핑후(평화)"가 맞다. [독] [56] 말하는 걸 보면 자신의 사형뻘인 론에게도 이런다. [57] 6장에서 린샹의 기공대회복을 얻지 않는다면, 마의 계곡에서 받을 수 있다. [58] 이 때만큼은 오프닝 음악이 전투 브금으로 깔린다. [59] 전투 시에는 공 모양 이펙트가 아닌 칼날 모양 이펙트로 나온다. 기술 이름이 광룡'도'로 바뀌는 것은 오역. [60] 칼 도(刀)가 아닌 칼날 인(刃)을 사용. [61] 암각권 도장으로 가려고 호랑이 마을을 나오려고 하면 스마슈가 둘만 갈거면 회복 아이템을 제대로 챙겨놓자는 대사를 친다. [62] 오역으로, "공인축"이 맞다. [63] 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이 시점에서 린샹은 거의 없는 수준으로 봐야 한다. [휙날아감] [마비] [장궁] [휙날아감] [휙날아감] [마비] [장궁] [휙날아감] [휙날아감] [73] 666층 - 스마슈의 개인공격기 쾌진격, 도장 지하 - 아타호의 전체공격기 비기·맹호유성각, 스마슈의 전체공격기 비검·시공단. [74] 장음기호를 하이픈으로 착각해서 오역했다. 원래는 그냥 바니 A, R, S다. [넘어짐] [독] [장궁] [78] 자세히 보면 줄무늬들이 가늘게 찢어진 눈알이다. [넘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