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이누의 피 (2010) 咎狗の血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BL, 액션 | |
원작 | NITRO CHiRAL | ||
원작 시나리오 | 후치이 카부라 | ||
캐릭터 원안 | 타타나 카나 | ||
감독 | 콘노 나오유키 | ||
캐릭터 디자인 |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나츠코 | ||
게스트 캐릭터 설정 | 石上香美 | ||
프롭 디자인 | 타이가 히로유키 | ||
미술 감독 | 쿠라타 켄이치(倉田憲一) | ||
색채 설계 | 아리사와 노리코(有澤法子) | ||
촬영 감독 | 이이지마 료(飯島 亮) | ||
편집 | 츠보네 켄타로(坪根健太郎) | ||
음향 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음악 |
이시카와 토모히사(石川智久) 이이즈카 마사아키 |
||
음악 제작 | 란티스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우에다 마스오 오치코시 토모노리(落越友則) |
||
프로듀서 |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호소카와 오사무(細川 修)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도이 요시나오(土居由直)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
||
제작 프로듀서 | 이가라시 마모루(五十嵐 守)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우에다 모토키(植田もとき) 사와구치 코이치(澤口幸一) |
||
애니메이션 제작 | A-1 Pictures | ||
제작 | 「토가이누의 피」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0. 10. 08. ~ 2010. 12. 24. | ||
방송국 |
MBS / (금) 01:25 애니플러스 / (월) 23:30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19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성인용 BL 게임 토가이누의 피의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콘노 나오유키.스토리, 세계관, 등장인물 및 성우진에 대한 정보는 토가이누의 피 문서를 참조바람.
2. 공개 정보
애니판이 제작된 계기는 애니플렉스의 프로듀서 이와카미 아츠히로가 콘노 나오유키에게 감독으로서 만들고 싶은 애니메이션이 없냐고 질문했다. 콘노는 이에 마침 남성들의 피튀기는 싸움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기에 토가이누의 피를 애니화하고 싶다고 발언하고 니트로플러스와 연락해 애니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시리즈 구성 각본가로 타카하시 나츠코를 데려온 건 그녀가 과거 스프레이의 인기 BL 게임 학원 헤븐 애니판 및 피쳐 매직으로부터 《 강철삼국지》같은 BL풍 애니메이션 각본을 담당한 적이 있었기에 원작 팬덤의 니즈를 충족시킬 겸 게임을 플레이해봤기에 기용한 것이라고.[1]PS2판이 아닌 원작인 PC판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PS2판 추가 캐릭터(유키히토, 토우야)는 등장하지 않으며 방송 문제로 노골적인 선정적인 묘사는 넣지 않는 TV 애니메이션 특성상 PC판에 있던 성적 묘사들은 편집되었다. 니트로플러스 역시 원작가로서 제작에 관여했다.
토가이누의 피는 BL 컨텐츠들중 기본 시놉시스와 세계관이 탄탄한 했고 실제로도 BL 게임계의 전설로 여겨질 정도의 금자탑이였기에 애니메이션화 소식이 나왔을땐 기대도 많이 받았지만 하필이면 OVA도 아니고 TV 지상파 방영이였기에 PS2판처럼 이상한 방향으로 검열될 우려가 많았고 몇몇 팬덤들은 안 그래도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은 퀄리티가 떨어지는 물건이 많은데 입지가 더 안 좋은 BL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들은 그 에로게 원작 애니판보다 저질 퀄리티의 애니메이션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일이 많아 걱정을 하는 여론이 많았다. 더 나아가 접근성이 높은 TVA 특성상 원작을 모르거나 BL을 싫어하는 시청자, 미성년자 시청자의 유입도 매우 걱정했었으며 방영 후 그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3. 주제가
오프닝은 바뀌지 않고 엔딩이 자주 바뀐다.3.1. OP
OP ROSE HIP-BULLET |
|||
[kakaotv(v6d1dDHJmJQmHhh4Dq4czuI@my, width=100%)]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GRANRODEO | ||
작사 | 타니야마 키쇼 | ||
작곡 | 이이즈카 마사아키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쿠하라 시게키 | |
작화감독 | |||
연출 | 이시야마 타카아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 ED
ED | |
|
|
TV ver. |
3.2.1. 1화 ED
1화 ED no moral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
작곡 | 와타나베 미키(ワタナベミキ) | |
편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2. 2화 ED
