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4:34:59

클라우드 게임

클라우드 게이밍에서 넘어옴

클라우드 게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비스 중
Xbox Cloud GamingKR · GeForce NOWKR · Nintendo Switch Cloud StreamingKR
PlayStation Cloud Streaming · Shadow · Amazon Luna
서비스 종료
LiquidSky · Stadia
KR: 대한민국에서 서비스 중
}}}}}}}}} ||



Cloud gaming, Gaming on demand

1. 개요2. 역사3. 평가
3.1. 장점3.2. 단점
4. 기타

1.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원격 플레이를 말한다.

기업에서 직접 구축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실행한 게임을 스마트폰 / PC / 콘솔 등 다양한 개인소유의 기기에서 스트리밍으로 화면을 전달받아 플레이하는 것이다. 본인 기기에 있는 음악, 영상 파일을 직접 실행하는것이 아닌 서버에서 실행한 음악,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전달 받아 이용하는 멜론, 넷플릭스, 유튜브 들을 생각하면 된다. 멜론, 넷플릭스, 유튜브 처럼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서버에서 보내주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받아서 출력하는게 전부이므로, OS와 하드웨어에 상관없이 얼마든지 고사양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 엔비디아 지포스나우, 아마존닷컴 아마존 루나,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클라우드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가 대표적인데 2024년 기준 한국에서 이용 가능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는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 지포스나우, Nintendo Switch Cloud Streaming[1] 뿐이다.

2. 역사

사실 기술적으로는 꽤 역사가 깊은데 과거 인터넷이 활성화되기도 전인 1994년 국내 방송사에서 달려라 코바 라는걸 운영한적도 있고 그 외 다른 소규모 업체들에서 여러번 시도한적이 있었지만 기술적 한계로 인해 대중화에는 모두 실패했다.

그러다 본격적으로 메이저 업체들이 참여하기 시작하게 된건 2010년 OnLive에서 저사양 소형 콘솔을 출시하고 이 기기로 클라우드 게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는데 이 업체를 소니가 인수하면서 부터이다.

2014년 소니는 인수한 OnLive 서비스를 플레이스테이션 클라우드 스트리밍[2]로 개편하며 PS3, PS Vita, PC, 스마트폰, 스마트티비로 이용할수 있도록 구축했다. 하지만 메이저 업계중 가장 먼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시작했고 플스 라는 게임 플랫폼을 운영하며 많은 게임 개발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는것 치고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업체들과 달리 클라우드 관련 기반이 없다는점 때문인지? 아니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시장이 커지면 기존 플스 콘솔 기기 시장이 위협받을수 있다는 생각 때문인지? 알수 없으나 적극적인 투자로 지원 플랫폼을 확대하기는 커녕 스마트티비, 스마트폰등 기존에 지원하던 기기의 지원을 중단했으며 서비스 지역 확대도 요원한 상태이다.

닌텐도 Nintendo Switch Cloud Streaming은 다른 업체들의 서비스들과 달리 별도 독립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가 아니라 닌텐도 스위치 내 일부 게임들을 로컬 설치 플레이가 아닌 클라우드 방식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닌텐도 스위치 기기 성능의 한계로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을 실행할수가 없자 클라우드 방식을 이용해 실행하도록 만들어 놓은것이다. 2018년 판타시 스타 온라인 2 바이오하자드 7 등의 게임들을 시작으로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소니, 닌텐도 라는 게임 메이저 업체들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운영해왔지만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었는데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알리게 되는건 NVIDIA,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같은 클라우드 기반 사업을 하고 있는 메이저 업체들이 뛰어들면서 부터였다.

NVIDIA의 GeForce NOW는 2017년 베타 테스트, 2020년 초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GeForce NOW는 타회사와는 달리, 오로지 가상화 컴퓨터만 빌려주는 서비스만 제공한다. 즉 자체적으로 게임을 판매하는 스토어 없이 Steam, 에픽게임즈 스토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등 유저가 이미 기존 PC기반 스토어 구매해서 소유중인 게임들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GeForce NOW의 또다른 차별되는 요소가 있는데 바로 성능이다. 타회사들은 죄다 1080P 60 FPS에 머무르고 있을때[3] 유일하게 최대 1440P와 120 FPS를 지원하거니와 결정적으로 레이 트레이싱까지 지원한다. 물론 그만큼 구독 가격이 상대적으로 좀 비싼편이다.

