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3:38:54

함지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을 다루는 동명이인인 우파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뉴런연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심판위원
2024 시즌 심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2 전일수 · 3 최수원 · 6 권영철 · 7 문승훈 · 8 추평호 · 9 이기중
10 나광남 · 11 박종철 · 12 이영재 · 14 차정구 · 15 함지웅 · 17 오훈규
21 이계성 · 22 박근영 · 24 이호성 · 25 박기택 · 27 장준영
30 이용혁 · 33 김태완 · 35 윤태수 · 36 김익수 · 37 김병주 · 39 구명환
41 배병두 · 43 김성철 · 44 유덕형 · 45 김선수 · 47 최영주
50 김정국 · 51 문동균 · 52 송수근 · 54 김준희 · 57 정은재 · 59 정종수
2군
13 허정수 · 16 김정 · 18 윤상원 · 19 황인권
20 강광회 · 23 김갑수 · 26 원현식 · 28 장호석
34 우효동 · 38 김풍기 · 42 이민호 · 46 송원호
55 황인태 · 58 방건우 · 61 전준영 · 67 박지민
## 최현종 · ## 하승범 · ## 최종현
* 취소선: 직무 배제자
}}}}}}}}} ||

파일:함지웅 심판위원_15.png
KBO 리그 심판위원 No.15
함지웅
Hahm Ji Woong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1985년 3월 14일 ([age(1985-03-14)]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휘문고 - 송호대(중퇴)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7년 신고선수 ( KIA)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07)
경력 KBO 심판위원 (2012~)
가족 배우자 박서연(2019년 12월 7일 결혼 ~ 현재)[1]

1. 개요2. 선수 경력3. 심판 경력4. 논란 및 사건사고
4.1. 2024년 6월 11일 KIA VS SSG전 끝내기 주자 아웃 판정 오심4.2. 2024년 6월 20일 롯데 VS KT전 스윙 파울 오심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의 심판위원. 前 KIA 타이거즈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외야수 ( 우투우타) 였으며 휘문고등학교 야구부를 졸업하였지만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 드래프트에 지명받지 못하고 2007년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가 당해 방출되고 말았다. #

3. 심판 경력

그 후 명지전문대 심판수료과정 우수 수료자에 선정되어 2012년 심판으로 입사하였다. #

ABS 도입 이후 리그 공식 경기에서 처음으로 볼판정을 직접 한 심판이기도 하다.[2]

큰 오심이나 편파심 논란 없이 무난한 젊은 심판으로 경력을 이어나갔으나[3] 후술할 SSG-KIA 경기의 오심 논란으로 스스로 본인의 이미지를 깎았다.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2024년 6월 11일 KIA VS SSG전 끝내기 주자 아웃 판정 오심

2024년 6월 11일 KIA 타이거즈 SSG 랜더스의 문학 경기에서 9회말 SSG의 끝내기 상황에서 2루 주자 에레디아의 아웃/세이프 판정을 두고 오심을 저질렀다. 에레디아는 끝내기를 확신하고 세레머니와 함께 포효했으나 함심판은 홈플레이트에 터치가 되지 않았다며 이후 세레머니중 태그된 에레디아를 아웃 선언했다.

9회말이 종료된 후 해당 장면 리플레이를 틀어줬는데 에레디아가 홈플레이트 모서리 부분을 찍고 지나가는 장면이 명백히 찍히면서 야구팬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불거졌다.[4]

이날 경기가 박지환의 끝내기 안타로 SSG의 승리로 끝났으나, 혹여나 KIA가 승리하거나 무승부를 기록했다면 경기의 승패를 완전히 좌우한 최악의 오심으로 남을 수 있었던 판정이었다.

4.2. 2024년 6월 20일 롯데 VS KT전 스윙 파울 오심

2024년 6월 20일 롯데의 공격에서 2번이나 모두 스윙을 안했는데 1루심 함지웅 심판이 당당하게 스윙이라고 인정하였지만 리플레이 이후 파울이라고 정확한 화면이 나오자 함지웅 심판에 대한 비판여론이 더 커지고 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함지웅 심판 눈이 리신이 아니냐 의구심이 들 정도다.

5. 관련 문서


[1] 링크 [2] ABS 장비 이상으로 12명의 타자의 볼 판독을 직접 실시했다. [3] 특히 퓨처스 선임 심판 당시 스트존에 대한 호평이 많았다. [4] SSG가 비디오 판독 기회를 전부 소비해서 판정 번복이 불가능했다. 첫 번째 비디오 판독은 김도영이 2회초 우중간 안타로 3루까지 도착해으나 세레머니를 하며 발을 베이스에 올리는 찰나의 순간 베이스에서 발이 떨어졌고, 이를 최정이 놓치지 않고 태그 후 비디오 판독을 통해 아웃으로 판정번복에 성공했다. 두 번째 판독은 9회초 나성범이 친 타구를 오태곤이 리버스 더블플레이를 시도하던 도중 2루 태그 과정에서 오버 슬라이딩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했지만, 원심이 유지되며 추가 비디오 판독을 얻지 못했고 SSG의 비디오 판독은 모두 소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