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06:58:12

한국-베트남 혼혈

한월혼혈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혼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화권 깃발.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중화권 베트남 일본 필리핀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백인 흑인
몽골 프랑스
}}}}}}}}} ||



1. 개요2. 상세3. 갈등4. 유의사항5. 베트남인과 결혼한 한국인6. 유명 인물7. 같이 보기

1. 개요

한국-베트남 혼혈이란 한국인 베트남인의 혼혈을 말한다. 통칭 한월혼혈이라고도 한다.

2. 상세

과거 베트남인이 한국에 온 사례로 고려 시기 화산 이씨, 정선 이씨가 있다고 하지만, 화산 이씨나 정선 이씨는 족보를 바탕으로 시조를 베트남 출신이라고 주장하는 것이기에 사료 간 교차검증으로 증명된 사실은 아니다. 화산 이씨의 시조라고 알려진 리 왕조의 왕자 이용상의 고려에서의 행적은 화산 이씨 측에서 제작한 화산이씨세보(1920년), 수항문기적비(1903년) 등을 제외하면 알 수 없다. 그렇기에 교차 검증이 되지 않으며, 만연했던 숭조(崇祖) 경향으로 인해 전혀 인연이 없는 높은 신분의 외국 왕족을 시조로 삼았을 가능성도 없는 건 아니다.[1] 또한 정선 이씨도 족보를 바탕으로 이의민의 조상이 리 왕조 신종의 동생 이양곤(李陽焜)이라고 주장하지만, 이양곤이 고려로 망명하여 이의민의 조상이 되었다기엔 행적과 나이가 심각하게 맞지 않는다.[2] 심지어 이의민은 원래 천민 출신이었고, 정선 이씨의 족보는 이의민이 활동하던 시기로부터 500년은 지나고나서야 처음으로 편찬되었다.

현대에는 한국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기업들도 사업을 위해 진출하면서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혼혈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남베트남의 패색이 짙어져 한국군이 철수를 하게 되자 박정희 정부는 베트남 혼혈아와 현지처를 한국에 데려오기로 하였지만, 한국-베트남 혼혈의 다수는 베트남에 남게 되어 라이따이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게 된 한국-베트남 혼혈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한국인 아버지를 따라 한국에 입국한 한국-베트남 혼혈 아동도 소수 있었고, 한국인을 따라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베트남 여성과 한국인이 대한민국에서 결혼하여 혼혈 2세를 낳는 경우가 있었다.

이후 오늘날 실질적인 한국-베트남 혼혈 인구의 대다수는 베트남이 개방에 들어가고 한국과 수교하면서 국제결혼을 통해 들어온 베트남 출신 여성과 시골 한국 남성 간의 자녀들이 차지하고 있다. 간혹 주한미군 소속의 베트남계 미국인 남성이 한국인 여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얻는 경우도 있으며, 유학이나 연수 등으로 한국에 온 베트남인들이 한국인과 연애 결혼을 한 경우도 존재한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베트남에서 사업을 하는 한국인 남성과 베트남 현지의 여성이 결혼을 한 뒤 자녀를 갖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북부 지역의 베트남인은 다른 동남아시아인보다 중국 최남부 지역의 남방계 민족과 외적으로 유사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있는 편이다.[3] 베트남 북쪽에 있던 남방계 중국인이 베트남 북부로 이주했기 때문이다.[4] 또한 북부 지역은 역사적으로 유교· 한자 문화권이었기 때문에 문화적으로도 동아시아와 유사한 면이 있어, 다른 동남아인보다 매매혼 상대로 다소 선호되었다.

3. 갈등

이들은 대개 지방 시골 농촌 출신들이 많은데다가 경제적으로도 여유롭지 않은 경우가 많아 서울이나 광역시 등 대도시로 주거지를 옮기거나 대도시 내 학교를 다닐 때 차별과 괴롭힘의 대상이 된다. 특히 2010년대 들어 동남아 매매혼이나 사기결혼 사례가 늘어나면서 동남아 다문화 가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에, 한국-베트남 혼혈 자녀들이 체감하는 차별과 불이익은 더욱 심화되었다. 차별 요소가 여과되지 않는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이들 가정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확산됨에 따라, 동남아시아계 다문화 가정을 일종의 "비정상적"인 가정의 형태로 인식하게 만들었으며, 이때문에 한국-베트남 혼혈들은 정서적인 고통을 받음과 동시에 자신의 인종적 배경을 숨기려고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반면 소수지만 연애 결혼으로 만난 베트남인 여성은 본인의 결혼 대상인 한국인 남성보다 경제적으로 풍족한 경우가 있다. 이들의 부모 세대는 베트남에서 당원이나 고위공무원, 의사, 군인, 전쟁 영웅, 사업가 등 출신으로 대체로 본국에서도 사회적 지위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부유한 가정 환경과 부모의 높은 지위를 바탕으로 어렸을 때부터 자국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아 영어를 능숙하게 하는 편이며[5], 소수지만 냉전 시기 교육의 관계로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이들도 있다[6]. 이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베트남 혼혈 자녀들은 매년 베트남 5대 도시에 위치한 아파트 저택, 도심지에 위치한 다층 주택 등에서 거주하는 외할머니/ 외할아버지를 방문하여 휴가를 보내는 등, 매체에서 흔히 다뤄지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삶과는 사뭇 다른 편이다.

