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2003 코펜하겐 |
2004 릴레함메르 |
2006 부쿠레슈티 |
|||
<rowcolor=#202020,#DFDFD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2009 키이우 |
|||||
<rowcolor=#202020,#DFDFD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2014 발레타 |
|||||
<rowcolor=#202020,#DFDFD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2019 글리비체-실레시아 |
|||||
<rowcolor=#202020,#DFDFD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24 마드리드 |
2044 미정 |
2048 미정 |
2052 미정 |
||
<rowcolor=#202020,#DFDFD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2036 미정 |
2029 미정 |
2030 미정 |
2031 미정 |
2032 미정 |
|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 |
[1] |
|
명칭 | 한글: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영문: Junior Eurovision Song Contest | |
장르 | 노래 경연대회 |
설립사 | |
배급사 | |
방영 기간 |
2003년
11월 15일 ~ ON AIR ([age(2003-11-15)]주년)
|
방영 횟수 |
대회: 22회 라이브 쇼: 22회 |
오프닝 음악 | Te Deum[2] |
원어 | 영어, 프랑스어 |
최근 대회 | 니스 2023 |
예정 대회 | 스페인 2024 |
최근 우승국 | 프랑스 ( 2023) |
최다 우승국 | 아일랜드, 스웨덴 (7회) |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같이 1년에 한번씩 개최되는 유럽방송연맹 주최의 노래 경연 대회이다. 그러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는 달리 나이 제한이 있다. 초창기에는 8세에서 15세 사이까지 였으나[3], 어린이들이 큰 무대에서 노래를 부른 것이 압박이 심하다는 의견이 있어 나이를 10세에서 15세로 상향 조정하였다가 2016부터는 9세에서 14세 사이로 바꾸었다.원래는 2002년에 북유럽 3국가인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가 주축이 되어 개최되었던 MGP Nordic이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다. 3개의 국가에서 각각 3개의 곡씩 총 9곡이 경쟁을 하면서 우승을 가리는 대회였는데, 유럽방송연맹에서 이 포맷을 차용해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어린이 대회를 열게 되었다. 원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나이 제한이 없었으나 이 대회가 신설 된 이후로 나이를 16세 이상으로 조정 하였다.
2. 이 대회의 특징
- 노래 길이는 2분 45초에서 3분 사이여야 한다.[4] 단 국가 예선에서는 이 규칙을 반드시 지키지는 않아도 되나, 본 대회에서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
- 반드시 자국어로 불러야 한다.[5] 다른 나라 언어로도 부를 수 있으나(주로 영어), 전체 가사의 40%이상(2016년까지는 25%) 차지하지 않아야 한다.[6]
- 곡 제작을 해당 가수가 직접 참여해야 한다. 2009년부터는 전문 프로듀서의 도움을 받아 곡을 만들 수 있는 규칙이 추가 되었다. 이때문에 2008년 이전이 동요 스타일의 곡이 많았다면, 2009년 이후의 노래는 일반 팝 스타일로 바뀐 양상이 있다.
- 반주에 코러스를 미리 녹음해서 넣을 수 있다.
- 시청자 투표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대회가 열리기 전에 3곡을 투표하고, 대회 당일 투표시간 15분을 주고 다시 3곡을 투표하는 방식이다. 이때 자국의 노래도 투표가 가능하며, 참여 국가가 아닌 곳에서도 투표가 가능하다. 점수는 심사위원 점수를 전부 합한 점수 기준으로 득표율에 비례해서 배분 된다.
- 최소 12국가를 맞춰야 한다.
