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90년 3월 9일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주택가에서 발생한 화재.2. 상세
사건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의 연립주택에서 일어났다. 최초 목격자에 의하면 반지하방에서 연기가 나와 열고 들어가보니 방 안에 사건의 주인공인 5살 권혜영, 3살 권용철(기록에 따라 이름이 '영철'이라고도 한다) 남매가 쓰러져 있었다고 한다. 사건 당시 이들의 부모인 권모씨와 이모씨는 맞벌이를 하고 있었는데, 권 씨(당시 30)는 부천시에서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었고 이 씨(당시 28)는 합정동에서 파출부 일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일을 하러 나가다 보니 어린 자녀들이 부모가 없는 사이 부엌에만 나가도 연탄불이나 식칼 등 다칠 일이 많고, 밖에라도 나가면 길이라도 잃을까, 유괴나 교통사고라도 당할까 우려하여 밥을 차려 놓고 요강을 들여놓고 문을 밖에서 잠그고 일을 나간 게 화근이 되었다.남매는 모친인 이 씨가 파출부 일을 나간 직후 방안에 있는 성냥으로 불장난을 했고, 불은 옷장과 옷가지로 옮겨붙은 다음 곧 꺼졌지만 안타깝게도 이들 남매는 모두 질식사로 피어보지도 못한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아이들의 부모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에서 논 900평에 농사를 지으며 살았으나 가난이 너무도 극심하여 포기하고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형편은 순탄치 못했다. 남편 혼자의 벌이로는 벅차 아내도 생활전선에 뛰어들어야 했지만 아이들이 문제가 되었다. 처음에는 시골에 계신 어머니에게 보냈지만 어린애들을 돌보는 게 매우 체력소모가 큰 일인지라 연로하신 어머니는 얼마 버티지 못해 다시 돌려보냈고, 돈을 쪼개 이웃에게 주며 아이들을 봐 달라고 부탁해 봤지만 오래 못 가 그럴 돈도 바닥났다. 인근에 어린이집이 있었지만 오후 5시까지만 맡아줘 도움이 안 됐다. 또 아이 한 명당 월 5만원이었고, 부부 수입은 월 65만원이었다. 그렇다고 아내가 돈을 안 벌고 아이들만 돌보고 있자니 집세[1]는 급격히 오르고, 빚더미는 불어가기만 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결국 아이들은 방치될 수밖에 없었다. 하루종일 일을 나가 필사적으로 돈을 벌지 않으면 도저히 살 수가 없는 형편이었던 것이다.[2]
결국 아직 제 앞가림도 사리분별도 못 하는 다섯살짜리에게 더 어린 세살짜리 유아를 떠맡기고 잘 놀라고 당부하는 것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였다. 결국 아이들은 아무도 돌봐주지 않는 집 안에서 자기들끼리만 외롭게 놀다가 화마에 휩싸여 숨졌다. 불은 별로 태운 것도 없이 곧 꺼졌지만 전술했듯 문이 잠겨 있던 게 문제였다. 방에 갇힌 아이들은 열리지 않는 문을 피가 나도록 필사적으로 손톱으로 긁어대며 죽어갔다. 실제로 방문에서 손톱 자국이 발견됐고 아이들의 손에 피가 나 있었다고 한다. 아이들이 다칠까 문을 잠가둔 부모의 배려가 오히려 자녀들을 탈출조차 하지 못하고 속절없이 죽게 만든 것이었다. 어른이라도 있었다면 유리를 깨거나 자물쇠의 반대 방향으로 문을 부수기 충분했지만 5살과 3살 아이의 힘으로, 또 생각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아이들을 집안에 가둬 두는 건 21세기에 보면 아동 학대지만 치안이 보장되는 아파트가 드물고 주택이 대부분이던 90년대까지만 해도 어린 자녀가 있는데 외출이나 생활전선에 나가야 하는 경우 문을 밖에서 잠그고 외출하는 부모가 상당히 많았다.
실제로 8, 90년대만 하더라도 대구 성서 초등학생 살인 암매장 사건, 이형호 유괴 살인 사건, 원혜준 유괴 살인 사건 등 유괴 실종사건이 비일비재하고 민생치안은 열악하기 짝이 없었다. 당시의 영세민들의 참상과 시대상을 잘 반영한 매우 안타까운 사건이다.
비슷한 사건은 이전에도 있었는데, 80년대 서울에서 유사한 배경을 가진 맞벌이 부모가 문을 잠그고 나갔다가 여기에선 연탄가스가 새어나와 두 아이들이 질식사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박재동이 시사만화로 그렸을 정도이며 이희재도 간판스타에 수록된 단편만화 새벽길(1988년)에서 이걸 그린 바 있었다.