2화 ED bright lights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키무라 세이지(木村世治)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3. 3화 ED
3화 ED Don't Stare Me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VERTUEUX | |
작사 | Kenl | |
작곡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4. 4화 ED
4화 ED 棘 -toge-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Sadie | |
작곡 | ||
편곡 | ||
작사 | 마오(真緒)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5. 5화 ED
5화 ED once more again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미사토 아키 |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
작곡 | R・O・N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6. 6화 ED
6화 ED Requiem Blue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CurriculuMachine feat.W.K. |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
작곡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7. 7화 ED
7화 ED crossing fate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OLDCODEX | |
작사 | R・O・N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8. 8화 ED
8화 ED 優しさに守られて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키타 슈헤이(喜多修平) |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
작곡 | 야마모토 유스케(山元祐介) | |
편곡 | 오오노 히로아키(大野宏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9. 9화 ED
9화 ED Honed Moon ~咎レタ月~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
작사 | 에바타 이쿠코(江幡育子) | |
작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10. 10화 ED
10화 ED Don't look away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CurriculuMachine | |
작사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
작곡 | ||
편곡 | 카리큘라 머신(カリキュラマシーン)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11. 11화 ED
10화 ED STILL anime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
작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12. 12화 ED
12화 ED GRIND"style G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GRANRODEO |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
작곡 | 진보 신타로(神保伸太郎) | |
편곡 | 이이즈카 마사아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虚夢/LOST 허몽(허황된 꿈)/LOST |
타카하시 나츠코 | 콘노 나오유키 |
치바 다이스케 (千葉大輔) |
야나세 타케유키 石上香美 |
日: 2010.10.08. 韓: 2010.10.11. |
제2화 |
死街/toshima 사가(죽음의 거리)/tosima |
사카마키 사다히코 (坂巻貞彦) 쿠사카 타케시 (日下岳史) |
日: 2010.10.15. 韓: 2010.10.18. |
|||
제3화 |
狂争/igra 투쟁/igra |
와타나베 다이스케 (渡邊大輔) |
大花祷里 |
하야시 히로시 (林ヒロシ)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10.10.22. 韓: 2010.10.25. |
제4화 |
休刑/ease 휴형/ease |
스가와라 유키에 (菅原雪絵) |
사노 타카시 |
타카하시 아츠코 (高橋敦子) 소부 유코 (蘇武裕子) |
日: 2010.10.29. 韓: 2010.11.01. |
|
제5화 |
決蔑/crack 결멸/crack |
우라소노 토모에 (浦園 萌) |
나카자와 유이치 (中澤勇一) |
요시다 토오루 | 나카자와 유이치 |
日: 2010.11.05. 韓: 2010.11.08. |
제6화 |
怨鎖/desire 원쇄(원망의 쇠사슬)/desire |
와타나베 다이스케 | 大花祷里 | 와타다 신야 |
코조 요코 (高乗陽子) 야나세 타케유키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
日: 2010.11.12. 韓: 2010.11.15. |
제7화 |
因念/sever 인념/sever |
타카하시 나츠코 | 마츠이 히토유키 |
나카무라 치카요 (中村近世)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10.11.19. 韓: 2010.11.22. |
제8화 |
酷白/rein 혼백/rein |
