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인칭대명사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C002D> 1인칭 | 아타이(あたい) · 아타쿠시(あたくし) · 아타시(あたし) · 우치(内) · 오이라([ruby(己等, ruby=おいら)]) · 오레(俺) · 오레사마(俺様) · 지분(自分) · 친(朕) · 보쿠(僕) · 마로(麻呂·麿) · 요(余) · 와이([ruby(私, ruby=わい)]) · 와가하이(我輩·吾輩) · 와시([ruby(儂, ruby=わし)]) · 와타쿠시([ruby(私, ruby=わたくし)]) · 와타쿠시메([ruby(私奴, ruby=わたくしめ)]·[ruby(私, ruby=わたくし)]め) · 와타시([ruby(私, ruby=わたし)]) · 와타시메([ruby(私奴, ruby=わたしめ)]·[ruby(私, ruby=わたし)]め) · 와라와([ruby(妾, ruby=わらわ)]) · 와레([ruby(我, ruby=われ)]) · 소생(小生) · 셋샤([ruby(拙者, ruby=せっしゃ)]) |
2인칭 | 아나타(あなた·貴方·貴女) · 안타(あんた) · 오타쿠(おたく·お宅) · 오누시([ruby(御主, ruby=おぬし)]) · 오마에(お前·御前) · 키사마(貴様) · 키미(君) · 고젠([ruby(御前, ruby=ごぜん)]) · 소나타([ruby(其方, ruby=そなた)]) · 테메에(てめえ) · 난지(爾·汝·女) · 와이(私) | |
3인칭 | 카노죠([ruby(彼女, ruby=かのじょ)]) · 카레([ruby(彼, ruby=かれ)]) | }}}}}}}}} |
1. 개요
지분([ruby(自分, ruby=じぶん)])은 주로 일본의 남성 운동선수들이 많이 쓰는 일본어의 1인칭 대명사이다. 옛날에는 일본제국의 일본군에서도 많이 쓰였으나 현재 자위대에서는 와타시(私)를 쓰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2. 용례
사용례를 보면 '나'보다는 '스스로'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나 스스로'이라고 할 때 '지분'을 쓴다는 것이다. 한국인도 마찬가지로, 언론 인터뷰나 면접 같은 공적인 상황에서 질의응답하는 경우, 질문받는 사람이 스스로를 '나'라고 하는 일은 드물다. '저' 혹은 '저 자신'처럼 자기를 낮춤이 일반적. 이때 자신, 스스로 라는 표현이 일본과 동일. 한국으로 치면 본인에 해당.격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굳이 선수들 말고도 남자들끼리 초면이거나, 윗사람을 대하거나 예의를 갖춰야 할 경우라면, 와타시 대신 지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 외 은근히 오타쿠 캐릭터가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마지느, 칸무리 란마 등)
원래 일상에서 쓸 때는 일반적인 1인칭으로 쓰지는 않고, 재귀대명사 느낌으로 쓰인다. '자신의 일은 책임져야 한다', '자기자신을 소중히 여겨라' 등에서 자신에 해당하는 부분에 지분이 들어가곤 한다. 물론 일상적으로 1인칭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긴한데, 이 경우라면 대부분 특정 직업군의 특징으로 드러난다. 가장 대표적인 직업군이 군인이나 경찰 등 소위말해 직업군 문화내에서 군기가 뚜렷하게 드러내는 직업군들의 경우라면 후임/부하가 선임/상사와 대화를 할 때에 1인칭으로 지분을 쓰는 경우는 흔한 편이다. 한국에서도 군대어법 상 지휘관은 1인칭을 자신의 직책으로 지칭하게 되어있지만, 일본에서는 국민개병제 군대도 무사집단의 연장으로 여겨져서 부하의 입장이라도 스스로를 한자어로 격식있게 지칭하는 것이 좋다는 풍조를 바탕으로 지분을 쓰는 것인데 물론 이것도 부대나 관공서 등의 분위기에 따라서 1인칭을 다르게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쪽 직업군 한정으로 격식을 차려야하는 상황이라면 와타쿠시보다는 지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오레나 보쿠와는 다르게 여성들도 이쪽 직업군에서는 흔하게 쓰이기도 한다. 단, 이쪽 직업군을 벗어나면 잘 안쓰이는 말이기도 하다. 이미지상 지나치게 군기가 잡혔다는 인상도 들어서 사실상 친근한 이미지는 없기 때문. 심지어 역시 문민통제를 받는 민주국가의 군사조직에서 계속 사용하기엔 지나치게 가오를 잡는 용어라서 자위대에서도 그냥 와타시라고 하라고 한다.