3. 사고 이후
이 사건은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주면서 바로 이듬해인 1991년에 영유아 보육법을 제정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관련법이 아예 없었다는 데서 짐작이 가겠지만, 당시에는 유아보육에 대한 인프라가 너무나도 미비한 시절이었다. 정말 어려운 집이 아니고서야 맞벌이가 드물었고. 보육 시설이나 제도는 부족하기 그지없었고 탁아나 보육 시설의 확대를 논하면 너도나도 “애들은 엄마가 길러야지.”, "애를 부모가 책임질 것이지 왜 사회에 책임을 떠넘기고 세금을 축내냐? 지가 낳아놓고, 왜 무책임하게 나라에 뭘 어떻게 하라는 거냐?"라는 생각에 힘이 실리지 못했다.그리고 사연이 알려지자 안타깝게 여긴 시민들에 의해 부모에게 성금이 답지했다.
정태춘의 5집 <아 대한민국>에 실린 곡 중 이 사건을 배경으로 한 <우리들의 죽음>이라는 노래가 있다. 사건 6개월 뒤인 1990년 10월 발매.[3], 심약한 사람은 듣고 나면 펑펑 울 수도 있는 슬픈 노래이다. 곡 초반부의 나레이션은 당시 이 사건을 보도한 한겨레신문 1990년 3월 10일자 기사를 정태춘이 낭독한 것이다. 경비원 아빠 파출부 엄마 일나간새 불 잠긴 지하셋방 남매 질식사
젊은 아버지는 새벽에 일 나가고
어머니도 돈 벌러 파출부 나가고
지하실 단칸방엔 어린 우리 둘이서
아침 햇살 드는 높은 창문 아래 앉아
방문은 밖으로 자물쇠 잠겨 있고
윗목에는 싸늘한 밥상과 요강이
엄마 아빠가 돌아 올 밤까지
우린 심심해도 할게 없었네
낮엔 텔레비도 안하고 우린 켤 줄도 몰라
밤에 보는 텔레비도 남의 나라 세상
엄마아빠는 한 번도 안 나와
우리 집도, 우리 동네도 안 나와
조그만 창문의 햇볕도 스러지고
우린 종일 누워 천장만 바라보다
잠이 들다 깨다 꿈인지도 모르게
또 성냥불 장난을 했었어
배가 고프기도 전에 밥은 다 먹어 치우고
오줌이 안 마려운데도 요강으로
우린 그런 것밖엔 또 할게 없었네
동생은 아직 말을 잘 못하니까
후미진 계단엔 누구 하나 찾아오지 않고,
도둑이라도 강도라도 말야
옆방에는 누가 사는지도 몰라,
어쩌면 거긴 낭떠러지인지도 몰라
성냥불은 그만 내 옷에 옮겨 붙고
내 눈썹, 내 머리카락도 태우고
여기 저기 옮겨 붙고 훨, 훨 타올라
우리 놀란 가슴 두 눈에도 훨,훨
엄마 아빠!
우리가 그렇게 놀랐을 때
엄마아빠가 우리와 함께 거기 있었다면....
방문은 꼭 꼭 잠겨서 안 열리고
하얀 연기는 방 안에 꽉 차고
우린 서로 부둥켜 안고 눈물만 흘렸어
엄마아빠....
엄마아빠....
우린 그렇게 죽었어. 그 때 엄마아빠가 거기 함께 있었다면....아니, 엄마만이라도 함께만 있었다면....아니, 우리가 방 안의 연기와 불길 속에서 부둥켜 안고 떨기 전에, 엄마아빠가 보고 싶어 방문을 세차게 두드리기 전에, 손톱에서 피가 나게 방 바닥을 긁어대기 전에, 그러다가 동생이 먼저 숨이 막혀 어푸러지기 전에, 그 때 엄마, 아빠가 거기에 함께만 있었다면....아니야, 우리가 어느 날 도망치듯 빠져나온 시골의 고향 마을에서도 우리 네 식구 단란하게 살아 갈 수만 있었다면.... 아니, 여기가 우리처럼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축복을 내리는 그런 나라였다면....아니, 여기가 엄마, 아빠도 주인인 그런 세상이였다면...
엄마 아빠 너무 슬퍼하지 마. 이건 엄마 아빠의 잘못이 아니야. 여기 불에 그을린 옷자락의 작은 몸뚱이를 두고 떠나지만, 엄마 아빠 우린 이제 천사가 되어 하늘나라로 가는 거야. 그런데 그 천사들은 이렇게 슬픈 세상에는 다시 내려올 수가 없어. 언젠가 우린 다시 하늘나라에서 만나겠지. 엄마 아빠, 우리가 이 세상에서 배운 가장 예쁜 말로 마지막 인사를 해야겠어. 엄마 아빠 엄마 아빠 이제 안녕.