스가와라 유키에 타카하시 나츠코 |
카게야마 시게노리 |
키타가와 마사토 (北川正人) |
타케우치 유카리 (竹内由香里) 아베 치아키 (阿部千秋) |
日: 2010.11.26. 韓: 2010.11.29. |
제9화 |
薬束/bond 약속/bond |
우라소노 토모에 | 콘노 나오유키 |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하야시 히로시 |
미즈카미 론도 (水上ろんど) 코바야시 토시미츠 나카야마 하츠에 (中山初絵) |
日: 2010.12.03. 韓: 2010.12.06. |
제10화 |
結脈/il re 결맥/il re |
타카하시 나츠코 | 나카자와 유이치 | 요시다 토오루 | 나카자와 유이치 |
日: 2010.12.10. 韓: 2010.12.13. |
제11화 |
増悪/convict 증오/convict |
이나가키 타카유키 |
마치타니 슌스케 (町谷俊輔) |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一武晃 미유 반리 (未由羽万里) 카와구치 치사토 (川口千里) 松本希羅里 타카하시 아츠코 카마타 유스케 (鎌田祐輔)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
日: 2010.12.17. 韓: 2010.12.19. |
|
제12화 |
同至/beginning 동지/beginning |
콘노 나오유키 |
日: 2010.12.24. 韓: 2010.12.26. |
5. 비판 및 문제점
자세한 내용은 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 요약하면 팬덤만 아닌 원작자 후치이 카부라조차 우려를 표한 토가이누의 피 및 BL·여성향계 미디어 믹스 사상 최악의 흑역사이자 반면교사격인 작품이자 니트로플러스의 애니화 징크스를 피하지 못한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 키랄 측에서도 흑역사로 취급을 하고 있는 것이 똑같이 작화 붕괴와 저급 연출, 선정성 문제로 BL 요소를 희석한 건으로 평이 별로 좋지 않았던 DMMd의 애니메이션판은 최소 BL로 느껴질 만큼 전연령가에 맞는 연애 묘사와 진상 루트인 렌 루트를 베이스로 렌x아오바 엔딩을 냈지, DVD/블루레이 박스 판매량은 각 공략 캐릭터들의 배드엔딩과 우이토리 배드엔딩까지 재현함으로서 팬서비스를 해주었기에 나쁘지 않게 나왔고 2019년 재방송까지 했지만 토가이누 애니판은 2010년에 방영된 것을 감안해도 재방송은 커녕 VOD 서비스 조차 안하고 있으며 관련 사이트에서조차 언급을 안하고 있다.
- 이 작품의 감독인 콘노 나오유키는 이 작품의 실패로 센토루의 고민을 맡기 전까지 무려 7년 동안 감독을 맡지 못했다.
6. DVD판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고 총 6권 발매 예정이였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정작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계속 미루어지더니 결국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고 종영 이후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토가이누의 피의 원화가 타타나 카나가 아닌 니트로플러스 소속 일러스트레이터이자 타타나 카나의 후임으로 결정된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은 좋지 않았다.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낱장이 떨어지고 팬들이 정말로 원했던 스토리 수정과 특정 공략 캐릭터와 이어지는 후일담은 존재하지 않았다.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가격도 원가는 27,000엔(약 27만원)인데 얼마안되 5,200엔(약 5만 2천원)으로 떨이할인이 되었으며 중고 거래 가격도 신품 기준으로 6,255엔(약 6만 2천원). 게다가 이 DVD 박스 세트는 완전 한정 생산판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절판되지 않았다.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 조차없었다. 게다가 후일 DMMd 애니메이션은 재방송과 VOD 서비스까지 했는데 토가이누 애니는 재방송은 커녕 VOD 지원조차 없다. 즉 직접적인 언급만 없는 것이지 간접적으로 흑역사로 인증했다.
7. 기타
-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이 종영된 뒤 후속 애니메이션으로 그 유명한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방영되었다. 둘다 같은 니트로플러스 계통 작품인데도 불구하고[2] 마마마는 대히트를 쳤고 토가이누 애니판은 흑역사로 묻히게 되었다.
- 각본가 타카하시 나츠코는 후일 캡콤의 대표 게임 프랜차이즈 전국 바사라 시리즈의 애니판 전국 바사라 Judge End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는데 해당 애니메이션도 도를 넘은 원작파괴와 캐릭터 붕괴로 팬들이 검증 위키를 개설하는 악명을 떨쳐 전국 바사라 시리즈를 오와콘으로 만들었으며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애니메이션 작업 때 전 감독이였던 이바타 요시히데의 폭로글이 올라오며 작업 태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 알려졌다.
- 감독 콘노 나오유키는 토가이누의 피 이후 이렇다할 감독작없이 연출만 맡다가 2017년에 센토루의 고민의 애니메이션판 감독을 맡게 되었다. 센토루의 고민은 평가가 좋았으나 주목을 받지 못해 BD/DVD 판매량에서 참패했다.