3. 각 년도별 대회
3.1. 2003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렸다. 아직 무대 순서 같은 것들이 완전히 정착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공연 시간이 1시간 40분으로 짧은 편이었다. 첫 무대는 역대 무대중 최연소 나이로 출전했던 그리스가 장식하였고(8세),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은 노래가 2분 45초 내외였던 것에 비해 나머지 국가들은 대부분 3분에 맞춰서 곡이 만들어졌다. 우승은 크로아티아가 차지하였다.3.2. 2004년
동계올림픽으로 알려진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에서 열렸다. 당초 영국에서 열려고 했다가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본 장소에서 열게 되었다. 역대 참가국 중에서 가장 많은 18국가가 참여하였고, 프랑스와 스위스가 처음 참가한 년도이기도 하다. 벨기에와 프랑스가 프랑스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어와 프랑스어를 병행하여 방송을 진행하였고[7], 투표 발표 시간때도 두 언어를 혼용 사용하였다. 우승은 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이 차지하였다. 이 우승한 곡 제목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평범하느니 죽는 게 나아" 정도 된다.3.3. 2005년
무대 규모가 크고 아름답다. 실제로 2005년 기준으로 역대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중에서 가장 많은 224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장소에서 열였다.
벨기에의 하셀트에서 열렸다. 이때부터 투표 발표 시간에 1점부터 5점까지는 발표자가 말하지 않고, 컴퓨터가 자동으로 결과를 표출하는 식으로 바뀌게 된다.[8] 이때 벨라루스가 스페인을 불과 3점차로 따돌리면서 우승하게 된다. 참고로 벨라루스에서는 이 대회를 포함한 주요 국제행사를 중요한 행사로 취급하기 때문에 벨라루스 대통령이 직접(!) 해당 가수를 맞이한 적이 있었다.
3.4. 2006년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에서 열렸다. 이 대회부터 그동안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한 축을 담당하던 덴마크, 노르웨이가 다시 MGP Nordic을 열게 되면서 대회에서 빠지게 된다. 영국도 시청률을 이유로 빠지게 되었다.[9] 스웨덴 같은 경우는 공영방송이었던 SVT가 빠지고, 민영방송인 TV4에서 대신 대회방송을 맡게 되었기 때문에 계속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대회에서 봄의 재즈(Весенний Джаз)라는 곡으로 우승한 러시아의 톨마초비 (쌍둥이)자매는 2014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본대회에 러시아 대표로 다시금 출전했다. 무대 영상 평소대로라면 그럭저럭 호평을 받을 무대였을텐데, 하필이면 러시아가 대회 전부터 우크라이나 내전 쓰리 콤보에 깊숙히 관여하게 되며 푸틴이 끌어놓은 어그로를 이 처자들이 옴팡 뒤집어쓰게 되었다. 러시아 얘기만 나오면 관중들이 야유를 퍼붓는 상황에 마음이 편치 못했을 것이다. 지못미...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전통적인 구소련 국가 버프+ 콘치타 부르스트의 감성팔이 어그로에 따른 동구권 국가들의 반감에 힘입어 7위를 기록.
3.5. 2007년
네덜란드의 로테르담에서 열렸다. 이 대회에서부터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관한 부정적인 시각이 부각 되었다. 어린이들을 대회에 내 세우는 것 자체가 어린이들에게 압박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그것 때문에 항상 상위권을 유지하던 스페인이 불참을 선언해서 유럽 전역에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이번 대회에서 첫 공연을 보인 아르메니아가 투표 결과 발표 시간때 톱 포인트를 많이 받으면서 우승 국가가 될 뻔했으나, 몇몇 국가에서 아르메니아에게 0점을 주는 등 운이 좋지 않아서 결국 단 1점(!)차로[10] 벨라루스가 우승하게 되었다. 이로써 러시아어로 부른 곡이 3연속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해당 년도의 대회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도 제작이 된 적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도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에서 개봉한 적이 있었다.