어머니도 돈 벌러 파출부 나가고
지하실 단칸방엔 어린 우리 둘이서
아침 햇살 드는 높은 창문 아래 앉아
방문은 밖으로 자물쇠 잠겨 있고
윗목에는 싸늘한 밥상과 요강이
엄마 아빠가 돌아 올 밤까지
우린 심심해도 할게 없었네
낮엔 텔레비도 안하고 우린 켤 줄도 몰라
밤에 보는 텔레비도 남의 나라 세상
엄마아빠는 한 번도 안 나와
우리 집도, 우리 동네도 안 나와
조그만 창문의 햇볕도 스러지고
우린 종일 누워 천장만 바라보다
잠이 들다 깨다 꿈인지도 모르게
또 성냥불 장난을 했었어
배가 고프기도 전에 밥은 다 먹어 치우고
오줌이 안 마려운데도 요강으로
우린 그런 것밖엔 또 할게 없었네
동생은 아직 말을 잘 못하니까
후미진 계단엔 누구 하나 찾아오지 않고,
도둑이라도 강도라도 말야
옆방에는 누가 사는지도 몰라,
어쩌면 거긴 낭떠러지인지도 몰라
성냥불은 그만 내 옷에 옮겨 붙고
내 눈썹, 내 머리카락도 태우고
여기 저기 옮겨 붙고 훨, 훨 타올라
우리 놀란 가슴 두 눈에도 훨,훨
엄마 아빠!
우리가 그렇게 놀랐을 때
엄마아빠가 우리와 함께 거기 있었다면....
방문은 꼭 꼭 잠겨서 안 열리고
하얀 연기는 방 안에 꽉 차고
우린 서로 부둥켜 안고 눈물만 흘렸어
엄마아빠....
엄마아빠....
우린 그렇게 죽었어. 그 때 엄마아빠가 거기 함께 있었다면....아니, 엄마만이라도 함께만 있었다면....아니, 우리가 방 안의 연기와 불길 속에서 부둥켜 안고 떨기 전에, 엄마아빠가 보고 싶어 방문을 세차게 두드리기 전에, 손톱에서 피가 나게 방 바닥을 긁어대기 전에, 그러다가 동생이 먼저 숨이 막혀 어푸러지기 전에, 그 때 엄마, 아빠가 거기에 함께만 있었다면....아니야, 우리가 어느 날 도망치듯 빠져나온 시골의 고향 마을에서도 우리 네 식구 단란하게 살아 갈 수만 있었다면.... 아니, 여기가 우리처럼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축복을 내리는 그런 나라였다면....아니, 여기가 엄마, 아빠도 주인인 그런 세상이였다면...
엄마 아빠 너무 슬퍼하지 마. 이건 엄마 아빠의 잘못이 아니야. 여기 불에 그을린 옷자락의 작은 몸뚱이를 두고 떠나지만, 엄마 아빠 우린 이제 천사가 되어 하늘나라로 가는 거야. 그런데 그 천사들은 이렇게 슬픈 세상에는 다시 내려올 수가 없어. 언젠가 우린 다시 하늘나라에서 만나겠지. 엄마 아빠, 우리가 이 세상에서 배운 가장 예쁜 말로 마지막 인사를 해야겠어. 엄마 아빠 엄마 아빠 이제 안녕.
1998년 토요미스테리 극장에서 이 사건을 소재로 한 재연극이 방송되었을 때는 좀더 비극적인 연출을 위해서였는지 두 남매가 집안이 너무 추워서 몸을 녹이려고 불을 붙인 것으로 각색되었다.
이 이야기는 여러 책에 실려 있다. 최근에 나온 책을 꼽자면 <그들이 살았던 오늘>, <접속 1990>. 또 웹툰 < 레테>에서도 소재로 쓰였다. 보러가기 여기에서는 오빠와 여동생 남매로 각색.
4. 관련 보도자료
MBC 뉴스 - 이 사건을 보도했던 노웅래 기자는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다.KBS 뉴스
연합뉴스 기사
5. 둘러보기
[1]
그나마 그 집이란 것도 400만원짜리 반지하+3평 단칸방+셋방이었음에도
[2]
어머니가 파출부로 일해 번 돈 30만원(2020년대 가치로 환산하면 그 4~5배 정도)이 모조리 빚을 갚는 데 쓰였다고 한다. 그래야만 살아갈 수가 있었다고.
[3]
당초 해당 앨범을 내기 전
공윤측이 한 가정의 부주의로 일어난 참극을 이념적 사회문제로 결부시켰다고 하여
가사 수정을 요청했으나, 정태춘은 이를 거부하고 무수정으로 냈다. 결국 공연윤리위원회가 심의를 거부한 탓에 방송으로는 들을 수 없었다. 정태춘은 이후 공윤의 사전검열을 비판하면서 음반발매를 강행해서 불법음반이 되어버렸다. 공윤의 사전검열은 계속 문제가 되다가
그의 다음 음반이 화두가 되어 1996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로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