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23:07:56

피나카 다연장로켓

파일:인도 국기.svg 현대 인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인도군 (1947~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M4A1E6C/R, M4A3E4, M4A4R, M4A1E9 (SA50)M/R M4A4 (76)C/R, M4A4 (SA50)M/R, M4A4 (D-56T)M/R
MBT 1세대 센추리온R, T-54BR, T-55(A/1951년형)R, 59식 전차C/R, 인디엔 판처
2세대 T-72A, 비쟈얀타R
3세대 T-90S 비쉬마 Mk.(1, 2) · T-90MS 비쉬마 Mk. 3, T-72M1 아제야 Mk.(1, 2), 아준 Mk.(1, 1A)
경전차 AMX-13R, PT-76, M3A3 스튜어트R, { 조라와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BRDM-2, FV701 페렛, 카스피르, 아디트야, 타타 WhAP
궤도장갑차 BMP-2 사라스, BMP-1R, FV432, 타모르 HAPCM, PRP-3, NAMICA, { FICV}, Sisu NA-201, TOPAS(2A)/FRT TOPAS
차량 소형 마힌드라 550, 마힌드라AXE, 미쓰비시 파제로, 마루티 집시, 윈디 505, 타타 사파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티그르
트럭 KrAZ-6322, 스와라즈 마츠다, 이스즈 F시리즈,
VFJ-LPTA713TC · 스탈리온 Mk.(3/4),
타타 LPTA1615TC/1621 · 프리마 4038S/4938S · 타트라 BEML 시리즈
자주포 자주곡사포 FV433 애봇R, 2S1, K-9 바즈라-T, {MGS}
자주평사포 M-46 캐터펄트R
자주박격포 CMT
대전차자주포 Mk.I 아처R, M36B2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2K22M1 퉁구스카, 소스나-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9K35 스트렐라-10, 9K33 오사, { BMP-2 아카시M}
다연장로켓 BM-21, 9A52-2T, 피나카 MBRL Mk.(1, 2, 3)
공병 차량 구난차량 VFJ 경구난차, 유크티라스 경구난차, CL-70, ARV-2, ARV-3, VT-72B
AEV AERV, BMP-2 불도저M, OT-62 FV180 C.E.T.
교량 차량 카르틱 ABL, MT-55, T-72 BLT, 살바트라, CEASE
기타 하이드레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Indian-Army.jpg
Pinaka multi barrel rocket launcher

1. 개요2. 제원3. 형식
3.1. Mk13.2. Mk23.3. Mk3
4. 운용국5. 매체에서의 등장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1200px-Pinaka.jpg

인도가 개발한 다연장로켓. 통칭 피나카(Pinaka) MBRL(Multi barrel rocket launcher)로 불리고 있으며 시리즈로는 Mk1/2/3로 이루어져 있다.

인도군은 원래 BM-21을 운용하였으나 점차 화력적 한계를 깨닫게 되었다. 때문에 러시아로부터 대구경 다연장로켓 도입을 추진하나 협상이 잘 되지 않았으며, 국산화의 필요성도 요구되었기 때문에 81년부터 두가지의 다연장로켓 시스템 개발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도중 한가지는 기술적 문제로 흐지부지 된 듯 하다. 그래도 나머지 하나는 지속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피나카이다.

86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92년 12월에 시제차량까지 나오게 된다. 하지만 실전배치까지 무려 6년 이상이나 걸렸는데 인도군의 요구가 까다로워서 DRDO에서 애를 먹은건지 아니면 인도 특유의 방위산업 병폐의 문제 때문인지는 애매하다. 아무튼 1998년부터 실전배치 되게 되었다. 배치되고 나서 1년도 안지나 카길 전쟁이 발발하여 실전투입되었으며 산악전에서 파키스탄군에게 강력한 화력제압을 펼쳐서 인도군의 호평을 받았다.[1]

Mk1의 성공적인 평가에 비하여 Mk2는 2013년부터 개량사업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개량완료도 2017년이다. Mk3는 이스라엘의 기술지원을 받아서 공산오차를 줄이고 사정거리가 더욱 늘리며, 로켓 크기를 기존보다 대형화하여 탄두와 로켓추진체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한다.