2017년엔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1인칭으로 활용된다는 조사가 나왔다. 조사 대상이 한정적이긴 하지만, 10대 사이에서는 보쿠보다도 더 많을 정도. 지분을 1인칭으로 사용하는 사람의 주장으로는 오레의 다소 거친 느낌도, 보쿠의 어리고 유약한 느낌도, 와타시의 거리 두는 뉘앙스도 아닌, 어떠한 감정적 함의도 부여되지 않은 순수히 중립적인 어감인 1인칭이라는 점이 매력이라는 듯. # 이런 느낌과 상술한 운동선수나 군인 등의 용례 때문인지, 창작물에서는 평소에 오레 등을 사용하던 남캐가 공적인 자리에서 예의를 차려야 할 때 지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 물론 현실 공석에선 무조건 와타시/와타쿠시를 일률적으로 사용하며 젊은 사람들이 사내 동료들끼리 이야기할때도 지분보다는 보쿠가 선호된다. 오히려 동료끼리 허울 없이 친해지면 지분이 아니라 곧바로 보쿠에서 오레로 넘어간다.
또한 일부 여성들도 의외로 자주 사용하곤 한다. 어느 정도 격식을 차리면서도 완전히 딱딱해 보이지는 않는 편의성에 기인하며, 보쿠 보다는 빈도가 낮고 오레 보다는 자주 보인다. 일상 대화에서 1인칭으로서 지분을 사용하는 여성들은 보통 우치 혹은 와이 같이 여타 다른 1인칭을 가볍게 섞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간사이권이나 니가타, 야마나시 일대에서는 2인칭으로도 쓰인다. 안타보다는 온화한 어감의 단어이다.[2]
한국어로 대응되는 1인칭은 보통 본인.
3. 창작물
- BanG Dream! - 야마토 마야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 쿠죠 키리야
- 기계전대 젠카이저 - 마지느
- 기동전사 건담 제08 MS소대 - 노리스 팩커드
- 나는 친구가 적다 - 유사 아오이
- 단다단 - 타카쿠라 켄
- 드래곤볼 - 파라가스
- 디즈니 트위스티드 원더랜드 - 유우
- 록맨 X( 이레귤러 헌터 X) - 아머 아르마지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 시바 타츠야[3]
- 마기아 레코드 - 이즈미 카나기
- 문호와 알케미스트 - 하기와라 사쿠타로
- 메이드 인 어비스 - 베로엘코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우시고메 소우타로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츠 - 고슈인 스오우[4]
- 서부경찰 - 다이몬 케이스케
- 소녀전선 - M1895 CB
- 아이돌 마스터 - 가나하 히비키, 신겐 세이지, 엔죠지 미치루, 스나즈카 아키라
- 아키바 메이드 전쟁 - 만넨 란코
- 앙상블 스타즈! - 사에구사 이바라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에차리
- 엔드로~! - 메이자 엔더스트
- 여친, 빌리겠습니다 - 야에모리 미니
- 역전재판 시리즈 - 이토노코기리 케이스케, 반 고조
- 오란고교 호스트부 - 후지오카 하루히
- 왕실교사 하이네 - 브루노 폰 그란츠라이히
- 용자경찰 제이데커 - 덤프슨
- 유희왕 ARC-V - 카치도키 이사오
- 이나즈마 일레븐 아레스의 천칭 - 니시카게 세이야
- 이런 영웅은 싫어(일본판) - 그레고르
- 진삼국무쌍 시리즈 - 등애, 조인, 왕원희[5]
- 카리스마 - 미나토 오오세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 쿠루루기 스자쿠, 를르슈 람페르지
- 트랜스포머 G1(일본판) - 스턴트론
- 트리니티 세븐 - 카자마 레비
-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벨레트/벨레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주인공
- 폭상전대 분붐저 - 아쿠세 죠
- 프레임 암즈 걸 - 진라이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마츠리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주인공( 어둠의 왕자)
- 히프노시스 마이크 - 아이모노 쥬시
- 힐링굿♡ 프리큐어 - 바테테모다
-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 월로
- takt op. - 호두까기 인형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게임 바주카 걸
- PSYCHO-PASS - 스고 텟페이
[1]
다만 왕자나 귀족 같은 캐릭터라면 이런 경우에는 보쿠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기사 등 군인 캐릭터가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
[2]
이들 지역에서 안타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괜스레 시비 거는 어감이 강하다.
[3]
윗 사람들 한테 사용.
[4]
보쿠나 오레도 쓴다
[5]
왕원희의 경우 종회에 한해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