구글의 Stadia는 2019년 3월 GDC 발표회에서 처음 공개후 같은해 11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다만 초반 많은 관심을 받은것 치고 성능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고 무엇보다 자체 스토어를 운영하는 정책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위에서 이야기한 엔비디아는 자체 스토어 없이 기존 피시 플랫폼에서 구매한 게임을 그대로 이용할수 있는것에 반해 구글 Stadia는 전용 스토어에서 게임을 구매해야 하다보니 이미 다른 플랫폼에서 게임을 구매해서 소유하고 있어도 Stadia에서 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다시 구매를 해야 한다. 게다가 Stadia만의 플랫폼이라서 온라인 멀티플레이 유저 숫자가 압도적으로 적다. 왜냐하면 GeForce NOW, Amazon Luna는 PC 기반,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 플레이스테이션 클라우드 스트리밍는 엑박/플스콘솔 기반이라 각각 해당 플랫폼 유저들과 같이 멀티플레이가 가능하지만 Stadia는 독자적인 플랫폼이라 Stadia 유저끼리만 멀티가 가능하다.[4] 이런 이유로 플레이하는 유저가 적어서 사람들을 만나기 힘든 상태였다. 결국 2022년 9월 이용량 저조를 이유로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고 2023년 1월 19일자로 서비스가 완전 종료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는 2019년 project xcloud 라는 명칭으로 프리뷰서비스를 시작해 2020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들중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사업 게임 사업을 동시에 하고 있는 유일한 업체이다보니[5] 클라우드 서버 및 게임 확보에 훨씬 유리해서 기존 소니, 엔비디아에 비해 뒤늦게 시장에 뛰어들었음에도 훨씬 더 빠르게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확장해나가고 있다. 투자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을 하면서 최근 몇년간 베데스다 액티비전 블리자드 같은 대형 게임 개발사 인수도 성사 시켰다.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당시 영국규제기관인 CMA는 클라우드 게임 시장 독과점 우려를 이유로 인수불가 결정을 내렸을정도.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는 액티비전 블리자드 게임들의 클라우드 게임 유통을 독점하지 않고 유비소프트에 유통권리를 15년간 제공하는 조건으로 영국CMA의 인수허가를 받아내었다. 현재로서는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 쪽에서 GeForce NOW와 더불어 잘 나가는 중이고 사실상 제일 앞서간다 할 수 있다.

아마존의 Amazon Luna는 2020년 9월 처음 공개했다. 다른 업체들과 다른 특이한점으로 채널 개념을 도입해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힘든 게임 개발사들이 Amazon Luna 내에 개별 채널을 만들어 서비스를 운영할수가 있고 현재는 유비소프트가 참여하고 있다. 서비스만 Amazon Luna 내에 있을뿐 구독은 각각 따로 운영된다. 즉 Amazon Luna용 구독과 상관없이 유비소프트 채널에 등록된 게임을 하려면 별도 구독을 해야 한다.

영국 경쟁시장국의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세계 클라우드 게임 시장 점유율은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이밍 60 ~ 70%, GeForce NOW 10 ~ 20%, 플레이스테이션 클라우드 스트리밍 10 ~ 20%, Stadia[6] 0 ~ 5%, Amazon Luna 0~5%로 1강 2중 2약 체제이다. #

3. 평가

3.1. 장점

3.2. 단점

4. 기타

이 기능을 이용하여 역으로 온라인 멀티가 안되는 게임을 스트리밍 플레이로 이용해 멀티 게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2016년 Parsec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별도 독립된 서비스는 아니고 닌텐도 스위치용 게임중 일부가 클라우드 방식으로 플레이 된다 [2] 처음에는 PS NOW 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2022년 6월 PS+ 개편과 함께 PS+ 프리미엄 산하 서비스로 포함하면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Stadia는 4K를 지원한다고 하지만 GeForce NOW의 1080P보다 더 떨어지는 퀄리티다(…) [4] 단 서로 다른 플랫폼간 크로스플레이가 지원되는 게임은 제외 [5] 아마존 역시 클라우드 사업 게임 사업을 둘다 하고 있긴 하지만 게임사업은 2024년 기준으로 소규모이다. 그 외 소니는 게임 사업만, 엔비디아/구글은 클라우드 사업만 하고 있다. [6] 2023년 1월 19일 서비스 종료 [7] 다시 말해 인터넷과 웹 브라우저 환경만 충족되면 인텔 아톰 시리즈 포르자 호라이즌 5를 최고 옵션으로, 스마트 TV 배틀그라운드를 즐길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소지하고 있다면 들고 다니면서 AAA 게임들을 어디서나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8] PlayStation Now는 브라우저가 아니라 전용 앱을 쓰며, Wine이나 Proton으로도 현재는 불가능하다. [9] 게이밍 컴퓨터를 직접 조립해서 즐기는 사람은 PC 게임 시장에서도 극소수이다. 대다수는 사양이 낮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며, 해외는 게임기로 게임을 즐기고 PC는 작업 전용, 웹 서핑 용으로 이용하는 기기라는 인식이 보편적이다. 국내 한정으로 PC 구매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증가하긴 했으나, PC방 문화가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발달되어 있고 PC방 이용률도 많은 편이며, 온라인 게임 위주로 즐기는 국내 게임 시장 특성 상 개인 PC의 평균 성능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다. 이러한 현상과 지표는 Steam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가 GTX 10 시리즈 보급형 제품이란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10] 2022년 Xbox Game Pass 기준, 얼티밋 요금제가 월 11900원이며 1년 치를 지불해도 15만원 미만이다. 게이밍 컴퓨터는 코로나로 인한 반도체 생산 차질 문제와 암호 화폐 채굴 유행이 일어나고 있는 현재, 아무리 낮게 잡아도 150만원 상당의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11] 풀프라이스 AAA 게임들이 의외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22년에 일어난 마이크로소프트 블리자드 인수 사례 이후에도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임 기업들을 추가적으로 인수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여 앞으로 AAA 게임 및 독점작 타이틀들이 더욱 많이 확보되는 전망이 그려진다. 또한 EA와 협업을 맺고 EA play 서비스도 게임 패스 안에 같이 제공하고 있어 EA 게임들도 즐길 수 있다. [12] 현재까진 해당 서비스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중 가장 높은 사양을 가진 서비스중 하나 이다. [13] 특히 인구 밀집 구역이나 도서산간은 속도가 kb/s 단위로 바닥을 기는 경우도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