한국-베트남 혼혈은 피부색 이목구비 인종적특성 등 외적으로 차이가 있는 경우도 존재 하지만,[7] 사실 다른 외모만이 차별의 이유가 아니다. 이들이 차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어눌한 한국어 발음이다. 물론 예외인 경우도 굉장히 많다. 베트남인 어머니 밑에서 자라다보니 한국인 어머니 밑에서 자란 한국인보다 한국어 습득이 많이 느린 편이라서[8] 차별과 집단따돌림의 희생자가 되곤 한다. 반대로 베트남에서만 생활했는데도 한국인 아버지 덕분에 한국어 발음이 정확한 경우도 있으며, 예시로는 벨라가 있다.

4. 유의사항

한국인과 베트남인 부부가 자녀를 출산할 경우 한국 국적과 베트남 국적이 둘 다 부여된다.[9] 이로인해 한국-베트남 이중국적자가 베트남에 체류할 경우 한국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 또한 복수국적자만 일부 제한 사항이 적용된다. 역으로 대한민국 국적은 남성 기준으로 일정 기간이 되면 병역 문제를 해결하던가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해야한다. 물론 베트남도 징병 국가이기 때문에 병영 생활이 많이 개선된 한국 군대를 들어가는게 여러모로 낫겠지만, 베트남에서 계속 살거면 베트남 국적을 유지하는게 낫다. 베트남 부동산의 사용권[10]은 베트남 국적자만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은 절대로 베트남인과 결혼하면 안된다.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 권위주의 체제이며, 탈북민들을 북송하는 국가여서 북한이탈주민이 베트남에 방문할 경우 북송당할 수 있다.

5. 베트남인과 결혼한 한국인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6. 유명 인물

7. 같이 보기



[1] 다만 베트남에서도 화산 이씨가 이용상을 시조로 하고 있다는 것을 1959년부터 긍정하기 시작했으며 1995년에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혈연이 사실이든 아니든 상관없는 얘깃거리가 되었다. 애초에 화산 이씨의 족보 빼고는 어디에도 맞다 그르다를 논할 자료가 없기도 하다. [2] 이양곤의 고려로의 망명 자체를 사실로 보기 어렵다. 그는 왕위 다툼에서 밀려난 후 송나라로 망명했다가 고려로 재차 망명했다고 하는데, 신종이 1116년생이므로 이양곤은 아무리 일찍 태어났어도 1116~1117년생이고, 이 말은 7살 정도에 불과한 어린이가 2번이나 망명을 했다는 말이다.물론 완전히 불가능하진 않겠지만... 또한 이의민의 생년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1160년대부터 이미 장성하여 무신정변에 적극 참여한 인물이 1116~1117년생의 5대손 씩이나 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혹여나 부자 관계라면 가능할 수 있어도 이의민의 아버지는 고려사 이의민 열전에 이선(李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로 이선은 소금 장수였으며, 이의민의 모친은 옥룡사(玉靈寺)의 여종이었다. 이의민은 삼남 중 막내였다. [3] 당장 베트남인들 중 북방계열들은 홍콩,대만인처럼 생긴 이들이 매우 많다. [4]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남쪽에 살던 베트남 원주민( 크메르인, 말레이인 등)이 많이 살해되기도 했다. [5] 베트남도 중산층부터는 한국처럼 교육열이 엄청 강하다. [6] 냉전 시기 베트남에서는 한국에서 영어를 교육하듯이 러시아어를 교육했다. 그러나 냉전 시기에도 영어는 세계 학계의 주요 언어였으므로, 대다수의 제2세계 국가에서는 영어 교육과 러시아어 교육이 병존하는 형태였다. 의외로 프랑스어는 베트남 통일 이후 그 영향력이 매우 약해졌는데, 이는 제국주의 식민주의를 극도로 적대시하는 사회주의의 특성에 기인한다. [7] 하지만 한국인인 한쪽 부모를 많이 닮아서 먼저 밝히지 않으면 혼혈인것을 모를 정도로 한국인처럼 생긴 아이들도 꽤 많은 편이다. 특히 하노이 등 북부 베트남인의 경우 한국인과 외적인 차이가 아주 크지는 않기 때문에 아이를 낳는다고 해도 혼혈인 것이 티가 안 나는 경우가 많다. [8] 부모 양쪽이 모두 토종 한국인인 자녀들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한글을 다 깨치는 경우가 많다. [9] 둘 다 혈통주의 국가이기 때문이다. [10] 소유권이 아니다. 공산국가이기 때문에 국가로부터 일정 토지 사용 권리를 부여받는 방식이기 때문. 기본 50년이고 1차에 한해 40년 연장이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