3.6. 2008년
키프로스의 레메소스에서 열렸다. 이때부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로고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다.[11]2007년 대회때에 부각 된 동유럽 몰표 현상 때문에 이번 대회부터는 시청자 투표 50%, 전문 심사위원 50%로 점수 산정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12] 그렇기 때문에 서유럽 국가에서 형편없는 점수를 받는 경우는 줄게 된 셈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한번도 상위권을 차지한 적이 없었던 몰타가 4위를 하게 되었다. 우승은 가사가3.7. 2009년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에서 열렸다. 무대 규모가 심히 작아 무대가 세로로 더 길게 설계가 되었다. 아무래도 관객들과 더 가까이 하기 위해 그렇게 설계한 듯 한다.[13] 이 대회때부터 전문 프로듀서가 곡 제작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작년보다 곡들이 더 다듬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당시 벨기에나 러시아가 우승 후보로 점쳐졌으나, 정작 우승은 벨기에의 이웃 국가인 네덜란드가 차지하게 되었다.3.8. 2010년
벨라루스의 민스크에서 열렸다. 이 때 MGP Nordic이 해체가 되면서 스웨덴의 공영방송인 SVT가 다시 참여하게 되었다.[14]이번 대회에는 뜻깊은 공연이 있었는데,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우승한 가수들이 모두 나와서 메들리로 노래를 부르는 것이 그것이었다. 크로아티아나 벨라루스같은 경우는 새로 녹음했는데 반해, 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은 많이 성장했음에도 노래는 그대로였다는건 옥에 티.
이번 대회에서는 아르메니아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3.9. 2011년
아르메니아의 예레반에서 열렸다. 당시 산마리노가 참가하려고 했으나, 기한 내에 곡 선정을 하지 못해서 어쩔 수 없이 불참하게 되었다. 우승은 마치3.10. 2012년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서 열렸다. 한 때 7국가만 참가 신청만 해서 자칫 하면 대회 자체가 무산 될 수도 있었는데, 다행이도 12국가가 참여하게 되어 고비를 넘기게 된다. 이 때부터 어린이 심사위원이 추가 되어서 따로 1점부터 12점까지 발표하게 된다.우승은 우크라이나의 아나스타샤 패트릭양이 차지하였다.
3.11. 2013년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에서 열렸으며, 201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본대회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로 출전해 3위를 기록한 즐라타 오흐네비치가 사회자 겸 오프닝 무대를 맡아 열연했다. 2012년에 이어서 경연을 할 수 있는 최소 국가 수인 12국가를 채우지 못해서 계속 협상중이었다가 산마리노가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고, 마케도니아와 몰타가 다시 참가하게 되었다.3.12. 2014년
몰타의 마르사에서 열렸다. 작년보다는 상황이 많이 나아져서 16국가가 참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가 처음으로 나오게 되고, 키프로스, 세르비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가 다시 나온다고 하였다.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마케도니아는 올해 불참을 선언하였다. 아이슬란드, 헝가리, 독일등은 처음에 참가 의향이 있다 했으나 이내 참가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회가 개최되는 곳이 독특한데 몰타 조선소 안에서 열렸다. 좌석 규모는 4000여명 정도로 작년보다는 좌석 수는 늘었다.
2014년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주제곡 #Together. 이 곡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5 몰타 예선에서도 사용하였다.
이때 부터 방송 시간이 2시간 15분에서 2시간 30분으로 15분 연장하게 되었다. 늘어난 시간만큼 부가 공연이 풍성해졌으며[16] 작년까지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별개의 디자인을 사용했는데 올해는 비슷한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보통 남성 진행자와 여성 진행자 두 사람이 진행을 했는데 올해는 여성 진행자 혼자서 진행을 하게 되었다.
전체적인 공연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버금가는 수준이었으나 아르메니아가 나올 차례에 무대 뒤 스크린에 아르메니아 국기가 떠야 할 자리에 벨라루스 국기가 뜨고, 네덜란드가 공연할 때 좌측 하단에 국가 이름이 뜨는데 갑자기 작게 나오는 등 조그마한 방송실수가 있었다. 게다가 심사위원 리허설때는 정전까지 일어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어나고 말았다.
