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2 12:45:35

체사레비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colbgcolor=#ffce00>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쌍두독수리 · 훈장
역사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궁전 쿠데타 시대 · 예카테리나 2세 시대 · 19세기 · 나폴레옹 전쟁 · 20세기 · 제1차 세계 대전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러시아 공화국
지리 최북단(첼류스킨 곶) · 최남단(쿠시카[1]) · 최서단(루다 코모르스카) · 최동단(데즈뇨프 곶) · 러시아령 아메리카
문화 문화전반 · 러시아 제국 문화 · 러시아 제국 문학 · 러시아 제국 영화 · 러시아 제국 음악 · 러시아 제국 미술 · 러시아 제국 교육 · 러시아 제국 종교
언어 언어전반 · 러시아어 · 키릴문자 · 키릴형제
정치 정치전반 · 전제군주제 · 행정기관 · 황실 · 차르 · 임페라토르 · 체사레비치 · 장관회의 · 국무원 · 두마 · 총독 · 주지사&현지사
내무성( 오흐라나)·재무성·철도통신성·외무성·전쟁성·해군성·공교육성·궁내성·사법성·상공성·농림성·보건성·국가통제성·말사육성·성 시노드 교회 검찰성
경제 경제전반
외교 외교전반 ·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 청나라-러시아 제국 관계 · 조선-러시아 제국 관계
사회 사회전반 · 농노제 · 계급
교통 교통전반 · 러시아 제국/운하 · 러시아 제국/도로망 · 러시아 제국/철도망
민족 슬라브인 · 러시아인 · 외국인(시베리아 원주민, 사모예드족, 칼미크인, 카자흐인, 유대인, 투르크멘인, 독일인)
군사 제국군 · 친위대 · 육군 · 해군 · 공군 · 비정규군 · 민병대 · 군사지구
치안 러시아 제국 법률
[1] 세르헤타바트
}}}}}}}}} ||
파일:체사레비치 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중형 국장.png
문장[1]
파일:러시아 제국 중형 국장.png
러시아 제국 체사레비치
Цесаревич России
Tsesarevich of Russia
파일:Alexei_Nikolaevich,_Tsarevich_of_Russia.jpg
러시아 제국 마지막 체사레비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colbgcolor=#ffce00> 초대 <colbgcolor=#fff,#1f2023> 파벨 페트로비치 (1762년–1796년)
말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1904년–1917년)
시행 1762년 1월 7일
폐지 1917년 3월 15일

1. 개요2. 목록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 황태자를 이르는 말. 차르의 아들이라는 뜻인데, 1721년에 표트르 1세가 차르라는 칭호를 버리고 임페라토르를 쓰기 시작하면서[2] 체사레비치라는 단어도 쓰지 않게 되었다. 이후 1762년에 장남 파벨 1세를 얻은 표트르 3세가 파벨을 체사레비치로 선포하기는 했으나, 이것이 황위 계승자를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후 1796년에 즉위한 파벨 1세는 곧바로 아들인 알렉산드르 1세에게 체사레비치라는 칭호를 주었으며, 이것은 황태자를 뜻하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것은 이듬해인 1797년에 법으로 제정되어, 러시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유지된다.

2. 목록

군주제에서는 부모에게서 자녀에게로 왕위(제위)가 옮겨지는 것이 보편적인 만큼, 체사레비치였다가 차르로 즉위한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체사레비치까지 올랐지만 차르는 되지 못한 인물들만 열거한다.

[1] 러시아 제국의 중형 국장. 1883년부터 1917년까지 체사레비치의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2] 다만 관습적으로 남아서 이후로도 러시아의 황제를 차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기는 했으나, 공식적인 것은 아니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도 마찬가지. [3] 체사레비치가 황태자를 가리키는 칭호가 되기 이전 사람이므로 엄밀히 말해 체사레비치가 아니었으나, 러시아 황위 계승자로서 황제에 오르지 못했다는 점은 같기에 함께 열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