장기적으로 인도의 독자적인 대구경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서의 장래는 보장받은 셈이지만 비모듈화된 다연장로켓의 현실상 장전시간이 여전히 문제로 작용하고 있고, 인도만의 독자적인 구경인 214mm라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도 인도가 풀어야하는 숙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리즈를 진행하면서 구경확대와 강화가 없는 관계로 214mm는 고정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화력통제시스템이나 포대 포병전산시스템이 얼마나 강화되었는지는 미지수이다. 물론 이미 대포병레이더를 겸임하여 운용하는 형태를 가장 핵심으로 구축한 체제를 구성하고 있다고하지만 인도의 포병전산망 체계가 발전적이지 못한 측면을 감안한다면 소프트웨어적인 한계는 지속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1개 포대는 발사 차량 3대, 로켓 수송 및 보급 차량 3대, 지휘통제 겸 관측 레이더 차량 2대로 구성되어있다.

2. 제원

Pinaka multibarrel rocket launch system
구경 214mm
전장(로켓) 4.95m(Mk1)/5.2m(Mk2)
발사대수 6연장 발사대 x2(총 12연장)
발사시간 12~44초
발사각도 55~90도
최소사정거리 7km
최대사정거리 40km(Mk1)/75km(Mk2)/120km(Mk3)[2]
로켓중량 276kg
탄두중량 100kg
속도 80km/h
이동플랫폼 TATRA/BEML 8x8
운용인력 3명

출처 출처1, 출처2

3. 형식

3.1. Mk1

3.2. Mk2

파일:24pinaka.jpg

인도군은 2013년에 들면서 기존의 Mk1의 개량의 필요성과 사정거리 증대를 요구하는 개량안을 확립하게 된다. 2013년부터 개량사업이라고 하는 형태에서 기존의 로켓체계의 개량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정거리와 정밀도(CEP)를 최대한 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Mk2에서는 사정거리가 기존의 40km에서 75km로 대폭 확대되었고 공산오차(CEP) 역시 100m 이내로 축소되는 성과를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3. Mk3

인도군의 장기계획의 형태로 더 높은 정밀도와 사정거리 확보를 중점으로 하기위하여 개량사업이 준비되고 있다. 현재 이 사업은 이스라엘과 합작중에 있는데 GPS유도와 UAV의 표적정보를 통한 정밀유도를 통하여기존의 공산오차를 보다 10m 이내로 줄이는 전술탄도탄 형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사정거리 역시 언급된대로 120km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4. 운용국

4.1. 인도

2023년 기준 총 10개 포병연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4.2. 아르메니아

피나카 다연장로켓의 첫 수출 사례이다.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던 9월 말, 약 2억 4500만 달러 규모에 구매하였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5. 매체에서의 등장

5.1. 게임

5.1.1. 도미네이션즈

정보화 시대의 용병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RDO 피나카(도미네이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둘러보기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현대 아르메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아르메니아군 (1992~현재)
Հայաստանի զինված ուժեր
MBT 1세대 T-55
2세대 T-72A, T-72AV
3세대 T-72B 1989년형, T-72B3, T-90S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60, BTR-70, BTR-80, 9P148, BRDM-2
궤도장갑차 BMP-1, BMP-1K, BRM-1K, BMP-2, BMD-1, MT-LB, 9P149 슈투름-S
차량 <colbgcolor=#0033a0> 소형 GAZ 티그르,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LAPV 에노크, CLV 판터, 험비KFOR, UAZ-452, UAZ-469, UAZ 패트리어트, KGM 렉스턴, 닛산 나바라, AGF 서벌
트럭 GAZ-66, 우랄-4320, ZiL-131, KamAZ-4310, GAZ-3308, GAZ-33097, 히노 레인저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대전차 자주포 MT-LB (AZP S-60)
<colbgcolor=#f2a800>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3 오사, 9K35M3 스트렐라-10M3, 토르-M2KM
공병 차량 공병전차 MDK-2M, MDK-3, BAT-2, IMR-1 IMR-2, GMZ-1
구난차량 BTS-2, BREM-1
다연장로켓 BM-21, BM-27, BM-30, AR-1A, WM-80, TOS-1A 부라티노, N-2, { 피나카}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L: 타국에서 공여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KFOR: 코소보 평화유지군이 사용하는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카길 전쟁에서 파키스탄군이 대포병전에서 인도군에게 한방먹인걸 생각해보면 상당히 의외의 평가라고 볼 수도 있으나 사정거리가 상대적으로 일반 야포 대비하여 긴 점과 강력한 화력제압이 인도군의 호평을 받게된 이유라고 보여진다. [2] 개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