우승은 이번 대회에서 유일한 남성 참가자인 이탈리아가 차지하였지만, 곡에 대한 반응은 별로 좋지 못한 편이다. SMS/전화 투표에서는 불가리아가 1위였으나 심사위원 투표에서 밀리는 바람에 콩라인이 되어 버렸다.[17]
3.13. 2015년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열렸다. 무대 규모가 실내경기장에서 열리기 때문에 다시 커지게 되었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같이 올해부터 변경된 로고 디자인을 사용하게 된다. 작년보다 하나가 늘어난 17국가가 참여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아일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고, 알바니아, 마케도니아가 다시 참여한다고 밝혔다. 키프로스는 예산 부족으로 불참이 확정 되었고, 크로아티아와 스웨덴도 불참 선언을 했다.[18] 독일 같은 경우는 유로비전 홈페이지에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를 할지 투표를 진행했는데 85%이상의 찬성 비율을 기록한 적이 있다. 이 때문인지 온라인에서 본 프로그램을 송출하였다.2015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주제곡 #Discover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유튜브에서도 생방송을 송출했는데, 30분동안 소리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우승은 몰타가 차지하였다.
3.14. 2016년
몰타의 발레타에서 열렸다. 이번 년도부터 참가연령이 조정되어서 기존 10~15세에서 9~14세로 한 살 낮춰졌다. 또한 방송시간도 기존 토요일 저녁시간에서 일요일 오후 시간대로 옮겨서 방송한다. 투표 식도 굉장히 많이 바뀌었는데, 기존 50-50으로 심사위원-시청자 투표로 진행했던 점수 산정 방식을 100% 심사위원이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리게 되었다. 당초 방송 시간을 30분 단축하기로 하였으나 실제 방송은 예년과 같은 2시간 30분으로 진행 되었다.참가 국가 수는 작년과 같은 17개이다. 키프로스, 이스라엘이 다시 참가하게 되었고, 특히 폴란드는 2004년 이 후 무려 12년 만에 다시 참가하게 되었다. 몬테네그로는 예산 문제로, 슬로베니아는 올해부터 바뀐 규칙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불참하였다. 산마리노도 불참하였으나 자세한 사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초대가수로 2015년 주니어 유로비전 사회자이자 2016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불가리아 대표였던 Poli Genova가 나오게 되었고, 2011년과 201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아일랜드 대표였고 패널 심사위원 중 하나인 Jedward도 공연을 겸했다.
우승은 성인 심사위원 부분에서 점수를 싹쓸이한 조지아가 차지하여, 유일하게 세 번 우승한 국가가 되었다. 또 한 마케도니아와 폴란드[19] 는 두 번 연속 꼴찌에서 드디어 탈출하게 되었다.
2016년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주제곡 Embrace. 작년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자인 Destiny Chukunyere가 불렀다.
3.15. 2017년
작년에 우승한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에서 개최되었다.이번 년도의 파격적인 변화는 바로 투표 시스템이다. 전년도에 심사위원 100% 투표로 진행을 해서 시청자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었는지 이번에는 다시 시청자 투표를 도입하게 된다. 대신 투표 방식을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투표로 진행을 하는 것으로 변경하게 된다. 또 하나의 변화는 외국어 가사 분량인데, 기존 25%에서 40%로 확대 되어서 영어 가사를 전체의 40% 정도 넣을 수 있게 되었다.
참가 국가 수는 2017년 8월 기준 작년보다 하나 줄은 16개이다. 불가리아는 방송국 사장 선출 관계로 참가를 결정하지 않았다가 가수 선정까지 시간을 맞출 수 없어서 불참 선언을 하였다. 이스라엘은 기존 주관사인 IBA가 폐국 되어서 참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불참하였다.[20] 대신 포르투갈이 10년만에 다시 참가하게 되었다.
