弊 폐단/해질 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廾,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준3급
|
||||||
-
|
|||||||
일본어 음독
|
ヘイ
|
||||||
일본어 훈독
|
つい-える, つか-れる, やぶ-れる
|
||||||
-
|
|||||||
표준 중국어
|
b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弊는 '폐단/해질 폐'라는 한자로, ' 폐단(弊端)', '해어지다', '해지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폐단, 해지다 |
음 | 폐 | |
중국어 | 표준어 | bì |
광동어 | bai6 | |
객가어 | pi | |
민북아 | bī | |
민동어 | bê | |
민남어 | pè | |
오어 | bi (T3) | |
일본어 | 음독 | ヘイ |
훈독 | つい-える, つか-れる, やぶ-れる | |
베트남어 | tệ |
유니코드에는 U+5F0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KT(火大廿)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廾(받들 공)과 음을 나타내는 敝(해질 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거폐( 去弊/ 巨弊/ 袪弊)
- 견폐( 蠲弊)
- 고폐( 痼弊)
- 곤폐( 困弊)
- 교폐( 矯弊)
- 구폐( 舊弊)
- 국폐( 國弊)
- 대폐( 大弊)
- 동폐( 洞弊)
- 두폐( 杜弊/ 蠧弊)
- 민폐( 民弊)
- 방폐( 防弊)
- 백폐( 百弊)
- 병폐( 病弊)
- 생폐( 生弊)
- 쇠폐( 衰弊)
- 숙폐( 宿弊)
- 심폐( 深弊)
- 어폐( 語弊)
- 유폐( 流弊/ 遺弊/ 謬弊)
- 읍폐( 邑弊)
- 이폐( 貽弊)
- 자폐( 滋弊)
- 적폐( 積弊/ 糴弊)
- 전폐( 前弊/ 錢弊)
- 제폐( 除弊)
- 조폐( 凋弊/ 彫弊)
- 통폐( 通弊)
- 파폐( 罷弊)
- 폐가(弊 家)
- 폐객(弊 客)
- 폐거(弊 居)
- 폐관(弊 館)
- 폐교(弊 校)
- 폐국(弊 國)
- 폐납(弊 衲)
- 폐단(弊 端)
- 폐려(弊 廬)
- 폐리(弊 履)
- 폐막(弊 瘼)
- 폐방(弊 邦)
- 폐사(弊 社)
- 폐선(弊 船)
- 폐습(弊 習)
- 폐옥(弊 屋)
- 폐읍(弊 邑)
- 폐의(弊 衣)
- 폐정(弊 政)
- 폐치(弊 値)
- 폐풍(弊 風)
- 폐해(弊 害)
- 피폐( 疲弊)
- 혁폐( 革弊)
3.2. 고사성어/ 숙어
- 거폐생폐( 去弊 生弊)
- 관절지폐( 關 節 之弊)
- 구폐생폐( 捄弊 生弊)
- 말류지폐( 末 流 之弊)
- 백폐구존( 百弊 俱 存)
- 법구폐생( 法 久弊 生)
- 살육지폐( 殺 戮 之弊)
- 생경지폐( 生 梗 之弊)
- 설폐구폐( 說弊 救弊)
- 여탈폐사( 如 脫弊 屣)
- 위법자폐( 爲 法 自弊)
- 의리폐천( 衣 履弊 穿)
- 폐절풍청(弊 絶 風 淸)
- 폐추(弊 帚)
- 폐풍악습(弊 風 惡 習)
- 한폐번형( 韓弊 煩 刑)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蟞(개미 별)
- 鷩/ 䨆(금계 별)
- 瞥/ 𧢍[⿱敝見](눈깜짝할 별)
- 撆(닦을 별)[1]
- 嫳(발끈할 별)
- 蹩(밟을 별)
- 鐅(보습의날 별)
- 憋(악할 별)
- 𦗥[⿱敝耳](얼핏들을 별)
- 𤮕[⿱敝瓦](오지그릇 별)
- 鼈/ 鱉/ 龞(자라 별)
- 䌘(칼차는띠 별)
- 𧝬[⿱敝衣](털 별, 화폐 폐)
- 暼(해질 별)
- 彆(활뒤틀릴 별)
- 𦠞[⿱敝⺝](팔 비)[2]
- 𣰉[⿱敝毛](새털 창)[3]
- 獘(넘어질 폐)
- 𡐞[⿱敝土](땅이름 폐)
- 鄨(물이름 폐)
- 斃(죽을 폐)
- 𣁢[⿱敝文](짐승이름 폐)
- 𡚁[⿱敝大](폐단 폐)
- 幣/ 𧸁[⿱敝貝](화폐 폐)
- 𠢪[⿱敝力](폐)
- 𱎏[⿱敝也]
- 𠟈
- 𠒳[⿱敝允]
- 𤎨[⿱敝火]
- 𣱔[⿱敝⿸厂氏]
- 𣀽[⿱敝⿺氣田]
- 𮦮[⿱敝雨]
- 𩦉[⿱敝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