- 현재 원본글이 삭제되어 있다 : 2ch 애니메이션 제작진의 사정이라는 스레드에서 콘노 나오유키의 근황이 알려졌었는데 토가이누 애니판 제작 당시 하청 제작사 피쳐 매직과 트러블을 일으켰고 하청사에서 불만을 가지고 이 감독과 일하지 않겠다면서 제대로 일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협력사인 피쳐 매직의 스탭이 폭로 블로그를 개설해 콘노의 행적을 밝힌 적이 있었는데 내용에 따르면 콘노는 콘티의 질에 집착해 콘티를 굉장히 늦게 주고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해당 블로그 글은 일방적으로 피쳐 매직 스탭측에 유리하게끔 서술되어서 신빙성은 낮은 편이며 무엇보다 콘티를 늦게 준 것은 타카하시 나츠코의 책임이 클 가능성이 높다. 하단에 일본의 토가이누 팬이 작성한 fc2 블로그 포스팅(2장)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 방영내내 팬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다가 종영된 후 원작 게임과 비교하고 단점을 지적하는 위키가 개설되었다. 해당 위키는 작화 붕괴부터해서 성의없는 연출처리, 원작과 비교 등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토가이누의 피 마토메 사이트)
-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1장,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2장: 한 일본의 토가이누 팬이 쓴 칼럼. 1장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작품인지, 어떻게, 왜 성공했는지 분석하면서 2010년 이전까지 그나마 원작 재현과 각색에 신경쓰는 남성향 원작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여성향 컨텐츠는 대놓고 찬밥 취급을 하며 나몰라라하는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행태를 비판하고, 2장은 애니메이션 시장의 사정과 BL 장르 작품에 대한 외적 문제를 분석한 칼럼으로 상단에 서술된 픽쳐 매직 스탭의 콘노 나오유키 폭로 건도 흔적으로 남아있다.
- 애니판이 저질 퀄리티와 원작, 장르파괴로 망하면서 토가이누 팬덤에서는 한때나마 서명 사이트에 가 "토가이누의 피를 OVA로 리메이크 해달라"는 청원을 올렸다. 청원은 마감되었지만 결국 무산되었는데 뒷 소문에 따르면 누구 루트로 갈꺼냐는 질문에 커플링 팬덤끼리 싸우는 바람에 무산되었다고.
- 키랄의 4번째 작품 DRAMAtical Murder의 애니판은 원작자이기도 한 후치이 카부라가 직접 시리즈 구성을 맡아 감수를 했는데 어른의 사정상 노골적인 성적 요소는 대거 희석되었으나 토가이누 애니판에 나온 희석보다 훨씬 좋다는 반응이 많았다. 실제 후치이 카부라는 토가이누 애니판 제작에 대해 12화로 다 담을 수 있을 지 우려를 표했고, DMMd 애니메이션 제작 소식때 스태프 란에 후치이 카부라가 들어선 것을 보고 팬덤에서 토가이누 애니판에 큰 불만이 많았다고 신빙성 있는 추측을 했었다.