온라인 투표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2017년 11월 25일 오전 2시에서 26일 오후 11시 59분까지이며, 전 세계 어느 사람이나 투표할 수 있다.
그런데 각종 유로비전 전문 블로그 등지에서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술적인 문제로는 일단 VPN을 막을 수 없어 만약 이 시스템을 국가 단위로 투표를 한다고 할 때 제 3국에서 VPN서버의 국가의 IP를 통해 투표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리고 봇 방지를 위해 인증하는 수단이 부실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래서 2018년부터는 투표를 하면 간단한 문제가 나와서 답을 입력해야 하는(예를 들면 덧셈) 보안 시스템이 도입 되었다.
방송중에 주어지는 투표시간 당시 트래픽 문제로 인하여 투표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작년과 같이 성인 심사위원 부분에서 조지아가 점수를 싹쓸이했지만, 온라인 투표에서 하위권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3점 차이로 러시아가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16. 2018년
작년 대회에서 러시아가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의 민스크에서 열렸다.참가 국가 수는 20개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키프로스가 불참 선언을 했으나, 아제르바이잔이 5년 만에, 프랑스가 무려 14년 만에 복귀했다. 작년에 방송사 폐국 문제로 참가하지 못한 이스라엘은 임시로 참가가 허용되어 복귀하였다. 그리고 카자흐스탄, 웨일스가 처음으로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게 되었다. 카자흐스탄은 약 10년 전부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를 희망해왔고 대회를 중계했었는데, 주니어 대회에서 그 결실을 맺게 되었고, 웨일스는 영국이 2005년 이래 참가하지 않아 따로 출전하게 되었다.
최종 결과는 폴란드의 첫 번째 우승. 성인 심사위원 부분에서는 호주가 12점을 싹쓸이하며 1위에 올랐고, 몰타가 프랑스를 제외한 모든 국가로부터 점수를 받아 2위로 추격했지만, 정작 두 국가 모두 온라인 투표에서 부진했고 온라인 투표에서 1위에 오른 폴란드가 우승하게 되었다. 오랜만에 참가한 프랑스 역시 2위로 선전하였다.
4. 그 외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같이 인터넷으로 생방송으로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 2010년대 중반부터 유튜브에서 생중계 서비스 중이다. 또 한 일부 방송사에서 자체적으로 인터넷으로 생중계를 하기도 한다.
-
2003년 처음 경연을 열었을 때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원로국가와 동유럽 국가가 비교적 균형 있는 비중으로 경연을 벌였는데 기존 국가에서 불참을 많이 하게 되고 대신 동유럽 국가가 참가하는 비중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10년 후반대에는 다시 원로국가에서 참여를 많이 하기 시작했다.
-
일명 빅5라고 불리는 국가들을 보면
영국은 초반에 잠깐 참여하다 불참했다가 2018년에
웨일스에서 별도로 참가하게 되었다.[21]
스페인은 2006년까지 참여했다가 불참하고 2019년부터 다시 참여중이다.
독일같은 경우는 지속적으로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었으나 참여 하지 않았다가 2020년에 들어서야 참가를 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2004년에만 참여하다가 불참하고 14년이 지난 2018년에 가 복귀 선언을 하였다.
- 이 외에도 핀란드,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헝가리, 터키 등이 본 대회에서의 우승실적이나 상위권 성적에도 불구하고 주니어 대회에는 아예 참가한 적이 없다. 덴마크, 노르웨이같은 경우는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규정이 2006년부터 바뀐데다가(원래는 전문 가수는 나오면 안되었는데 2006년부터 깨지게 됨) 아이들이 국가 대표로 나간다는 것에 부담을 준다는 부정적인 여론이 있어 국내 대회로 개편 되었다. 그리고 꾸준히 버텨주던 벨기에조차 2013년 대회를 기해 불참. 유럽 주요국들이 빠지게 되는 양상이 짙어졌다. 그나마 네덜란드 정도가 주니어 대회를 꾸준히 지원하고 있으며 러시아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구소련이나 동유럽권 국가들이 주로 참가하게 된다.
- 덴마크가 참가하지 않는 이유를 2016년 들어서 공개하였는데, 지나치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따라하려는 경향 때문이라고 한다. MGP Nordic를 하던 당시 기본 모토는 'the joy, the humor and the play'였는데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로 가게 되면서 이들이 전부 사라졌다고 한다.
[1]
대회 로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Junior만 추가했다.
[2]
프랑스 작곡가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의 작품이다.
[3]
MGP Nrodic 참가 국가였던 노르웨이와 핀란드는 현재도 이 나이 제한을 사용하고 자체 대회를 열고 있다.
[4]
2003년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같은 3분 이내였고, 2004~2012년은 2분 30초에서 2분 45초 사이였다.
[5]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1999년부터 폐지되었다.
[6]
2011년에 몰도바에서 모두 영어로 된 곡을 선보였으나, 이 규칙 때문에 2번이나 수정한 끝에 간신히 기준에서 통과한 적이 있다.
[7]
2018년부터 프랑스가 다시 참여하고 있으나 프랑스어를 병행하지는 않는다.
[8]
그래봤자 2005년때는 진행자가 일일이 다 말하기 때문에 시간 걸리기는 똑같았다. 2006년부터
프랑스어가 진행 언어에서 빠지면서 한결 빨라지긴 했지만...
[9]
여기서 어린이 나가는 대회에 시청률 운운하는게 나쁘게 볼 수도 있는데, 영국같은 경우는 공영방송이 아닌 민영방송에서 참가 신청을 했기 때문에 광고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청률이 중요한 상황이었다.
[10]
벨라루스는 137점, 아르메니아는 136점이었다.
[11]
그 전까지는 Singing Girl이라고 하는 로고가 사용 되었다.
[12]
이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때는 더욱 심각해서 세미파이널에서 파이널로 진출한 국가가 모두 동유럽 국가였던 적이 있었다.
[13]
2005년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우크라이나에서 열었을때도 똑같은 곳에서 대회를 열었는데 그때는 무대가 본 대회보다는 약간 더 컸었다.
[14]
덴마크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국가 예선 날짜 주기에 맞췄기 때문에 참가를 할 수 없고,
노르웨이는같은 경우는 아직까지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관한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15]
리허설때
러시아측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발표자가 6점부터 말했는데, 1점부터 말하라는 것을 못알아 듣고 계속 6점부터 말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16]
대개 공연 중간에 참가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이번에는 인터뷰 대신 부가 공연으로 대신하게 되었다.
[17]
불가리아 참가자는 심사위원 리허설 전까지 컨디션 난조로 인하여 계속 립싱크로 리허설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였다. 심사위원 리허설에서 비로소 라이브로 부르긴 했으나 아직 완전히 회복된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변수로 작용하고 말았다.
[18]
스웨덴 방송국 측에서는 대표를 결정하는 방식을 바꾼다는 논의를 한다고 했으나 결국 1년 휴식을 갖기로 하였다. 참고로 2013년 대표가 하필이면 대회 직전에 변성기가 찾아오고, 2014년 대표는 생방송때 너무 긴장을 하는 바람에 제 기량을 펼치지 못한 적이 있었다.
[19]
폴란드는 정확히 말하자면 2004년에는 뒤에서 두 번째였고, 라트비아가 꼴찌였다. 점수는 3점으로 두 국가 같았기 때문에 사실상 꼴찌라고 보면 된다.
[20]
다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임시로 참가를 허용한다는 결정이 있었기에 계속 참가할 수 있었다.
[21]
단, 언어 선정은 방송국 언어가 기준이기 때문에 참가 방송국이 웨일스어를 사용하는 관계로 영어만으로 가사 제출이 불가능하다. 이는 아일랜드도 마찬가지로 방송국에서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