- 방영 전 성우진이 교체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원작 게임 성우진들이 PS2판처럼 일반계 네임으로 바꾸고 그대로 캐스팅되면서 루머로 끝났다. 성우 교체는 해당 성우가 은퇴 및 건강, 사망 문제로 활동을 중단했거나 작품이 너무 오래되어서 바꿔야하거나 원작사 측에서 재기용할 비용이 없다는 어른의 사정이 있는게 아닌 이상 기존 팬덤의 여론때문에 안바꾸려고 하는데 과거 에로게야 인식 문제나 제작비 문제로 애니메이션판에서 캐스팅까지 바뀌는 일이 있었지만 2000년대에 이르서서 에로게 인식이 나아지고 팬덤의 의사를 반영해 에로게 원작 성우들도 애니판이 나오면 전연령용 이름으로 바꾸고 그대로 캐스팅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특히 성우덕들이 많은 여성향 및 BL계는 성우를 바꾸는 일은 더더욱 없으며[3] 토가이누 성우진들은 애니판이 나오기 이전에도 팬디스크와 드라마 CD에도 출연했지, 애니판 종영이후 나온 키랄 카페 시리즈와 키랄 나이트 이벤트 드라마 영상물에도 출연했다. 이어서 니트로플러스는 성우 기용에 엄청난 투자를 하는 회사다보니 자사 게임의 애니판은 성우진이 바뀐 적이 단 한 번도 없는데 오히려 BL/여성향이 아닌 남성향 에로게는 2000년 중반까지 성우진 변경이 잦았던 편이다.[4] 참고로 엥간한 여성향 애니메이션의 작화 질이 남성향에 비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도 스폰서가 없어서 제작비용이 적은 영향아래, 성우진 비용도 한몫을 하고 있다. 아마 성우진 교체 루머가 돌았던건 미도리카와 히카루는 지금도 페이가 센 네임드 성우이고 몇몇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후쿠야마 쥰)는 게임 출연 당시엔 이제 떠오르거나 무명이였지만 2006년에 코드기어스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은혼의 대성공으로 인기 성우가 되었기에 비용 유지로 인해 나온 것으로 추정이 된다. 즉 BL 컨텐츠 시장이 작은 만큼 BL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이 너무 안나온 것이 루머 양산에 한몫을 했었는데 토가이누 이전 BL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스키쇼, 학원 헤븐)도 PC판에 성우진이 없었고 드씨와 PS2판에 호화 성우진이 붙었는데 애니화 될 때 이 성우진들이 그대로 캐스팅된 선례가 있다. 그리고 2018년에 페이 및 스케쥴 문제로 한 명을 제외한 성우 교체를 저지르는 바람에 욕을 거하게 먹은 인기 BL 게임의 팬디스크가 나오는 바람에 BL계의 성우 교체는 피칠 못할 사정이 있는게 아닌 이상 하면 안될 금기로 여겨지고 있다.
8. 관련 문서
둘다 니트로플러스의 인기 에로게 「 팬텀 오브 인페르노」와 「 참마대성 데몬베인」을 원작으로 삼은 TV 애니메이션이였지만 작화 붕괴와 원작 파괴로 팬덤에서 흑역사 취급을 받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레퀴엠 포 더 팬텀은 원작 재현 및 재해석을 잘하다가 엔딩에서 원작파괴를 낸 케이스[5]에 기신포후 데몬베인은 「 니트로로얄 히로인즈 듀얼」에서 소드마스터 야마토를 패러디해 대놓고 디스했을 정도.
[1]
출처: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 공식 사이트 스태프 인터뷰 카테고리
[2]
마마마는 아시다시피 각본가가
우로부치 겐이다. 우로부치는 니트로플러스에서 이사 직책을 맡고 있는 니트로플러스 현역 시절 라이터에 토가이누에서는 감독 및 시나리오 어드바이저를 맡았었다.
[3]
그마저도 바꾸는 것도
이시다 아키라와
세키 토시히코처럼 공식적으로 BL 출연 정지 선언을 한 경우지 사실상 은퇴했거나 신작 출연을 줄이는 기존 성우들도 신작 출연은 안할지언정 기존 배역은 출연을 한다. 특히 게임은 게임 회사가 성우 캐스팅을 하기에 권리를 가지고 있고 BL CD도 시리즈물은 기존 성우진을 유지하려고 하는데 그만큼 여성 성우덕들의 충성도는 매우 높다.
[4]
그마저도 바뀐 것도
팬텀 오브 인페르노로 원작 PC 게임 및 완전판만 성우가 없었지 DVD 플레이어, PS2판, OVA와 TVA에서만 성우가 붙은 케이스이며 TVA는 일종의 리메이크판이였기에 교체한 것이다. 그리고 당연하듯 TVA를 기반으로 다시 리메이크한 게임은 TVA 성우진들을 캐스팅했다.
[5]
단 레퀴엠 포 더 팬텀은 다른 니트로플러스 원작 애니판과 비교하면서 흑역사 취급당할 정도의 망작은 아닌데 어디까지나 아인 진엔딩을 새드엔딩 형태로 재해석한 것만 미스였지 나머지 부분은 각색을 잘한 편이다. 그래서 팬텀 팬덤에서만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